이라크의 역사 타임라인

부록

문자

각주

참고자료


이라크의 역사
History of Iraq ©HistoryMaps

10000 BCE - 2024

이라크의 역사



역사적으로 메소포타미아로 알려진 이라크는 신석기 시대 우바이드 시대인 기원전 6000~5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문명 중 하나입니다.이곳은 수메르, 아카드, 신수메르, 바빌로니아, 신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를 포함한 여러 고대 제국의 중심지였습니다.메소포타미아는 초기 글쓰기, 문학, 과학, 수학 , 법률, 철학의 요람이었습니다.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539년에 아케메네스 제국 에 멸망했습니다.그 후 이라크는 그리스 , 파르티아 , 로마의 통치를 경험했습니다.이 지역에서는 서기 300년경에 상당한 아랍인 이주와 라크미드 왕국이 형성되었습니다.이 시기에 아랍어 이름 al-ʿIrāq이 등장했습니다.이 지역을 통치하던 사산 왕조는 7세기에 라시둔 칼리프 왕조 에 의해 정복되었습니다.762년에 건설된 바그다드는 이슬람 황금시대 동안 중앙 아바스 왕조의 수도이자 문화 중심지가 되었습니다.1258년 몽골의 침공 이후, 이라크의 명성은 16세기 오스만 제국 의 일부가 될 때까지 다양한 통치자들 밑에서 쇠퇴했습니다.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이라크는 영국의 통치하에 있었고 1932년에 왕국이 되었습니다. 1958년에 공화국이 설립되었습니다. 1968년부터 2003년까지 사담 후세인의 통치 기간에는 이란 -이라크 전쟁과 걸프 전쟁이 포함되었으며 2003년 미국의 침공으로 끝났습니다. .
2000000 BCE - 5500 BCE
선사시대ornament
메소포타미아 구석기 시대
메소포타미아 구석기 시대 ©HistoryMaps
999999 BCE Jan 1 - 10000 BCE

메소포타미아 구석기 시대

Shanidar Cave, Goratu, Iraq
구석기 시대부터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 문자가 출현하기까지의 메소포타미아 선사시대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자그로스 산기슭, 아나톨리아 남동부, 시리아 북서부를 포함합니다.이 기간은 특히 기원전 4천년 이전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잘 기록되지 않았는데, 지질학적 조건으로 인해 유적이 충적층 아래에 ​​묻혀 있거나 페르시아 만에 잠겨 있었기 때문입니다.구석기 시대 중기에는 수렵채집인들이 자그로스 동굴과 야외 유적지에 거주하며 무스테리아 석기 도구를 생산했습니다.특히, 샤니다르 동굴의 장례식 유적은 이들 집단 내의 연대와 치유의 관행을 드러냅니다.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자그로스 지역에서 현생인류가 뼈와 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바라도스티안(Baradostian)"으로 알려진 현지 오리냐키아 문화의 일부로 확인되었습니다.후기 구석기 시대(기원전 17,000~12,000년경)는 자르즈 문화와 원형 구조를 갖춘 임시 마을의 출현으로 특징지어집니다.맷돌이나 막자와 같은 고정된 물체를 사용하는 것은 정착이 시작되었음을 나타냅니다.기원전 11000~10000년 사이에 이라크 북부에 정착 수렵채집인의 첫 번째 마을이 나타났습니다.이 정착지는 중앙의 "난로"를 중심으로 지어진 주택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가족 재산의 형태를 암시합니다.두개골 보존 증거와 맹금류에 대한 예술적 묘사가 발견되어 이 시대의 문화적 관습을 강조합니다.
메소포타미아의 도자기 이전 신석기 시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자기 이전 신석기 시대 ©HistoryMaps
10000 BCE Jan 1 - 6500 BCE

메소포타미아의 도자기 이전 신석기 시대

Dağeteği, Göbekli Tepe, Halili
초기 신석기 시대 인간이 메소포타미아에 거주한 시기는 이전의 고석기 시대와 마찬가지로 타우루스 산맥과 자그로스 산맥의 산기슭 지대와 티그리스 계곡과 유프라테스 계곡의 상류 지역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도자기 전 시대 신석기 시대 A(PPNA) 시대(10,000~8,700년) BCE)에서는 농업이 도입된 반면, 동물 가축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기원전 9천년 말 PPNA에서 도자기 이전 신석기 시대 B(PPNB, 8700~6800 BCE)로의 전환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주로 문명의 요람인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하고, 야생 동물 사냥이 이루어졌으며, 주거지 바닥 아래에 시체를 매장하는 독특한 장례 풍습이 있었습니다.[1]농업은 도자기 이전 신석기 시대 메소포타미아의 초석이었습니다.밀과 보리 같은 식물의 재배와 다양한 작물의 재배로 인해 영구 정착지가 형성되었습니다.이러한 전환은 Abu Hureyra 및 Mureybet과 같은 사이트에서 문서화되었으며 Natufian 우물에서 PPNB로 계속 점유되었습니다.[2] 터키 남동부의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에서 발견된 지금까지 가장 초기의 기념비적인 조각품과 원형 석조 건물은 PPNA/초기 PPNB로 거슬러 올라가며 발굴자에 따르면 대규모 수렵채집 공동체의 공동 노력을 나타냅니다.[]도자기 이전 신석기 시대 A(PPNA) 시대의 가장 중요한 정착지 중 하나인 예리코는 기원전 9,000년경에 세계 최초의 도시로 간주됩니다.[4] 큰 돌담과 탑으로 보호되는 이곳에는 인구 2,000~3,000명이 거주했습니다.이 기간 동안 심각한 전쟁이 있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벽의 목적에 대해 논쟁이 있습니다.[5] 일부 이론에서는 여리고의 귀중한 소금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성벽이 건설되었다고 제안합니다.[6] 또 다른 이론에서는 탑이 하지에 인근 산의 그림자와 정렬되어 권력을 상징하고 마을의 지배 계층을 지원한다고 가정합니다.[7]
도자기 메소포타미아 신석기 시대
도자기 메소포타미아 신석기 시대 ©HistoryMaps
6500 BCE Jan 1

도자기 메소포타미아 신석기 시대

Mesopotamia, Iraq
이후 천년, 즉 기원전 7천년과 6천년에는 중요한 "도자기" 문화, 특히 하수나(Hassuna), 사마라(Samarra), 할라프(Halaf)가 등장했습니다.이러한 문화는 농업과 축산업의 확실한 도입으로 구별되어 경제 환경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건축학적으로는 집단 곡물창고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공동 주거를 포함하여 보다 복잡한 구조로의 움직임이 있었습니다.관개 시스템의 도입은 농업 관행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중요한 기술 발전을 의미했습니다.사마라 문화는 사회적 불평등의 조짐을 보이는 반면, 더 작고 덜 계층적인 공동체로 구성된 할라프 문화와는 대조적으로 문화적 역동성은 다양했습니다.동시에, 우바이드 문화는 기원전 7천년 말경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출현했습니다.이 문화의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유적지는 Tell el-'Oueili입니다.우바이드 문화는 농업이 인공 수원에 크게 의존했던 지역에서 중요한 혁신인 정교한 건축과 관개 구현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Ubaid 문화는 크게 확장되어 Halaf 문화를 동화하여 메소포타미아 북부, 아나톨리아 남동부 및 시리아 북동부 전역에 평화롭게 영향력을 퍼뜨렸습니다.이 시대는 상대적으로 비계층적인 마을 사회에서 보다 복잡한 도시 중심 사회로의 변화를 목격했습니다.기원전 4천년 말에 이러한 진화하는 사회 구조는 지배적인 엘리트 계급의 출현을 보았습니다.메소포타미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두 중심지인 우루크와 테페 가우라가 이러한 사회 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그들은 글쓰기와 국가 개념의 점진적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선사시대 문화에서 기록된 역사의 정점으로의 이러한 전환은 인류 문명의 중요한 시대를 의미하며, 이후의 역사적 시대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5500 BCE - 539 BCE
고대 메소포타미아ornament
수메르
점토판에 성직자 기록 기록. ©HistoryMaps
5500 BCE Jan 1 - 1800 BCE Jan

수메르

Eridu, Sumeria, Iraq
기원전 5500~3300년경에 시작된 수메르 정착은 독특한 비 셈족, 비인도 유럽어인 수메르어를 사용하는 서아시아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증거에는 도시와 강 이름이 포함됩니다.[8] 수메르 문명은 우루크 시대(기원전 4000년)에 발전하여 젬데트 나스르와 초기 왕조 시대로 발전했습니다.수메르의 중요한 도시인 에리두는 우바이드 농부, 유목민 셈족 목축민, 잠재적으로 수메르인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는 습지대 어부들의 문화적 융합 지점으로 떠올랐습니다.[9]이전 우바이드 시대는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 만 전역에 퍼져 있는 독특한 도자기로 유명합니다.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사마라 문화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우바이드 문화는 대규모 정착지, 진흙 벽돌 가옥,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공공 건축 사원이 특징입니다.[10] 이 시기에는 농업, 가축 사육, 쟁기 사용이 북쪽에서 도입되면서 도시화가 시작되었습니다.[11]우루크 시대로의 전환에는 도색되지 않은 도자기의 대량 생산으로의 전환이 포함되었습니다.[12] 이 시기는 도시의 상당한 성장, 노예 노동의 사용, 무역의 확산으로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수메르 도시는 여성을 포함한 사제 겸 왕과 의회가 이끄는 신권정치적 도시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우루크 시대에는 도시가 일반적으로 성벽이 없는 제한된 조직전이 있었습니다.[13] 기원전 3200~2900년경 우루크 시대의 끝은 홀로세 기후 최적기의 끝을 나타내는 기후 변화인 피오라 진동과 동시에 일어났습니다.[14]후속 왕조 기간은 일반적으로 c로 거슬러 올라갑니다.2900 – c.기원전 2350년, 사원 중심에서 보다 세속적인 리더십으로 전환하고 길가메시와 같은 역사적 인물이 등장했습니다.[15] 그것은 문자의 발전과 최초의 도시와 국가의 형성을 보았습니다.ED 자체는 여러 도시 국가가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고 굳어진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진 작은 국가입니다.이러한 발전은 궁극적으로 아카드 제국의 첫 번째 군주인 사르곤의 통치 하에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을 통일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이러한 정치적 분열에도 불구하고 ED 도시 국가는 비교적 동질적인 물질 문화를 공유했습니다.Lower Mesopotamia에 위치한 Uruk, Ur, Lagash, Umma 및 Nippur와 같은 수메르 도시는 매우 강력하고 영향력이 있었습니다.북쪽과 서쪽으로는 키시(Kish), 마리(Mari), 나가르(Nagar), 에블라(Ebla)와 같은 도시를 중심으로 국가가 뻗어 있다.Lagash의 Eannatum은 역사상 최초의 제국 중 하나를 잠시 설립하여 수메르의 대부분을 포괄하고 그의 영향력을 그 이상으로 확장했습니다.[16] 초기 왕조 시대는 우루크와 우르와 같은 여러 도시 국가로 특징지어졌고, 결국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 아래 통일되었습니다.정치적 분열에도 불구하고 이들 도시 국가는 공통의 물질 문화를 공유했습니다.
초기 아시리아 시대
초기 아시리아 시대. ©HistoryMaps
2600 BCE Jan 1 - 2025 BCE

초기 아시리아 시대

Ashur, Al-Shirqat،, Iraq
초기 아시리아 시대 [34] (기원전 2025년 이전)는 고대 아시리아 시대 이전의 아시리아 역사의 시작을 의미합니다.이는 기원전 2025년경 푸주르-아슈르 1세 치하의 독립 도시 국가가 되기 전의 아수르의 역사, 사람들, 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이 시대에는 제한된 증거가 존재합니다.Assur의 고고 학적 발견은 c로 거슬러 올라갑니다.기원전 2600년, 초기 왕조 시대이지만, 이 지역에 오랫동안 사람이 거주했고 니네베와 같은 인근 도시가 훨씬 오래되었기 때문에 도시의 기초는 더 오래되었을 수 있습니다.처음에는 후르리인들이 앗수르에 거주했을 가능성이 크며, 이곳은 이슈타르 여신에게 바쳐진 다산 숭배의 중심지였습니다.[35] "앗수르"라는 이름은 아카드 제국 시대(기원전 24세기)에 처음 기록되었습니다.이전에 이 도시는 발틸(Baltil)로 알려졌을 수도 있습니다.[36] 아카드 제국이 흥하기 전에 셈어를 사용하는 아시리아인의 조상은 아수르에 정착하여 원래 인구를 대체하거나 동화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Assur는 점차 신격화 된 도시가되었고 나중에 Puzur-Ashur I 시대에 아시리아 국가 신인 Ashur 신으로 의인화되었습니다.초기 아시리아 기간 동안 앗수르는 독립적이지 않았지만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다양한 국가와 제국에 의해 통제되었습니다.초기 왕조 시대에는 수메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심지어 키쉬의 헤게모니에도 속했습니다.기원전 24세기에서 22세기 사이에 이곳은 아카드 제국의 일부였으며 북부 행정 전초기지 역할을 했습니다.나중에 아시리아 왕들은 이 시대를 황금 시대로 여겼습니다.독립을 얻기 전, 아수르는 우르 수메르 제국 제3왕조(기원전 2112년경~2004년경)의 주변 도시였습니다.
아모리인
아모리 유목민 전사. ©HistoryMaps
2500 BCE Jan 1 - 1600 BCE

아모리인

Mesopotamia, Iraq
영향력 있는 고대 민족인 아모리인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수메르 문학 작품인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와 "루갈반다와 안주드 새"에서 언급됩니다.이 문헌은 "mar.tu의 땅"을 언급하고 있으며 우루크의 초기 왕조 통치자인 엔메르카르(Enmerkar)와 연결되어 있지만 이것이 역사적 사실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는 불확실합니다.[21]우르 제3왕조가 쇠퇴하는 동안 아모리인들은 강력한 세력이 되어 슈신과 같은 왕들이 방어를 위해 긴 성벽을 건설하도록 강요했습니다.아모리인들은 동시대 기록에서 추장 아래 있는 유목민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그들은 무리를 방목하는 데 필요한 땅으로 강제로 이주했습니다.이 시대의 아카드 문학은 종종 아모리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며 그들의 유목민적이고 원시적인 생활 방식을 강조합니다.수메르 신화 "마르투의 결혼"은 이러한 경멸적인 견해를 잘 보여줍니다.[22]그들은 이신(Isin), 라르사(Larsa), 마리(Mari), 에블라(Ebla)와 같은 기존 위치에 여러 주요 도시 국가를 세웠고 나중에 남쪽에 바빌론과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을 세웠습니다.동쪽에서는 마리(Mari)라는 아모리 왕국이 일어났으나 나중에 함무라비에 의해 멸망되었습니다.주요 인물로는 아수르를 정복하고 상부 메소포타미아 왕국을 세운 샴시아다드 1세와 바빌론의 함무라비가 있다.아모리인들은 기원전 1650년경 힉소스가이집트 제15왕조를 세우는 데에도 역할을 했습니다.[23]기원전 16세기에 메소포타미아의 아모리인 시대는 바빌론이 쇠퇴하고 카시트족과 미탄니족이 부상하면서 끝났습니다.아무루라는 용어는 기원전 15세기부터 가나안 북쪽에서 시리아 북부까지 뻗어 있는 지역을 가리켰다.결국 시리아 아모리인들은 히타이트와 중세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기원전 1200년경에 그들은 다른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 특히 아람인에 의해 흡수되거나 대체되어 역사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이름은 히브리어 성경에 남아 있습니다. .[24]
아카드 제국
아카디아 제국. ©HistoryMaps
2334 BCE Jan 1 - 2154 BCE

아카드 제국

Mesopotamia, Iraq
기원전 2334~2279년경 아카드의 사르곤이 세운 아카드 제국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기념비적인 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세계 최초의 제국으로서 통치, 문화, 군사 정복 분야에서 선례를 세웠습니다.이 에세이는 아카드 제국의 기원, 확장, 성취 및 궁극적인 쇠퇴를 탐구하여 역사 연대기에서 그 지속적인 유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아카드 제국은 주로 현재의 이라크인 메소포타미아에서 탄생했습니다.원래 키쉬의 우르자바바 왕의 술 맡은 관원장이었던 사르곤은 군사적 기량과 전략적 동맹을 통해 권력을 잡았습니다.그는 수메르 도시 국가를 전복시켜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남부를 하나의 통치하에 통일하여 아카드 제국을 세웠습니다.사르곤과 그의 후계자, 특히 나람신(Naram-Sin)과 샤르칼리샤리(Shar-Kali-Sharri) 치하에서 제국은 크게 확장되었습니다.그것은 페르시아만에서 현대 이란 , 시리아, 터키 의 일부를 포함하여 지중해까지 확장되었습니다.아카드인들은 행정을 혁신하여 제국을 충성스러운 총독이 감독하는 여러 지역으로 나누었으며, 이 시스템은 후속 제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아카드 제국은 수메르와 셈족 문화의 용광로였으며 예술, 문학, 종교를 풍요롭게 했습니다.아카드어는 공식 문서와 외교 서신에 사용되는 제국의 공용어가 되었습니다.지구라트의 개발을 포함한 기술과 건축의 발전은 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성과였습니다.규율과 조직으로 잘 알려진 아카드 군대는 제국 확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합성 활과 개선된 무기의 사용은 적들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했습니다.왕실의 비문과 부조로 기록된 군사 캠페인은 제국의 힘과 전략적 능력을 보여줍니다.아카드 제국은 기원전 2154년경 내부 반란, 경제적 어려움, 유목 집단인 구티족의 침략으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중앙 권력의 약화는 제국의 분열로 이어졌고, 우르 제3왕조와 같은 새로운 세력이 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신수메르 제국
신수메르 제국 ©HistoryMaps
2212 BCE Jan 1 - 2004 BCE

신수메르 제국

Ur, Iraq
아카드 왕조의 뒤를 이은 우르 제3왕조는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였습니다.아카드 왕조가 멸망한 후, 아카드의 두두(Dudu)를 제외하고는 문서와 유물이 부족한 것이 특징인 모호한 시기가 이어졌습니다.이 시대에는 소스에 따라 25년에서 124년 사이의 통치가 지속된 구티안 침략자들이 등장하여 농업과 기록 유지가 쇠퇴하고 기근과 높은 곡물 가격이 초래되었습니다.우루크의 우투헨갈은 구티안의 통치를 끝내고 우르 3왕조의 창시자인 우르남무가 계승했으며, 아마도 우투헨갈의 총독을 지낸 후일 것입니다.우르남무는 라가쉬의 통치자를 물리치고 명성을 얻었으며 초기 메소포타미아 법전인 우르남무 법전을 창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행정을 중앙 집중화하고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며 제국의 영토를 확장한 Shulgi 왕 아래서 수사를 점령하고 엘람 왕 Kutik-Inshushinak을 진압하는 등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우르 [3] 왕조는 아나톨리아 남동부에서 페르시아만까지 영토를 크게 확장했으며,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은 주로 우르의 왕과 사원에 도움이 되었습니다.[18]우르 3왕조는 시무르룸(Simurrum), 룰루비(Lullubi) 등 자그로스 산맥의 고지대 부족, 그리고 엘람(Elam)과 자주 충돌했습니다.[19] 동시에 마리 지역에서는 샤카낙쿠스(Shakkanakkus)로 알려진 푸주르-이슈타르(Puzur-Ishtar)와 같은 셈족 군사 통치자들이 우르 3왕조와 공존하거나 그보다 약간 앞서 있었습니다.[20]왕조의 쇠퇴는 엘람에 대한 군사 작전에서 실패한 입비신 치하에서 시작되었습니다.기원전 2004/1940년에 수사와 동맹을 맺고 시마시키 왕조의 킨다투가 이끄는 엘람인들이 우르와 이비신을 점령하여 우르 3왕조의 종말을 알렸습니다.그 후 엘람 사람들은 21년 동안 왕국을 점령했습니다.우르 III 이후 이 지역은 아모리인의 영향을 받아 이신-라르사 시대로 이어졌습니다.원래 레반트 북부의 유목민이었던 아모리인들은 점차적으로 농업을 채택하고 이신, 라르사, 이후 바빌론을 포함한 다양한 메소포타미아 도시에서 독립 왕조를 세웠습니다.
메사포타미아 이신-라르사 시대
리핏 이슈타르(Lipit-Ishtar)는 유명한 함무라비 법전에 앞서 최초의 법전 중 하나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istoryMaps
2025 BCE Jan 1 - 1763 BCE

메사포타미아 이신-라르사 시대

Larsa, Iraq
이신-라르사 시대는 대략 기원전 2025년부터 기원전 1763년까지로, 우르 제3왕조의 붕괴 이후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역동적인 시대를 나타냅니다.이 시기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도시국가인 이신(Isin)과 라르사(Larsa)의 정치적 지배가 특징이다.이신은 기원전 2025년경에 왕조를 세운 이스비-에라(Ishbi-Erra) 통치 하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부상했습니다.그는 쇠퇴하는 우르 3왕조의 지배로부터 이신을 성공적으로 해방시켰습니다.이신의 명성은 문화적, 종교적 전통을 복원하는 데 있어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메르 종교의 중요한 신인 달의 신 난나/신에 대한 숭배를 되살렸습니다.리피트 이슈타르(기원전 1934~1924년)와 같은 이신의 통치자들은 특히 당시의 법률 및 행정 관행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리핏 이슈타르(Lipit-Ishtar)는 유명한 함무라비 법전에 앞서 최초의 법전 중 하나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러한 법률은 빠르게 변화하는 정치 환경에서 사회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이신의 부상과 병행하여 또 다른 도시 국가인 라르사는 아모리 왕조 아래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습니다.라르사의 등극은 주로 독립 통치를 확립한 나플라눔 왕의 덕택입니다.그러나 라르사가 진정한 번영을 누린 것은 라르사의 군구눔 왕(기원전 1932년~1906년) 치하에서 이신의 영향력을 넘어섰습니다.군구눔의 통치는 주로 무역로와 농업 자원의 통제로 인해 상당한 영토 확장과 경제적 번영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지역 지배권을 놓고 Isin과 Larsa 사이의 경쟁은 Isin-Larsa 시대의 대부분을 정의했습니다.이러한 경쟁은 다른 메소포타미아 도시 국가 및 엘람과 같은 외부 세력과의 빈번한 갈등과 동맹 변화로 나타났습니다.이신-라르사 시대 후반, 림신 1세(기원전 1822년경-1763년경) 치하에서 권력의 균형이 라르사에게 유리하게 이동했습니다.그의 통치는 라르사의 권력의 정점을 상징했습니다.림신 1세의 군사 작전은 이신 자체를 포함한 여러 이웃 도시 국가를 성공적으로 진압하여 이신 왕조를 사실상 종식시켰습니다.문화적으로 이신-라르사 시대는 예술, 문학, 건축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수메르 언어와 문학이 부활했고, 천문학과 수학 지식 도 발전했습니다.이 시기에 건설된 사원과 지구라트는 그 시대의 건축적 독창성을 반영합니다.이신-라르사 시대는 함무라비 왕 치하의 바빌론이 부상하면서 촉발되었습니다.기원전 1763년 함무라비는 라르사를 정복하여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그의 통치하에 통일하고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시작을 알렸습니다.라르사가 바빌론으로 몰락한 것은 정치적 변화뿐 아니라 문화적, 행정적 전환을 의미하며, 바빌로니아 제국 하에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아시리아 시대
고대 아시리아 제국 ©HistoryMaps
2025 BCE Jan 1 - 1363 BCE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아시리아 시대

Ashur, Al Shirqat, Iraq
고대 아시리아 시대(기원전 2025년 - 1363년)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와 별개로 독특한 아시리아 문화의 발전을 나타내는 아시리아 역사의 중추적인 단계였습니다.이 시대는 푸주르-아슈르 1세(Puzur-Ashur I) 치하의 독립 도시 국가로서 아수르(Assur)가 부상하면서 시작되어 아슈르-우발리트(Ashur-uballit) 1세 치하에서 더 큰 아시리아 영토 국가가 설립되면서 끝나고 중기 아시리아 시대로 전환됩니다.이 기간의 대부분 동안 Assur는 정치적, 군사적 영향력이 부족한 작은 도시 국가였습니다.šar("왕") 대신 Išši'ak Aššur("Ashur의 주지사")로 알려진 통치자는 도시 행정 기관인 Ālum의 일부였습니다.제한된 정치적 힘에도 불구하고 Assur는 특히 Erishum I의 통치 기간(기원전 1974~1935년경)부터 중요한 경제 중심지였으며 자그로스 산맥에서 중앙 아나톨리아까지 이어지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로 유명했습니다.푸주르-아슈르 1세(Puzur-Ashur I)가 세운 최초의 아시리아 왕조는 기원전 1808년경 아모리 정복자 샴시아다드(Shamshi-Adad) 1세가 아수르를 함락시키면서 끝났습니다.샴시아다드는 단명한 상부 메소포타미아 왕국을 세웠으나 기원전 1776년 그의 죽음 이후 붕괴되었습니다.그 후 Assur는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 Mari, Eshnunna 및 다양한 아시리아 세력과 관련된 수십 년의 갈등을 경험했습니다.결국 기원전 1700년경 아다사이드 왕조 치하에서 아수르는 독립된 도시 국가로 다시 등장했습니다.기원전 1430년경 미탄니 왕국의 속국이 되었지만 나중에 독립하여 전사 왕이 통치하는 더 큰 영토 국가로 전환했습니다.Kültepe에 있는 고대 아시리아 무역 식민지의 22,000개 이상의 점토판은 이 시대의 문화, 언어 및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아시리아인들은 노예 제도를 시행했지만, 일부 '노예'는 본문의 혼란스러운 용어로 인해 자유 종이었을 수도 있습니다.남성과 여성 모두 재산 상속 및 무역 참여를 포함하여 유사한 법적 권리를 가졌습니다.주된 신은 아수르(Assur) 도시 자체를 의인화한 아슈르(Ashur)였다.
우르의 몰락
우르 멸망 당시의 엘람 전사. ©HistoryMaps
2004 BCE Jan 1

우르의 몰락

Ur, Iraq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중추적인 사건인 엘람인들에게 우르가 함락된 사건은 기원전 2004년(중기 연대기) 또는 기원전 1940년(단기 연대기) 경에 일어났습니다.이 사건은 우르 3왕조의 종말을 의미하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정치적 지형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입비신(Ibbi-Sin) 왕의 통치하에 있던 우르(Ur) 3왕조는 몰락으로 이어지는 수많은 도전에 직면했습니다.한때 광대한 제국을 장악했던 왕조는 내부 분쟁, 경제 문제, 외부 위협으로 인해 약화되었습니다.우르를 취약하게 만든 주요 요인은 행정적,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지역을 괴롭힌 심각한 기근이었습니다.시마쉬키(Shimashki) 왕조의 킨다투(Kindattu) 왕이 이끄는 엘람인들은 우르의 약화된 국가를 이용했습니다.그들은 우르를 상대로 군사 작전을 시작하여 도시를 성공적으로 포위했습니다.우르의 함락은 도시를 약탈하고 포로로 엘람에 끌려간 입비신(Ibbi-Sin)을 포로로 잡는 등 극적이고 의미심장한 일이었습니다.엘람인의 우르 정복은 단지 군사적 승리일 뿐만 아니라 수메르인에서 엘람인으로 권력이 이동했음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승리이기도 했습니다.엘람인들은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넓은 지역을 장악하여 자신들의 통치를 강요하고 지역의 문화와 정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우르의 멸망의 여파로 이 지역은 이신, 라르사, 에슈눈나와 같은 더 작은 도시 국가와 왕국으로 분열되었으며, 이들은 우르 3왕조의 붕괴로 인해 남겨진 권력 공백에서 권력과 영향력을 놓고 경쟁했습니다.이신-라르사 시대(Isin-Larsa period)로 알려진 이 시기는 정치적 불안정과 국가 간 빈번한 갈등이 특징이었습니다.우르가 엘람인들에게 함락된 것은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이는 수메르 도시국가 통치 모델의 종말을 의미하고 이 지역에서 아모리인의 영향력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셈족인 아모리인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도시 국가에서 자신들의 왕조를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
함무라비,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여섯 번째 아모리 왕. ©HistoryMaps
1894 BCE Jan 1 - 1595 BCE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

Babylon, Iraq
기원전 1894년부터 1595년까지 번성했던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은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변혁의 시대를 상징합니다.이 기간은 역사상 가장 전설적인 통치자 중 한 명인 함무라비가 기원전 1792년(또는 연대적으로는 기원전 1728년)에 왕위에 올랐던 시기로 특히 정의됩니다.기원전 1750년(또는 기원전 1686년)까지 지속된 함무라비의 통치는 바빌론의 중요한 확장과 문화 번영의 시기였습니다.함무라비의 가장 초기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행동 중 하나는 엘람의 지배에서 바빌론을 해방시킨 것입니다.이 승리는 단순한 군사적 승리가 아니라 바벨론의 독립을 공고히 하고 지역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중요한 단계였습니다.그의 통치 하에 바빌론은 광범위한 도시 개발을 거쳐 작은 마을에서 중요한 도시로 변모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그 중요성과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함무라비의 군사 작전은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을 형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그의 정복은 Isin, Larsa, Eshnunna, Kish, Lagash, Nippur, Borsippa, Ur, Uruk, Umma, Adab, Sippar, Rapiqum 및 Eridu와 같은 주요 도시를 통합하여 남부 메소포타미아 전역으로 확장되었습니다.이러한 승리는 바빌론의 영토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이전에 작은 국가들로 조각조각 나뉘어 있던 지역에 안정을 가져왔습니다.군사적 정복 외에도 함무라비는 미래의 법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 획기적인 법률 모음집인 함무라비 법전으로 유명합니다.1901년 수사에서 발견되어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암호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해독된 기록 중 하나입니다.그것은 바빌론 사회의 진보된 법적 사고와 정의와 공정성에 대한 강조를 보여주었습니다.함무라비 치하의 구 바빌로니아 제국 역시 중요한 문화적, 종교적 발전을 이루었습니다.함무라비는 마르둑(Marduk) 신을 높여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판테온에서 그를 최고의 신으로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이러한 종교적 변화는 고대 세계의 문화 및 영적 중심지로서 바빌론의 지위를 더욱 확고히 했습니다.그러나 함무라비의 죽음 이후 제국의 번영은 쇠퇴했습니다.그의 후계자인 삼수일루나(기원전 1749~1712년)는 메소포타미아 남부를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시랜드 왕조에게 빼앗기는 등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이후의 통치자들은 제국의 온전함과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쇠퇴는 기원전 1595년 무르실리 1세 왕이 이끄는 히타이트의 바빌론 약탈로 정점에 달했습니다. 이 사건은 바빌론에서 아모리 왕조의 종말을 의미했을 뿐만 아니라 고대 근동의 지정학적 지형을 크게 바꿔 놓았습니다.그러나 히타이트인들은 바빌론에 대한 장기적인 지배권을 확립하지 못했고, 그들의 철수로 인해 카시트 왕조가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고, 이로써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가 끝나고 메소포타미아 역사의 새로운 장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바빌론 자루
프리아모스의 죽음. ©Jules Joseph Lefebvre
1595 BCE Jan 1

바빌론 자루

Babylon, Iraq
기원전 1595년 이전,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남부 메소포타미아는 쇠퇴기와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습니다.이러한 침체는 주로 함무라비의 후계자들이 왕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이러한 쇠퇴의 주요 요인은 바빌로니아 북부와 남부 지역 사이의 중요한 무역로에 대한 통제권을 시랜드 제1왕조가 상실한 것입니다.이러한 손실은 해당 지역에 심각한 경제적 결과를 가져왔습니다.기원전 1595년경,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가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침공했습니다.이에 앞서 그는 강력한 이웃 왕국인 알레포를 격파한 바 있다.그 후 히타이트인들은 바빌론을 약탈하여 함무라비 왕조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를 사실상 종식시켰습니다.이 군사 행동은 메소포타미아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헷 족속은 정복 후에도 바빌론과 그 주변 지역을 통치하지 않았습니다.대신 그들은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하티 땅"으로 알려진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선택했습니다.히타이트의 침략과 바빌론 약탈의 근거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함무라비의 후계자들이 알레포와 동맹을 맺어 히타이트의 관심을 끌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또는 히타이트의 동기에는 토지, 인력, 무역로에 대한 통제권과 귀중한 광석 매장지에 대한 접근권을 추구하는 것이 포함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의 확장 뒤에 있는 더 광범위한 전략적 목표를 나타냅니다.
중기 바빌로니아 시대
전사 고양이. ©HistoryMaps
1595 BCE Jan 1 - 1155 BCE

중기 바빌로니아 시대

Babylon, Iraq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카시트 시대라고도 알려진 중기 바빌로니아 시대는 c.1595 – c.기원전 1155년, 히타이트인들이 ​​바빌론 도시를 약탈한 이후 시작되었습니다.마리의 간다쉬가 세운 카시트 왕조는 기원전 1595년경부터 576년간 지속된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중요한 시대를 이뤘습니다.이 기간은 바빌론 역사상 가장 긴 왕조로 유명하며, 카시트족은 바빌론을 카르두니아쉬(Karduniaš)로 이름을 바꿨습니다.이란 북서부의 자그로스 산맥에서 유래한 카시트족은 메소포타미아 출신이 아닙니다.셈어나 인도유럽어와는 구별되며 아마도 후로우라르트어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들의 언어는 부족한 텍스트 증거로 인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흥미롭게도 일부 카사이트 지도자들은 인도 유럽식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인도 유럽 엘리트를 암시하는 반면 다른 지도자들은 셈족 이름을 지녔습니다.카시트 통치 [하에서] 이전 아모리 왕에게 부여된 대부분의 신성한 칭호는 폐기되었으며 "신"이라는 칭호는 카시트 주권자에게 부여되지 않았습니다.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바빌론은 계속해서 주요 종교 및 문화 중심지였습니다.[26]이 기간 동안 바빌로니아는 종종 아시리아와 엘람의 영향을 받아 권력의 변동을 경험했습니다.기원전 1595년에 즉위한 아굼 2세를 포함한 초기 카시트 통치자들은 아시리아와 같은 이웃 지역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고 히타이트 제국에 맞서 싸웠습니다.카시트 통치자들은 다양한 외교 및 군사 활동에 참여했습니다.예를 들어, 부르나부리아시 1세는 아시리아와 평화를 이루었고, 울람부리아시는 기원전 1450년경에 시랜드 왕조의 일부를 정복했습니다.이 시대에는 Karaindash가 우루크에 얕은 부조 사원을 건설하고 Kurigalzu I이 새로운 수도 Dur-Kurigalzu를 설립하는 등 중요한 건축 작품이 건설되었습니다.왕조는 엘람을 포함한 외부 세력의 도전에 직면했습니다.Kadašman-Ḫarbe I 및 Kurigalzu I과 같은 왕은 엘람인의 침략과 수테아인과 같은 집단의 내부 위협에 맞서 싸웠습니다.[27]카시트 왕조 후반에는 아시리아, 엘람과의 갈등이 계속되었습니다.부르나-부리아시 2세(Burna-Buriash II)와 같은 저명한 통치자들은이집트 및 히타이트 제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했습니다.그러나 중부 아시리아 제국의 부상은 새로운 도전을 가져왔고 결국 카시트 왕조는 멸망하게 되었습니다.Kassite 시대는 Shutruk-Nakhunte의 Elam과 나중에 Nebuchadnezzar I의 바빌로니아 정복으로 끝났으며 이는 더 넓은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와 일치합니다.군사적, 문화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카시트 왕조의 오랜 통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경 속에서 회복력과 적응력을 입증하는 증거로 남아 있습니다.
중세 아시리아 제국
살만에셀 1세 ©HistoryMaps
1365 BCE Jan 1 - 912 BCE

중세 아시리아 제국

Ashur, Al Shirqat, Iraq
기원전 1365년경 아슈르-우발리트 1세의 즉위부터 기원전 912년 아슈르단 2세가 사망할 때까지 이어지는 중세 아시리아 제국은 아시리아 역사에서 중요한 국면을 나타냅니다.이 시대는 앗시리아가 주요 제국으로 부상한 것을 의미하며, 기원전 21세기 이후 아나톨리아의 무역 식민지와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영향력을 갖춘 도시 국가로서의 초기 존재를 기반으로 합니다.Ashur-uballit I 치하에서 아시리아는 미탄니 왕국으로부터 독립하고 확장하기 시작했습니다.아시리아가 권력을 잡은 주요 인물로는 아다드니라리 1세(기원전 1305~1274년경), 살만에셀 1세(기원전 1273~1244년경), 투쿨티-니누르타 1세(기원전 1243~1207년경)가 있습니다.이 왕들은 아시리아를 메소포타미아와 근동 지역에서 지배적인 위치로 끌어올려 히타이트,이집트 , 후르리아, 미탄니, 엘람, 바빌로니아와 같은 경쟁자들을 능가했습니다.투쿨티-니누르타 1세(Tukulti-Ninurta I)의 통치는 바빌로니아의 정복과 새로운 수도인 카르-투쿨티-니누르타(Kar-Tukulti-Ninurta)의 설립을 목격하는 중기 아시리아 제국의 정점을 대표합니다.그러나 기원전 1207년경 그의 암살 이후 아시리아는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왕조 간 갈등과 권력 쇠퇴를 경험했습니다.쇠퇴하는 동안에도 아슈르단 1세(기원전 1178~1133년경), 아슈르레시이시 1세(기원전 1132~1115년경) 같은 중세 아시리아 통치자들은 특히 바빌로니아에 대한 군사 작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티글라트필레세르 1세(기원전 1114~1076년경) 치하에서 부활이 일어났고, 그는 아시리아의 영향력을 지중해, 코카서스, 아라비아 반도까지 확장했습니다.그러나 티글라트-필레셀 이후의 아들인 아슈르벨칼라(기원전 1073년~1056년경) 제국은 아람의 침략으로 인해 핵심 지역 밖의 대부분의 영토를 잃어 더욱 심각한 쇠퇴에 직면했습니다.아슈르단 2세(Ashur-dan II)의 통치(기원전 934~912년경)는 아시리아의 운명이 반전되는 시작을 알렸습니다.그의 광범위한 캠페인은 신 아시리아 제국으로의 전환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 제국의 이전 경계를 넘어 확장되었습니다.신학적으로 중세 아시리아 시대는 아슈르(Ashur) 신의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처음에 Assur 도시를 의인화한 Ashur는 수메르의 신 Enlil과 동일시되었으며, 아시리아의 확장과 전쟁으로 인해 군사 신으로 변모했습니다.정치적, 행정적으로 중세 아시리아 제국은 상당한 변화를 겪었습니다.도시 국가에서 제국으로의 전환은 행정, 통신, 거버넌스를 위한 정교한 시스템의 개발로 이어졌습니다.이전에 이슈시아크("지사")라는 칭호를 갖고 도시 의회와 함께 통치했던 아시리아 왕은 šar("왕")라는 칭호를 가진 독재 통치자가 되었는데, 이는 다른 제국 군주와 마찬가지로 높은 지위를 반영합니다.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바다 사람들. ©HistoryMaps
1200 BCE Jan 1 - 1150 BCE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Babylon, Iraq
기원전 12세기 경에 발생한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는이집트 , 발칸 반도, 아나톨리아, 에게 해와 같은 지역을 포함한 동부 지중해와 근동 지역에서 심각한 격변의 시기였습니다.이 시대는 환경 변화, 대규모 이주, 도시 파괴, 주요 문명의 붕괴로 특징지어졌으며, 이는 청동기 시대의 궁전 경제에서 그리스 암흑 시대 의 특징인 더 작고 고립된 마을 문화로 극적인 전환을 가져왔습니다.이 붕괴는 여러 주요 청동기 시대 국가의 종말을 가져왔습니다.아나톨리아와 레반트 일부 지역의 히타이트 제국은 붕괴되었고, 그리스의 미케네 문명은 기원전 1100년부터 750년까지 지속된 그리스 암흑 시대로 알려진 쇠퇴기로 전환했습니다.중세 아시리아 제국과 이집트 신왕국 같은 일부 국가는 살아남았지만 상당히 약화되었습니다.반대로, 페니키아인과 같은 문화에서는 이집트와 아시리아와 같은 이전 지배 세력의 군사력 감소로 인해 자율성과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했습니다.후기 청동기시대 붕괴의 원인은 자연재해, 기후변화, 기술진보, 사회변화 등 다양한 이론으로 폭넓게 논의되어 왔다.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요인으로는 화산 폭발, 심각한 가뭄, 질병, 신비한 바다 민족의 침입 등이 있습니다.추가적인 이론에서는 제철 기술의 출현과 전차 전쟁을 쓸모없게 만든 군사 기술의 변화로 인해 촉발된 경제 혼란을 시사합니다.한때 지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지진의 영향을 경시하고 있습니다.붕괴 후, 이 지역은 청동기 시대에서 철기 시대 야금술로의 전환을 포함하여 점진적이지만 변혁적인 변화를 겪었습니다.이러한 기술 변화는 새로운 문명의 출현을 촉진하고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전역의 사회 정치적 지형을 변화시켜 기원전 1천년에 이어지는 역사적 발전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문화 파괴대략 기원전 1200년에서 1150년 사이에 동부 지중해와 근동 전역에서 심각한 문화적 붕괴가 일어났습니다.이 기간에는 미케네 왕국, 바빌로니아의 카시트 왕조, 히타이트 제국, 이집트 신왕국의 몰락, 우가리트 및 아모리 국가의 멸망, 서부 아나톨리아의 루위아 국가의 분열, 가나안의 혼란이 있었습니다.이러한 붕괴로 인해 무역 경로가 중단되고 해당 지역의 읽고 쓰는 능력이 크게 감소했습니다.아시리아, 이집트 신왕국, 페니키아 도시 국가, 엘람을 포함한 몇몇 국가는 비록 약화되었지만 청동기 시대 붕괴에서 살아남았습니다.그러나 그들의 운명은 다양했습니다.기원전 12세기 후반에 엘람은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 1세에게 패배한 후 쇠퇴했습니다. 느부갓네살 1세는 바빌론의 세력을 잠시 강화하다가 아시리아에게 손실을 입혔습니다.기원전 1056년 이후, 아슈르벨칼라(Ashur-bel-kala)가 사망한 후 아시리아는 지배력이 바로 인근으로 물러나면서 100년 동안 쇠퇴에 들어갔습니다.한편 페니키아 도시국가들은 웨나무 시대에 이집트로부터 독립을 되찾았다.처음에 역사가들은 기원전 13세기에서 12세기경에 필로스에서 가자까지 동부 지중해를 강타한 광범위한 재난으로 인해 하투사, 미케네, 우가리트와 같은 주요 도시가 폭력적으로 파괴되고 버려졌다고 믿었습니다.Robert Drews는 이 기간 동안 거의 모든 중요한 도시가 파괴되었으며 많은 도시가 다시 점령되지 않았다고 유명하게 말했습니다.그러나 Ann Killebrew의 작업을 포함한 보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Drews가 파괴 정도를 과대평가했을 수도 있습니다.Killebrew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루살렘과 같은 일부 도시는 초기 및 후기 기간에 중요하고 요새화되었지만 후기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는 실제로 더 작고 요새화되지 않았으며 덜 중요했습니다.가능한 원인들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를 설명하기 위해 가뭄이나 화산 활동 등의 기후 변화, 해양 민족과 같은 집단의 침입, 철 야금술의 확산, 군사 무기와 전술의 발전, 정치 실패 등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어 왔다. 사회, 경제 시스템.그러나 어떤 단일 이론도 보편적인 수용을 얻지 못했습니다.붕괴는 이 기간 동안 광범위한 혼란에 다양한 정도로 기여한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붕괴와 데이트하기기원전 1200년을 후기 청동기 시대의 쇠퇴의 시작점으로 지정하는 것은 독일 역사가 Arnold Hermann Ludwig Heeren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고대 그리스에 대한 1817년 연구에서 Heeren은 그리스 선사시대의 첫 번째 기간이 기원전 1200년경에 끝났다고 제안했는데, 이는 그가 10년간의 전쟁 끝에 기원전 1190년에 트로이가 함락된 날짜와 연관되어 있습니다.그는 1826년 출판물에서 같은 기간에 이집트 제19왕조의 종말을 기념하기 위해 이 연대를 더욱 확장했습니다.19세기 내내 이 날짜는 역사가들이 이 날짜를 바다 민족의 침략, 도리아 침략, 미케네 그리스의 붕괴와 같은 다른 중요한 사건과 연관시키는 초점이 되었습니다.1896년에는 메르넵타 비석에 기록된 대로 남부 레반트에서 이스라엘이 최초로 역사적으로 언급된 날짜도 포함됩니다.기원전 1200년경의 역사적 사건들의 이러한 수렴은 이후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에 대한 학문적 서술을 형성했습니다.여파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이후 암흑 시대가 끝날 무렵, 히타이트 문명의 잔재는 킬리키아와 레반트 지역의 여러 작은 시로-히타이트 국가로 합쳐졌습니다.이 새로운 국가는 히타이트와 아람 요소가 혼합되어 구성되었습니다.기원전 10세기 중반부터 레반트 지역에는 일련의 작은 아람 왕국이 등장했습니다.또한 블레셋 사람들은 가나안 남부에 정착했는데, 그곳에서는 가나안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스라엘, 모압, 에돔, 암몬을 비롯한 다양한 정치 체제를 형성했습니다.이 기간은 더 큰 청동기 시대 문명의 잔재로부터 새롭고 작은 국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의 정치적 지형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신 제2왕조
느부갓네살 1세 ©HistoryMaps
1155 BCE Jan 1 - 1026 BCE

이신 제2왕조

Babylon, Iraq
엘람인들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한 후, 이 지역은 기원전 1155년경 바빌론 제4왕조를 건국한 Marduk-kabit-ahheshu를 시작으로 중요한 정치적 변화를 겪었습니다.이신에서 유래한 이 왕조는 바빌로니아를 통치한 최초의 원주민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남 메소포타미아 왕조로 유명합니다.Marduk-kabit-ahheshu는 아시리아 왕 Tukulti-Ninurta 1세 이후 바빌론을 통치한 두 번째 토착 메소포타미아인으로 Elamites를 성공적으로 추방하고 Kassite 부흥을 막았습니다.그의 통치는 또한 아시리아와 충돌하여 아슈르단 1세에게 패배하기 전에 에칼라툼을 점령했습니다.기원전 1138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이티-마르두크-발라투는 그의 8년 통치 기간 동안 엘람의 공격을 막아냈습니다.그러나 아시리아를 공격하려는 그의 시도는 여전히 통치하고 있는 아슈르단 1세(Ashur-Dan I)에 맞서 실패로 끝났습니다. 기원전 1127년에 왕좌에 오른 니누르타-나딘-슈미(Ninurta-nadin-shumi)도 아시리아에 대한 군사 작전에 착수했습니다.아시리아의 도시 아르벨라에 대한 그의 야심찬 공격은 아슈르-레시-이시 1세에게 패배하여 끝났고, 그 후 아슈르-레시-이시 1세는 아시리아에 유리한 조약을 맺었습니다.이 왕조의 가장 유명한 통치자인 네부카드네자르 1세(기원전 1124~1103년)는 엘람을 상대로 중요한 승리를 거두고 영토와 마르둑의 신성한 동상을 되찾았습니다.엘람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전에 히타이트가 지배하던 영토로 확장하려는 시도에서 아슈르-레시-이시 1세에게 여러 번 패배했습니다.느부갓네살 1세의 말년에는 바빌론 국경을 건설하고 강화하는 데 주력했습니다.네부카드네자르 1세의 뒤를 이어 엔릴나딘-아플리(기원전 1103~1100년)와 마르두크나딘-아헤(기원전 1098~1081년)가 뒤따랐는데, 두 사람 모두 아시리아와 분쟁을 벌였습니다.Marduk-nadin-ahhe의 초기 성공은 Tiglath-Pileser I의 압도적인 패배로 인해 가려져 바빌론에 상당한 영토 손실과 기근이 발생했습니다.Marduk-shapik-zeri(기원전 1072년경)는 아시리아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지만 그의 후계자인 Kadašman-Buriaš는 아시리아의 적대감에 직면하여 기원전 1050년경까지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았습니다.Marduk-ahhe-eriba 및 Marduk-zer-X와 같은 후속 바빌론 통치자는 본질적으로 아시리아의 가신이었습니다.기원전 1050년경 내부 분쟁과 외부 갈등으로 인해 중세 아시리아 제국이 쇠퇴하면서 바빌로니아는 아시리아의 지배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이 기간에는 서부 셈족 유목민, 특히 바빌로니아 영토의 넓은 지역에 정착한 아람인과 수테인의 침입도 목격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의 정치적, 군사적 취약성을 나타냅니다.
바빌론의 혼돈의 시대
혼돈의 시대에 아시리아의 침입. ©HistoryMaps
1026 BCE Jan 1 - 911 BCE

바빌론의 혼돈의 시대

Babylon, Iraq
기원전 1026년경 바빌로니아의 기간은 상당한 혼란과 정치적 분열로 특징지어졌습니다.나부슘리부르(Nabu-shum-libur)의 바빌로니아 왕조는 아람의 침입으로 무너졌고, 수도를 포함한 바빌로니아 중심부에 무정부 상태가 되었습니다.이 혼란의 기간은 2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그 기간 동안 바빌론에는 통치자가 없었습니다.동시에, 옛 시랜드 왕조 지역에 해당하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제5왕조(기원전 1025~1004년) 시대에 별도의 국가가 탄생했습니다.카시트 가문의 지도자인 심바르시팍이 이끄는 이 왕조는 중앙 바빌로니아 권위로부터 독립적으로 활동했습니다.바빌론의 혼란은 아시리아의 개입 기회를 제공했습니다.아시리아 통치자인 아슈르니라리 4세(기원전 1019~1013년)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기원전 1018년에 바빌로니아를 침공하여 아틸라 시와 일부 중남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했습니다.V왕조 이후 또 다른 카시트 왕조(6왕조, 기원전 1003~984년)가 권력을 잡았고, 이는 바빌론 자체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한 것으로 보입니다.그러나 이 부흥은 마르-비티-아플라-우수르(Mar-biti-apla-usur) 왕이 이끄는 엘람인들이 이 왕조를 무너뜨리고 제7왕조(기원전 984~977년)를 세웠기 때문에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이 왕조 역시 자립할 수 없어 추가적인 아람의 침입에 희생되었습니다.기원전 977년에 나부무킨아플리(Nabû-mukin-apli)에 의해 바빌로니아의 주권이 재확립되어 8왕조가 탄생했습니다.제9왕조는 기원전 941년에 왕위에 오른 Ninurta-kudurri-usur 2세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이 시대 동안 바빌로니아는 상대적으로 약한 상태를 유지했으며 넓은 지역이 아람인과 수테아인의 통제를 받았습니다.이 시대의 바빌로니아 통치자들은 종종 바빌로니아 영토의 일부를 합병한 더 지배적인 지역 세력인 아시리아와 엘람의 영향을 받거나 충돌하게 되었습니다.
신 아시리아 제국
아슈르나시르팔 2세(기원전 883년~859년) 치하에서 아시리아는 다시 한 번 근동의 지배 세력이 되어 북부를 논쟁의 여지 없이 지배했습니다. ©HistoryMaps
911 BCE Jan 1 - 605 BCE

신 아시리아 제국

Nineveh Governorate, Iraq
기원전 911년 아다드니라리 2세의 즉위부터 기원전 7세기 말까지 이어진 신아시리아 제국은 고대 아시리아 역사의 네 번째이자 끝에서 두 번째 단계를 대표합니다.전례 없는 지정학적 지배력과 세계 지배 이념으로 인해 종종 최초의 진정한 세계 제국으로 간주됩니다.[29] 이 제국은 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 , 셀레우코스를 포함한 고대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메소포타미아, 레반트,이집트 , 아나톨리아 일부, 아라비아 , 이란 , 아르메니아 .[30]초기 신아시리아 왕들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 대한 지배권을 회복하는 데 주력했습니다.아슈르나시르팔 2세(기원전 883~859년)는 아시리아를 근동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재확립했습니다.그의 통치는 지중해에 도달하고 제국 수도를 Assur에서 Nimrud로 이전하는 군사 캠페인으로 표시되었습니다.살만에셀 3세(기원전 859~824년)는 제국을 더욱 확장했지만 그의 죽음 이후 "대왕의 시대"로 알려진 정체기에 직면했습니다.제국은 바빌로니아와 레반트 일부 지역을 정복하는 등 영토를 크게 확장한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기원전 745~727년) 치하에서 활력을 되찾았습니다.사르곤 왕조(기원전 722년~제국 멸망)는 아시리아가 정점에 도달한 시기입니다.주요 업적으로는 산헤립(기원전 705~681년)이 수도를 니느웨로 이전한 것과 에사르하돈(기원전 681~669년)이 이집트를 정복한 것이 있습니다.전성기에도 불구하고 제국은 기원전 7세기 후반 바빌로니아의 반란과 메디아의 침략으로 급속히 몰락했다.이러한 급속한 붕괴의 이유는 여전히 학문적 논쟁의 주제로 남아 있습니다.신아시리아 제국의 성공은 팽창주의와 행정 효율성에 기인합니다.군사 혁신에는 기병의 대규모 사용과 새로운 공성 기술이 포함되어 수천 년 동안 전쟁에 영향을 미쳤습니다.[제국] 은 19세기까지 중동 지역에서 비교할 수 없는 속도로 중계소와 잘 관리된 도로를 갖춘 정교한 통신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31] 또한, 재정착 정책은 정복된 땅을 통합하고 아시리아 농업 기술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문화적 다양성을 희석시키고 아람어가 링구아 프랑카로 부상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32]제국의 유산은 이후의 제국과 문화적 전통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그 정치 구조는 후계자들을 위한 모델이 되었고, 보편적 통치 개념은 미래 제국의 이데올로기에 영감을 주었습니다.신아시리아의 영향은 초기 유대인 신학을 형성하고 유대교 , 기독교 ,이슬람교 에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했습니다.제국의 민속과 문학 전통은 제국 이후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계속해서 울려 퍼졌습니다.과도한 잔인성에 대한 인식과는 달리, 아시리아 군대의 행동은 다른 역사적 문명에 비해 독특하게 잔인하지 않았습니다.[33]
신바빌로니아 제국
바빌로니아 결혼 시장, Edwin Long(1875)의 그림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626 BCE Jan 1 - 539 BCE

신바빌로니아 제국

Babylon, Iraq
제2 바빌로니아 제국 [37] 또는 칼데아 제국 [38] 으로도 알려진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원주민 군주가 통치하는 마지막 메소포타미아 제국이었습니다.[39] 기원전 626년 나보폴라사르의 대관식으로 시작되어 기원전 612년 신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한 이후 확고하게 자리 잡았습니다.그러나 기원전 539년에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 에 함락되면서 칼데아 왕조는 건국된 지 100년도 채 안 되어 멸망했습니다.이 제국은 거의 천년 전 (함무라비 치하의) 옛 바빌로니아 제국이 붕괴된 이후 고대 근동 지역을 지배하는 세력으로서 바빌론과 메소포타미아 남부 전체가 처음으로 부활했음을 의미합니다.신바빌로니아 시대는 상당한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 문화 르네상스를 경험했습니다.이 시대의 왕들은 특히 바빌론에서 2,000년 동안 지속된 수메르-아카드 문화의 요소들을 되살리는 광범위한 건축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신바빌로니아 제국은 성서, 특히 느부갓네살 2세에 관한 묘사로 인해 특히 기억됩니다.성경은 유다에 대한 느부갓네살의 군사 행동과 기원전 587년에 예루살렘을 포위하여 솔로몬 성전이 파괴되고 바빌론이 포로로 잡혀간 일에 초점을 맞춥니다.그러나 바빌로니아 기록에서는 느부갓네살의 통치를 황금기로 묘사하며 바빌로니아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제국의 몰락은 부분적으로 바빌론의 수호신인 마르둑보다 달의 신 신을 더 좋아했던 마지막 왕 나보니두스의 종교 정책에 기인했습니다.이는 페르시아 의 키루스 대왕이 기원전 539년에 침략할 구실을 제공하여 자신을 Marduk 숭배의 회복자로 자리매김하게 했습니다.바빌론은 수세기 동안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했는데, 이는 파르티아 제국 시대인 기원전 1세기까지 바빌론 이름과 종교에 대한 언급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여러 번의 반란에도 불구하고 바빌론은 결코 독립을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539 BCE - 632
고전 메소포타미아ornament
아케메네스 아시리아
그리스인과 싸우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인. ©Anonymous
539 BCE Jan 1 - 330 BCE

아케메네스 아시리아

Iraq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539년 키루스 대왕이 이끄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2세기 동안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습니다.2세기 동안 아케메네스 왕조의 통치 기간 동안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는 번성했고, 특히 아케메네스 왕조 아시리아는 군대의 주요 인력 공급원이자 경제의 밥통이 되었습니다.메소포타미아 아람어는 아시리아 시대와 마찬가지로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용어로 남아 있었습니다.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인은 신아시리아인과 달리 영토 내정에 최소한으로 간섭했으며 대신 조공과 세금의 일관된 흐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40]아케메네스 제국에서는 아시리아로 알려진 아투라(Athura)는 기원전 539년부터 330년까지 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이었습니다.이는 전통적인 총독이 아닌 군사 보호령으로 기능했습니다.Achaemenid 비문은 Athura를 'dahyu'로 묘사하는데, 이는 행정적 의미 없이 한 무리의 민족이나 국가 및 그 국민으로 해석됩니다.[41] 아투라는 현재는 이라크 북부, 이란 북서부, 시리아 북동부, 아나톨리아 남동부의 일부인 이전 신아시리아 제국 영토의 대부분을 포괄했지만이집트 와 시나이 반도는 제외했습니다.아시리아 군인들은 [] 케메네스 군대에서 중보병으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초기 황폐화에도 불구하고 Athura는 특히 [농업] 분야에서 번영하는 지역이었으며, 이는 황무지라는 초기 믿음과 모순되었습니다.[42]
셀레우코스 메소포타미아
셀레우코스 군대 ©Angus McBride
312 BCE Jan 1 - 63 BCE

셀레우코스 메소포타미아

Mesopotamia, Iraq
기원전 331년, 페르시아 제국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에게 무너졌고 셀레우코스 제국 아래 헬레니즘 세계의 일부가 되었습니다.바빌론의 중요성은 새로운 셀레우코스 수도로 티그리스 강에 셀레우키아가 설립되면서 쇠퇴했습니다.전성기의 셀레우코스 제국은 에게해에서 인도까지 확장되어 헬레니즘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를 구현했습니다.이 시대는 특히 도시 지역에서 그리스 관습과 그리스 출신의 정치 엘리트가 우세한 것으로 특징 지워졌습니다.도시의 그리스 엘리트는 그리스에서 온 이민자들에 의해 [강화] 되었습니다.[44]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파르티아의 미트리다테스 1세 휘하의 파르티아인들은 제국 동부 영토의 상당 부분을 정복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파르티아와 로마의 지배
기원전 53년 카레 전투 당시 파르티아군과 로마군. ©Angus McBride
141 BCE Jan 1 - 224

메소포타미아의 파르티아와 로마의 지배

Mesopotamia, Iraq
고대 근동의 핵심 지역인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파르티아 제국의 지배는 기원전 2세기 중반 파르티아의 미트리다테스 1세의 정복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이 시기는 메소포타미아의 정치적, 문화적 지형이 헬레니즘에서 파르티아의 영향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변화를 의미합니다.기원전 171년부터 138년까지 통치한 미트리다테스 1세는 파르티아 영토를 메소포타미아까지 확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는 기원전 141년에 셀레우키아를 점령했는데, 이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쇠퇴와 이 지역에서 파르티아의 지배력 상승을 알리는 결정적인 순간이었습니다.이 승리는 군사적 성공 그 이상이었습니다.이는 근동 지역의 그리스인에서 파르티아인으로의 권력 균형 이동을 나타냅니다.파르티아 통치 하에서 메소포타미아는 무역과 문화 교류의 중요한 지역이 되었습니다.관용과 문화적 다양성으로 유명한 파르티아 제국은 국경 내에서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번성하도록 허용했습니다.풍부한 역사와 전략적 위치를 지닌 메소포타미아는 이러한 문화적 용광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파르티아 통치 하의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문화 요소가 융합되었으며, 이는 예술, 건축, 화폐에서 명백히 드러납니다.이러한 문화적 통합은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영향력을 통합할 수 있는 파르티아 제국의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였습니다.2세기 초, 로마의 트라야누스 황제는 파르티아 침공을 주도하여 메소포타미아를 성공적으로 정복하고 이를 로마 제국의 속주로 전환시켰습니다.그러나 트라야누스의 후계자인 하드리아누스가 곧 메소포타미아를 파르티아에게 돌려주면서 이러한 로마의 지배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이 기간 동안 기독교는 메소포타미아에 퍼지기 시작했고, 서기 1세기에 이 지역에 도달했습니다.특히 로마 시대의 시리아는 동방의 기독교와 시리아 문학 전통의 중심지로 떠올랐으며, 이는 이 지역의 종교적 지형이 크게 바뀌었음을 나타냅니다.한편, 전통적인 수메르-아카드 종교 관습은 사라지기 시작하여 한 시대의 종말을 알렸습니다.고대 문자 체계인 설형 문자의 사용도 쇠퇴했습니다.이러한 문화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시리아의 국가 신인 아슈르는 그의 고향 도시에서 계속 숭배를 받았으며, 서기 4세기까지 그에게 바쳐진 사원도 있었습니다.[45] 이는 새로운 신앙 체계가 부상하는 가운데 이 지역의 고대 종교 전통의 일부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존경심을 암시합니다.
사산 왕조 메소포타미아
사산조 메사포타미아. ©Angus McBride
224 Jan 1 - 651

사산 왕조 메소포타미아

Mesopotamia, Iraq
3세기에 파르티아는 사산조 왕조의 뒤를 이어 7세기 이슬람 침공 때까지 메소포타미아를 통치했습니다.사산 왕조는 3세기에 독립 국가인 아디아베네(Adiabene), 오스로에네(Osroene), 하트라(Hatra)를 정복하고 마침내 아수르(Assur)를 정복했습니다.6세기 중반 사산 왕조 하의 페르시아 제국은 코스로 1세에 의해 4개 구역으로 나뉘었는데, 그중 서쪽 구역인 크바르바르(Khvārvarān)는 현대 이라크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미샨(Mishān), 아소리스탄(앗시리아), 아디아베네(Adiabene) 지방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및 하부 미디어.중기 페르시아의 "앗시리아 땅"인 아소리스탄(Asōristān)은 사산 왕조의 수도였으며 " 이란 의 심장"을 의미하는 딜이 Ērānshahr라고 불렸습니다.[크테] 시폰 시는 파르티아 제국과 사산 왕조의 수도였으며 한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습니다.[47] 아시리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주요 언어는 동부 아람어였으며 여전히 아시리아인들 사이에 남아 있으며, 현지 시리아어는 시리아 기독교 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Asōristān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거의 동일했습니다.[48]사산 왕조 시대에는 아랍인들이 상당히 많이 유입되었습니다.상부 메소포타미아는 아랍어로 알자지라(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섬"을 가리키는 "섬"을 의미)로 알려지게 되었고, 하부 메소포타미아는 "절벽"을 의미하는 ʿIrāq-i ʿArab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아랍인의."이라크라는 용어는 현대 공화국의 중앙과 남부 지역에 대한 중세 아랍어 자료에서 정치적 용어라기보다는 지리학적 용어로 널리 사용됩니다.602년까지 페르시아 제국의 사막 변경 지역은 알히라의 아랍 라크미드 왕들이 지키고 있었습니다.그해 Shahanshah Khosrow II Aparviz는 Lakhmid 왕국을 폐지하고 유목민의 침입에 국경을 개방했습니다.더 북쪽에 있는 서쪽 지역은 비잔틴 제국 과 경계를 이루고 있었습니다.국경은 어느 정도 현대 시리아-이라크 국경을 따라 북쪽으로 계속되어 사산 왕조의 국경 요새인 니시비스(현대 누사이빈)와 비잔틴 제국이 점령한 다라와 아미다(현대 디야르바키르) 사이를 통과했습니다.
632 - 1533
중세 이라크ornament
무슬림의 메소포타미아 정복
무슬림의 메소포타미아 정복 ©HistoryMaps
632 Jan 1 - 654

무슬림의 메소포타미아 정복

Mesopotamia, Iraq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랍 침략자들과 페르시아 군대 사이의 첫 번째 대규모 충돌은 서기 634년 다리 전투에서 일어났습니다.여기서 Abū ʿUbayd ath-Thaqafī가 이끄는 약 5,000명의 무슬림 군대는 페르시아인 들의 손에 패배했습니다.이러한 좌절은 칼리드 이븐 알 왈리드(Khalid ibn al-Walid)의 성공적인 캠페인으로 이어졌고, 그 결과 아랍인들은 페르시아의 수도인 크테시폰(Ctesiphon)을 제외하고 1년 이내에 이라크 대부분을 정복하게 되었습니다 .중요한 순간은 서기 636년 경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Saʿd ibn Abī Waqqās) 휘하의 대규모 아랍 무슬림 군대가 알 카디시야 전투(Battle of al-Qādisiyyah)에서 주요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한 때였습니다.이 승리는 Ctesiphon을 점령하는 길을 열었습니다.서기 638년 말까지 무슬림은 현대의 이라크를 포함하여 서부 사산 왕조의 모든 지역을 정복했습니다.사산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야즈데게르드 3세는 먼저 중앙 페르시아로 도망친 다음 북부 페르시아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서기 651년에 살해되었습니다.이슬람 정복은 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셈족의 확장을 의미했습니다.아랍 정복자들은 고대 바빌론 근처의 알쿠파(al-Kūfah)와 남쪽의 바스라(Basrah)와 같은 새로운 수비대 도시를 건설했습니다.그러나 이라크 북부는 주로 아시리아와 아랍 기독교인의 성격을 유지했습니다.
아바스 칼리프 왕조 및 바그다드 건국
이슬람 황금시대 ©HistoryMaps
8세기에 건설된 바그다드는 아바스 왕조 의 수도이자 이슬람 세계의 중심 문화 중심지로 빠르게 발전했습니다.Asōristān은 Abbasid Caliphate의 수도이자 500년 동안 이슬람 황금 시대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무슬림 정복 이후 Asōristān은 무슬림 민족이 점진적이지만 대규모로 유입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처음에는 아랍인들이 남부에 도착했지만 나중에는 중세 중후반에 이란 (쿠르드족)과 투르크족도 포함되었습니다.이슬람 역사상 놀라운 과학적 , 경제적, 문화적 진보가 이루어진 시기인 이슬람 황금시대는 전통적으로 8세기부터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이 [시대] 는 종종 Abbasid Caliph Harun al-Rashid (786-809)의 통치와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 설립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간주됩니다.이 기관은 학습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슬람 세계 전역의 학자들이 고전 지식을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로 번역하도록 유치했습니다.당시 세계 최대 도시였던 바그다드는 이 시기 지적, 문화적 활동의 중심지였다.[50]그러나 9세기에 이르러 아바스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9세기 후반부터 11세기 초반까지, " 이란 인터메조(Iranian Intermezzo) "라고 불리는 시기에는 타히르 왕조, 사파리 왕조, 사마 왕조, 부이 왕조, 살라르 왕조를 포함한 다양한 소규모 이란 토후국들이 현재의 이라크 지역을 통치했습니다.1055년 셀주크 제국 의 투그릴이 바그다드를 점령했지만, 아바스 왕조 칼리프는 계속해서 의례적인 역할을 맡았습니다.정치적 권력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바그다드의 아바스 왕조는 특히 종교 문제에서 큰 영향력을 유지했습니다.아바스 왕조는 이슬람의 이스마일파와 시아파와 달리 수니파의 정통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아시리아 사람들은 아랍화, 투르크화, 이슬람화를 거부하면서 계속해서 견뎌냈고, 티무르 의 학살로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마침내 아수르 시가 버려질 때까지 14세기 후반까지 북부 지역의 대다수 인구를 계속 형성했습니다. .이 기간 이후 토착 아시리아인들은 오늘날까지 고국에서 민족적, 언어적, 종교적 소수민족이 되었습니다.
메사포타미아의 투르코-몽골 통치
이라크의 투르코-몽골 통치. ©HistoryMaps
몽골의 정복 이후 이라크는 일칸국 주변 지역이 되었고, 바그다드는 그 탁월한 지위를 잃었습니다.몽골인들은 조지아 , 마르딘의 아르투퀴드 술탄, 쿠파와 루리스탄을 제외하고 이라크, 코카서스, 이란 서부와 남부를 직접 통치했습니다.Qara'unas Mongols는 Khorasan을 자치 영역으로 통치했으며 세금을 내지 않았습니다.헤라트의 지역 카트 왕조도 자율성을 유지했습니다.아나톨리아는 일칸국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으로 수입의 4분의 1을 제공했으며 이라크와 디야르바키르를 합쳐 수입의 약 35%를 공급했습니다.[52] [몽골] 잘라이르 왕조인 잘라이리드(Jalayirids)는 1330년대 일칸국이 분열된 후 이라크와 서부 페르시아를 통치했습니다.잘라이리드 술탄국은 약 50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그 쇠퇴는 Tamerlane의 정복 과 "Black Sheep Turks"라고도 알려진 Qara Qoyunlu Turkmen의 봉기로 인해 촉발되었습니다.1405년 타메를라네가 죽은 후 이라크 남부와 쿠지스탄에서 잘라이리드 술탄국을 부활시키려는 일시적인 노력이 있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부활은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잘라이리드 왕조는 결국 1432년 또 다른 투르크멘 그룹인 카라 코윤루(Kara Koyunlu)에게 함락되어 이 지역의 통치가 끝났습니다.
몽골의 메소포타미아 침공
몽골의 침략 ©HistoryMaps
1258 Jan 1

몽골의 메소포타미아 침공

Baghdad, Iraq
11세기 후반, 호라즈미 왕조가 이라크를 지배하게 되었습니다.투르크족의 세속 통치와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통치 기간은 13세기 몽골의 침략으로 끝났습니다.[51] 징기스칸이 이끄는 몽골인들은 1221년에 호라즈미아를 정복했다. 그러나 이라크는 1227년 징기스칸의 죽음과 그에 따른 몽골 제국 내의 권력 투쟁으로 인해 일시적인 유예를 경험했다.1251년 몽케 칸(Möngke Khan)이 몽골의 확장을 다시 시작했고, 칼리프 알 무스타심(Caliph al-Mustasim)이 몽골의 요구를 거부하자 바그다드는 1258년 훌라구 칸(Hulagu Khan)이 이끄는 포위 공격에 직면했습니다.몽골 정복의 결정적인 사건인 바그다드 공성전은 1258년 1월 29일부터 2월 10일까지 13일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일칸국 몽골군은 동맹국과 함께 당시 압바스 왕조의 수도였던 바그다드를 포위하고 점령했으며 궁극적으로 약탈했습니다. .이 포위 공격으로 인해 수십만 명에 달하는 도시 주민 대부분이 학살당했습니다.도시의 도서관과 그 귀중한 콘텐츠가 파괴된 정도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주제로 남아 있습니다.몽골군은 알 무스타심(Al-Musta'sim)을 처형하고 바그다드에 심각한 인구 감소와 황폐화를 입혔습니다.이 포위 공격은 칼리프가 이베리아 반도에서 신드까지 지배권을 확장했던 기간인 이슬람 황금 시대의 종말을 상징적으로 표시했습니다.
사파비드 메소포타미아
사파비드 페르시아어. ©HistoryMaps
1508 Jan 1 - 1622

사파비드 메소포타미아

Iraq
1466년에 Aq Qoyunlu(흰 양 투르크멘)가 Qara Qoyunlu(검은 양 투르크멘)를 제압하고 이 지역을 장악했습니다.이러한 권력 이동은 결국 백양 투르크멘족을 물리치고 메소포타미아를 장악한 사파비 왕조의 등장으로 이어졌습니다.1501년부터 1736년까지 통치한 사파비 왕조는 이란의 가장 중요한 왕조 중 하나였습니다.그들은 1501년부터 1722년까지 통치했고, 1729년부터 1736년까지, 그리고 1750년부터 1773년까지 짧은 복원을 거쳤습니다.권력이 정점에 달했을 때 사파비 왕조는 현대 이란 뿐 아니라 아제르바이잔 , 바레인, 아르메니아 , 동부 조지아 , 북코카서스 일부(러시아 내 지역 포함), 이라크, 쿠웨이트, 아프가니스탄 및 여러 지역까지 확장했습니다. 터키 , 시리아, 파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이러한 광범위한 통제로 인해 사파비 왕조는 이 지역의 주요 세력이 되었고 광대한 영토의 문화적, 정치적 지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533 - 1918
오스만 이라크ornament
오스만 이라크
거의 4세기 동안 이라크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하기아 소피아. ©HistoryMaps
1533 Jan 1 00:01 - 1918

오스만 이라크

Iraq
1534년부터 1918년까지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이라크 통치는 이 지역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였습니다.1534년 술레이만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이 바그다드를 최초로 점령하고 이라크를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이 정복은 중동에서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술레이만의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였습니다.오스만 통치 초기에 이라크는 모술, 바그다드, 샤리조르, 바스라 등 4개의 주 또는 빌라로 나누어졌습니다.각 빌라예트는 오스만 술탄에게 직접 보고하는 파샤의 통치를 받았습니다.오스만 제국이 부과한 행정 구조는 이라크를 제국에 더욱 긴밀하게 통합하는 동시에 어느 정도의 지역 자치도 유지하려고 했습니다.이 기간의 중요한 발전 중 하나는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 사파 비 제국 사이의 지속적인 갈등이었습니다.특히 16세기와 17세기의 오스만-사파비드 전쟁에서는 이라크가 전략적 위치로 인해 주요 전쟁터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이러한 갈등 중 하나를 종식시킨 1639년 주하브 조약으로 인해 현대에도 이라크와 이란 사이에 여전히 인정되는 국경이 설정되었습니다.18세기와 19세기에는 이라크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이 쇠퇴했습니다.바그다드의 맘루크와 같은 지역 통치자들은 종종 상당한 자치권을 행사했습니다.하산 파샤(Hasan Pasha)가 처음으로 확립한 이라크의 맘루크 통치(1704-1831)는 상대적으로 안정되고 번영하던 시기였습니다.Sulayman Abu Layla Pasha와 같은 지도자 아래 맘루크 주지사는 개혁을 시행하고 오스만 술탄으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을 유지했습니다.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은 제국을 현대화하고 통제를 중앙 집중화하는 것을 목표로 탄지마트 개혁을 시작했습니다.이러한 개혁은 새로운 행정 구역의 도입, 법률 시스템의 현대화, 지방 통치자의 자치권을 억제하려는 노력 등 이라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20세기 초 바그다드와 오스만 제국의 수도인 이스탄불을 연결하는 바그다드 철도의 건설은 중요한 발전이었습니다.독일 의 이익이 뒷받침된 이 프로젝트는 오스만 제국의 권위를 강화하고 경제적, 정치적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이라크에서의 오스만 통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패배와 함께 끝났습니다.1918년 무드로스 휴전과 그에 따른 세브르 조약으로 오스만 영토가 분할되었습니다.이라크는 영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면서 영국의 통치가 시작되고 이라크 역사에서 오스만 제국 시대가 끝났습니다.
오스만-사파비드 전쟁
이라크의 한 마을 앞의 사파비드 페르시아인. ©HistoryMaps
1534 Jan 1 - 1639

오스만-사파비드 전쟁

Iran
이라크를 둘러싸고 오스만 제국 과 사파비 페르시아 사이의 투쟁은 1639년 주하브 조약으로 정점을 이루었으며, 치열한 전투, 충성심의 변화, 문화적, 정치적 영향으로 특징지어지는 이 지역 역사의 중요한 장입니다.이 기간은 16세기와 17세기의 가장 강력한 두 제국 간의 치열한 경쟁을 반영하며, 지정학적 이해관계와 종파적 차이로 강조되며 수니파 오스만 제국과 시아파 페르시아인이 충돌합니다.16세기 초, 샤 이스마일 1세가 이끄는 사파비 왕조가 페르시아에 등장하면서 갈등이 장기화될 무대가 마련되었습니다.시아파 이슬람을 포용하는 사파비 왕조는 수니파 오스만 제국에 정면으로 맞서게 되었습니다.이러한 종파적 분열은 이어지는 갈등에 종교적 열정을 더했습니다.1501년은 사파비 왕조가 건국된 해이며, 동시에 오스만 수니파 헤게모니에 직접적으로 도전하면서 시아파 이슬람을 전파하려는 페르시아 캠페인이 시작된 해입니다.두 제국 간의 최초의 중요한 군사적 만남은 1514년 칼디란 전투에서 일어났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1세는 그의 군대를 이끌고 샤 이스마일에 맞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이 전투는 이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패권을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분쟁의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이러한 초기 좌절에도 불구하고 Safavids는 단념하지 않았으며 특히 오스만 제국의 동부 지역에서 영향력이 계속 커졌습니다.수니파와 시아파 무슬림 모두에게 종교적 중요성과 전략적 위치를 지닌 이라크는 주요 전쟁터가 되었습니다.1534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인 술레이만(Suleiman the Magnificent)이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이라크를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바그다드는 주요 무역 중심지였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곳이었기 때문에 이 정복은 의미심장했습니다.그러나 이라크에 대한 통제는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두 제국 사이를 오가며 양측이 다양한 군사 작전에서 영토를 얻고 잃습니다.샤 압바스 1세 휘하의 사파비 왕조는 17세기 초에 상당한 이득을 얻었습니다.군사적 기량과 행정 개혁으로 유명한 압바스 1세는 1623년 바그다드를 탈환했습니다. 이 탈환은 오스만 제국에게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기 위한 사파비 왕조의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였습니다.바그다드의 함락은 오스만 제국에게 큰 타격이었으며, 이는 이 지역의 권력 역학이 변화하고 있음을 상징합니다.바그다드와 다른 이라크 도시들에 대한 지배력의 변동은 1639년 주하브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4세와 페르시아의 샤 사피 사이의 획기적인 협정인 이 조약은 마침내 오랜 분쟁을 종식시켰습니다.주합 조약은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왕조 사이에 새로운 국경을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인구통계학적, 문화적 지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이는 터키이란 사이의 현대 국경을 정의하게 된 자그로스 산맥을 따라 경계를 그어 이라크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효과적으로 인정했습니다.
맘루크 이라크
맘루크 ©HistoryMaps
1704 Jan 1 - 1831

맘루크 이라크

Iraq
1704년부터 1831년까지 지속된 이라크의 맘루크 통치는 이 지역 역사상 독특한 시기를 나타내며, 오스만 제국 내에서 상대적인 안정과 자율적인 통치를 특징으로 합니다.조지아의 맘루크인 하산 파샤(Hasan Pasha)에 의해 처음 설립된 맘루크 정권은 오스만 투르크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보다 지역적인 통치 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했습니다.하산 파샤의 통치(1704-1723)는 이라크 맘루크 시대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그는 반자치 국가를 설립하여 오스만 술탄에 대한 명목상의 충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행사했습니다.그의 정책은 지역 안정, 경제 활성화, 행정 개혁 추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하산 파샤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무역로를 따라 질서와 안보를 회복하여 이라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은 것입니다.그의 아들인 아마드 파샤(Ahmad Pasha)가 그의 뒤를 이어 이러한 정책을 계속했습니다.아마드 파샤의 통치(1723-1747) 하에서 이라크는 특히 바그다드에서 추가적인 경제 성장과 도시 개발을 목격했습니다.맘루크 통치자들은 군사적 기량으로 유명했으며, 특히 페르시아 의 외부 위협으로부터 이라크를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그들은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전략적 위치를 활용하여 지역에서 권력을 장악했습니다.18세기 말과 19세기 초 동안 술레이만 아부 레일라 파샤(Sulayman Abu Layla Pasha)와 같은 맘루크 통치자들은 계속해서 이라크를 효과적으로 통치했습니다.그들은 군대 현대화, 새로운 행정 구조 구축, 농업 발전 장려 등 다양한 개혁을 단행했습니다.이러한 개혁은 이라크의 번영과 안정을 강화하여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가장 성공적인 지역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그러나 맘루크 통치에도 어려움이 없지는 않았습니다.내부 권력 투쟁, 부족 갈등, 오스만 중앙 권력과의 긴장이 반복되는 문제였습니다.맘루크 정권의 쇠퇴는 19세기 초에 시작되어 1831년 술탄 마흐무드 2세의 지휘 하에 오스만 제국이 이라크를 재정복하면서 정점에 이르렀습니다.알리 리자 파샤(Ali Rıza Pasha)가 이끄는 이 군사 작전은 맘루크의 통치를 사실상 종식시켰고, 오스만 제국이 이라크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을 다시 주장했습니다.
19세기 이라크의 중앙집권화와 개혁
19세기는 오스만 제국이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중앙집권화하려는 시도로 기록되었습니다.여기에는 제국을 현대화하고 지역 통치자의 권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탄지마트(Tanzimat)로 알려진 행정 개혁이 포함되었습니다. ©HistoryMaps
이라크 맘루크 통치가 끝난 후, 중대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가 전개되어 이 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19세기 초부터 20세기까지 이어지는 이 시대는 오스만 제국의 중앙집권화 노력, 민족주의의 부상,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세력의 궁극적인 개입으로 특징지어집니다.1831년 오스만 제국이 이라크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을 다시 주장하기 위해 시작한 맘루크 통치의 종결은 새로운 행정 단계의 시작을 알렸습니다.오스만 제국의 술탄 마흐무드 2세는 제국을 현대화하고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100년 넘게 이라크를 효과적으로 통치했던 맘루크 체제를 폐지했습니다.이 움직임은 행정 통제를 중앙 집중화하고 제국의 다양한 측면을 현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탄지마트 개혁의 일부였습니다.이라크에서 이러한 개혁에는 지역 구조를 재편하고 새로운 법률 및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이 지역을 나머지 오스만 제국과 더욱 긴밀하게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19세기 중반에는 이라크의 오스만 행정부에 새로운 도전이 등장했습니다.이 지역은 부분적으로 유럽의 상업적 관심 증가로 인해 상당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경험했습니다.바그다드와 바스라 같은 도시는 유럽 열강이 상업적 관계를 구축하고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무역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습니다.이 기간에는 철도와 전신선이 건설되어 이라크가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로 더욱 통합되었습니다.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은 이라크에게 전환점이 되었다.동맹국에 합류한 오스만 제국은 자신의 이라크 영토가 오스만군과 영국군 사이의 전쟁터가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영국은 부분적으로 전략적 위치와 석유 발견으로 인해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알려진 바와 같이 메소포타미아 캠페인에서는 쿠트 공성전(1915-1916)과 1917년 바그다드 함락을 포함한 중요한 전투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군사 교전은 ​​지역 주민들에게 파괴적인 영향을 미쳐 광범위한 고통과 사상자를 초래했습니다.
오스만 이라크의 아랍 민족주의
읽고 쓰는 능력이 향상되고 아랍 문학과 시가 유통되면서 공유된 문화적 정체성이 일깨워졌으며 19세기 오스만 이라크의 아랍 민족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HistoryMaps
19세기 말경, 오스만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랍 민족주의의 발흥이 이라크에서도 구체화되기 시작했습니다.이 민족주의 운동은 오스만 통치에 대한 불만, 유럽 사상의 영향, 아랍 정체성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습니다.이라크와 인근 지역의 지식인과 정치 지도자들은 더 큰 자율성을 옹호하기 시작했고 어떤 경우에는 완전한 독립을 옹호하기 시작했습니다.문화 르네상스인 알나흐다 운동은 이 기간 동안 아랍의 지적 사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오스만 국가의 현대화를 목표로 한 탄지마트 개혁은 의도치 않게 유럽 사상에 대한 창을 열었습니다.Rashid Rida 및 Jamal al-Din al-Afghani와 같은 아랍 지식인들은 이러한 아이디어, 특히 자결이라는 자극적인 개념을 탐독했으며 Al-Jawaa'ib와 같은 급성장하는 아랍 신문을 통해 이를 공유했습니다.이 인쇄된 씨앗은 풍부한 마음에 뿌리를 내리고 공유된 아랍 유산과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조성했습니다.오스만 통치에 대한 불만은 이러한 씨앗이 싹을 틔울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을 제공했습니다.점점 더 삐걱거리고 중앙집권화되는 제국은 다양한 주체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이라크에서는 비옥한 땅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부에서 소외감을 느꼈던 아랍 공동체를 경제적 소외가 갉아먹었습니다.대다수의 시아파 인구가 차별을 경험하고 정치적 영향력이 제한되면서 종교적 긴장이 고조되었습니다.통합과 권한 부여를 약속하는 범아랍주의의 속삭임은 이러한 권리를 박탈당한 공동체 사이에 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제국 전역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아랍 의식의 불길을 부채질했습니다.1827년 나예프 파샤 봉기와 1843년 디아 파샤 알샤히르 반란 같은 반란은 명시적으로 민족주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오스만 통치에 대한 뜨거운 저항을 보여주었습니다.이라크 자체에서는 학자 미르자 카젬 베그(Mirza Kazem Beg)와 이라크 출신의 오스만 장교 마흐무드 쇼카트 파샤(Mahmoud Shawkat Pasha) 같은 인물들이 지역 자치와 현대화를 옹호하며 미래의 자결 요구를 위한 씨앗을 심었습니다.사회·문화적 변화도 한몫했다.읽고 쓰는 능력이 향상되고 아랍 문학과 시가 유통되면서 공유된 문화적 정체성이 일깨워졌습니다.부족 네트워크는 전통적으로 지역 충성심에 중점을 두었지만 의도치 않게 특히 농촌 지역에서 더 넓은 아랍 연대를 위한 틀을 제공했습니다.공동체와 단결을 강조하는 이슬람조차도 아랍인의 의식이 싹트는 데 기여했습니다.19세기 이라크의 아랍 민족주의는 통합된 단일체가 아니라 복잡하고 진화하는 현상이었습니다.범아랍주의가 통일이라는 설득력 있는 비전을 제시한 반면, 뚜렷한 이라크 민족주의 경향은 나중에 20세기에 추진력을 얻었습니다.그러나 지적 각성, 경제적 불안, 종교적 긴장으로 조장된 이러한 초기의 동요는 오스만 제국, 그리고 나중에 독립 국가인 이라크 내에서 아랍의 정체성과 자결을 위한 미래 투쟁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이라크
1918년 말까지 영국군은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112,000명의 전투병력을 배치했습니다.이 캠페인에 참가한 '영국' 군대의 대다수는 인도에서 모집되었습니다. ©Anonymous
1914 Nov 6 - 1918 Nov 14

제1차 세계 대전의 이라크

Mesopotamia, Iraq
메소포타미아 작전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중동 전역의 일부로, 연합군(주로 영국, 호주, 주로 영국 라지에서 온 군대를 보유한 대영 제국 )과 동맹국(주로 오스만 제국 ) 간의 충돌이었습니다.[54] 1914년에 시작된 이 캠페인은 쿠제스탄과 샤트 알 아랍의 영국-페르시아 유전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결국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오스만 군대를 다른 전선에서 우회시키려는 더 광범위한 목표로 확대되었습니다.이 캠페인은 1918년 무드로스 휴전으로 끝났고, 이로 인해 이라크가 양도되고 오스만 제국이 더욱 분할되었습니다.분쟁은 영국-인도 사단이 알포(Al-Faw)에 상륙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바스라와 인근 페르시아(현재 이란 )의 영국 유전을 확보하기 위해 신속하게 이동했습니다.연합군은 샤이바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의 반격에 맞서 바스라를 방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그러나 연합군의 진격은 1916년 12월 바그다드 남쪽 쿠트에서 중단되었습니다. 이어진 쿠트 포위전은 연합군에게 참담한 패배로 끝났습니다.[55]재편성 후 연합군은 바그다드를 점령하기 위해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습니다.오스만 제국의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바그다드는 1917년 3월 함락되었고 무드로스에서 휴전이 체결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은 계속해서 패배했습니다.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18년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면서 중동은 급진적인 재구성을 가져왔습니다.1920년 세브르 조약과 1923년 로잔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해체됐다.이라크에서는 국제연맹의 결정에 따라 영국의 통치 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통치 기간 동안 영국이 국경을 그어 다양한 인종과 종교 집단을 포괄하는 현대적인 이라크 국가가 수립되었습니다.영국의 위임 통치는 도전에 직면했는데, 특히 1920년 영국 정부에 대한 이라크의 반란이 그러했습니다.이로 인해 1921년 카이로 회의가 열렸고, 그곳에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파이살 아래 하셰미트 왕국을 이 지역에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920
현대 이라크ornament
이라크 반란
1920년 이라크 반란. ©Anonymous
1920 May 1 - Oct

이라크 반란

Iraq
1920년 이라크 반란은 영국 통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로 여름에 바그다드에서 시작되었습니다.이러한 시위의 즉각적인 촉매제는 영국이 나자프에 새로운 토지 소유권법과 매장세를 ​​도입한 것이었습니다.반란은 유프라테스 중류와 하류를 따라 주로 시아 부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빠르게 추진력을 얻었습니다.반란의 핵심 시아파 지도자는 셰이크 메흐디 알 칼리시(Sheikh Mehdi Al-Khalissi)였습니다.[56]놀랍게도 이 반란에는 수니파와 시아파 종교 공동체, 부족 집단, 도시 대중, 그리고 시리아에 있던 많은 이라크 장교들이 협력했습니다.[혁명] 의 주요 목표는 영국 통치로부터 독립하고 아랍 정부를 수립하는 것이 었습니다.[57] 처음에는 반란이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지만, 1920년 10월 말까지 영국군은 반란을 크게 진압했지만, 반란의 요소는 1922년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되었습니다.1920년대 이라크 남부의 봉기 외에도 북부 지역, 특히 쿠르드족의 반란도 두드러졌습니다.이러한 반란은 쿠르드족의 독립 열망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저명한 쿠르드족 지도자 중 한 명은 이 기간 동안 쿠르드족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셰이크 마흐무드 바르잔지(Sheikh Mahmoud Barzanji)였습니다.이러한 반란은 새로운 이라크 국가가 국경 내의 다양한 인종 및 종파 집단을 관리하는 데 직면한 어려움을 강조했습니다.
필수 이라크
1921년 영국은 파이살 1세를 이라크의 왕으로 즉위시켰습니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21 Jan 1 - 1932

필수 이라크

Iraq
1921년 영국의 지배 하에 설립된 이라크 의무국은 이라크 현대사에서 중추적인 국면을 상징했습니다.이 위임통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고 1920년 세브르 조약과 1923년 로잔 조약에 따라 영토가 분할된 결과였습니다.1921년 영국은 파이살 1세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아랍 반란과 카이로 회담에 참여한 이후 이라크의 왕으로 즉위했습니다.파이살 1세의 통치는 1958년까지 지속된 이라크 하심 군주제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영국의 위임 통치는 입헌군주제와 의회 제도를 확립하는 동시에 이라크 행정, 군사, 외교에 대한 상당한 통제권을 유지했습니다.이 기간에는 현대 교육 기관의 설립, 철도 건설, 석유 산업 발전 등 이라크의 인프라가 크게 발전했습니다.1927년 영국 소유의 이라크 석유 회사가 모술에서 석유를 발견한 것은 이 지역의 경제적, 정치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그러나 위임통치 기간은 영국 통치에 대한 불만과 반란이 만연한 시기이기도 했습니다.주목할 만한 것은 1920년의 이라크 대혁명으로, 이는 이라크 국가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대규모 봉기였습니다.이 반란으로 인해 영국은 더욱 순응적인 군주를 세우게 되었고 궁극적으로 이라크의 독립으로 이어졌습니다.1932년에 이라크는 영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했지만, 영국의 영향력은 여전히 ​​상당했습니다.이러한 전환은 1930년 영국-이라크 조약으로 표시되었으며, 이는 특히 군사 및 외교 문제에서 영국의 이익을 보장하면서 이라크의 자치권을 어느 정도 허용했습니다.이라크 의무화는 현대 이라크 국가의 토대를 마련했지만, 특히 인종적, 종교적 분열과 관련된 미래 갈등의 씨앗을 뿌렸습니다.영국 위임통치의 정책은 종종 종파적 긴장을 악화시켜 이후 이 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분쟁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이라크 독립왕국
1936년 바크르 시드키 쿠데타(이라크 및 아랍 국가 최초의 군사 쿠데타) 동안 알 라시드 거리에 영국군이 확산되는 모습. ©Anonymous
1932 Jan 1 - 1958

이라크 독립왕국

Iraq
이라크에서 아랍 수니파 지배가 확립되면서 아시리아, 야지디, 시아파 공동체 사이에 심각한 불안이 초래되었고, 이들은 가혹한 탄압을 받았습니다.1936년 이라크는 총리 대행을 동료로 교체한 바크르 시드키(Bakr Sidqi)가 이끄는 첫 번째 군사 쿠데타를 경험했습니다.이 사건은 여러 차례의 쿠데타로 특징지어지는 정치적 불안의 시기를 촉발시켰고, 이는 1941년에 정점을 이루었습니다.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이라크는 더욱 혼란에 빠졌습니다.1941년, 압드 알 일라 섭정 정권은 라시드 알리가 이끄는 골든 스퀘어 장교들에 의해 전복되었습니다.이 친 나치 정부는 영국-이라크 전쟁에서 현지 아시리아 및 쿠르드족의 지원을 받은 연합군에 의해 1941년 5월 패배하여 단명했습니다.전후 이라크는 시리아에서 비시-프랑스 에 맞서 연합군의 전략적 기지 역할을 했으며 영- 소련 의 이란 침공을 지원했습니다.이라크는 1945년에 유엔 회원국이자 아랍 연맹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같은 해 쿠르드족 지도자 무스타파 바르자니는 바그다드 중앙 정부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고, 결국 봉기가 실패하자 소련으로 망명했습니다.1948년 이라크는 바그다드에서 부분적인 공산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정부와 영국 과의 조약에 반대하는 일련의 폭력 시위인 알와트바 봉기를 목격했습니다.봄까지 계속된 봉기는 이라크가 실패한 아랍-이스라엘 전쟁 에 참여하면서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중단되었습니다.아랍-하시미트 연합은 1958년 요르단의 후세인 왕과 이집트-시리아 연합에 대한 대응으로 압드 알 일라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누리 아스 사이드(Nuri as-Said) 이라크 총리는 쿠웨이트를 이 연합에 포함시키는 것을 구상했습니다.그러나 쿠웨이트의 통치자 셰이크 압드 알라 아스 살림과의 논의는 쿠웨이트 독립을 반대하는 영국과의 갈등으로 이어졌습니다.점점 더 고립되어가는 이라크 군주제는 늘어나는 불만을 진압하기 위해 누리 아스 사이드의 치하에서 강화된 정치적 탄압에 의존했습니다.
영국-이라크 전쟁
아랍 군단병의 호위를 받는 영국 공군 제94비행대 소속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즈가 하바니야를 지원하기 위해 이집트 이스마일리아에서 출발하는 동안 연료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1 May 2 - May 31

영국-이라크 전쟁

Iraq
영국-이라크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요한 분쟁으로 라시드 게일라니(Rashid Gaylani)가 이끄는 영국이 이라크 왕국에 맞서 벌인 군사 작전이었습니다.Gaylani는 독일이탈리아 의 지원을 받아 1941년 이라크 쿠데타에서 권력을 잡았습니다.이 캠페인의 결과는 게일라니 정부의 몰락, 영국군 이 이라크를 다시 점령하고 친영국 섭정인 압드 알 일라 왕자가 권력을 되찾는 것이었습니다.1921년부터 이라크 의무 통치는 영국의 통치하에 있었습니다.1932년 이라크의 명목상 독립 이전에 체결된 1930년 영국-이라크 조약은 라시드 알리 알-가일라니를 포함한 이라크 민족주의자들의 반대에 직면했습니다.압드 알 일라 섭정의 중립 세력임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정부는 영국 쪽으로 기울었습니다.1941년 4월,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원을 받은 이라크 민족주의자들은 황금 광장 쿠데타를 주도하여 압드 알 일라를 무너뜨리고 알 가야라니를 총리로 임명했습니다.Al-Gaylani가 추축국과 관계를 맺으면서 이라크는이집트인도 의 영국군을 연결하는 육교로서 전략적으로 위치했기 때문에 연합군의 개입을 촉발했습니다.5월 2일 이라크에 대한 연합군의 공습으로 갈등은 더욱 격화되었습니다.이러한 군사적 행동은 알-가일라니 정권의 붕괴와 아브드 알-일라의 섭정 복귀로 이어졌으며, 이는 중동에서 연합군의 영향력을 크게 강화했습니다.
이라크 공화국
라마단 혁명 이후 국방부 폐허의 군인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58 Jan 1 - 1968

이라크 공화국

Iraq
1958년부터 1968년까지의 이라크 공화국 시대는 이라크 역사상 변혁의 시대였다.이는 1958년 7월 14일 혁명으로 시작되었는데, 이때 준장 압둘 카림 카심(Abdul Karim Qasim)과 압둘 살람 아리프(Abdul Salam Arif) 대령이 이끄는 군사 쿠데타가 하셰미트 군주제를 전복시켰습니다.이 혁명으로 1921년 영국의 통치 하에 파이살 1세가 세운 군주제가 무너지고 이라크가 공화국으로 전환되었습니다.압둘 카림 카심(Abdul Karim Qasim)은 새 공화국의 첫 번째 총리이자 사실상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그의 통치(1958~1963)는 농지 개혁과 사회 복지 증진을 포함한 중요한 사회 정치적 변화로 특징지어졌습니다.카심은 또한 친서방 바그다드 조약에서 이라크를 탈퇴하고 소련과 서방 간의 관계 균형을 추구했으며 1961년 이라크 석유 산업의 국유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이 시기는 공산주의자와 민족주의자, 그리고 다양한 아랍 민족주의 집단 사이의 긴장과 함께 정치적 불안정과 갈등이 특징이었습니다.1963년에는 군부의 지원을 받은 아랍사회주의 바트당의 쿠데타가 일어나 카심 정부를 전복시켰다.압둘 살람 아리프(Abdul Salam Arif)가 대통령이 되어 국가를 아랍 민족주의로 이끌었습니다.그러나 Arif의 통치는 짧았습니다.그는 1966년 헬리콥터 추락사고로 사망했다.아리프가 사망한 후 그의 형인 압둘 라만 아리프(Abdul Rahman Arif)가 대통령직을 맡았습니다.그의 임기(1966~1968)는 이라크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정치적 불안정 추세가 계속되었습니다.아리프 형제의 통치는 카심의 통치보다 이념적으로 덜 추진되어 안정 유지에 더 중점을 두고 사회 경제적 개혁에는 덜 중점을 두었습니다.이라크 공화국 시대는 1968년 아흐메드 하산 알 바크르(Ahmed Hassan al-Bakr)가 대통령이 된 또 다른 바트당 쿠데타로 끝났습니다.이 쿠데타는 2003년까지 지속된 바트당의 이라크 통치 기간의 연장을 의미합니다. 이라크 공화국의 1958~1968년은 이라크의 정치, 사회 및 국제 사회에서의 지위에 중요한 변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투기장.
7월 14일 혁명
1958년 7월 14일, 요르단 암만 시내에서 증언에 관한 뉴스 보도를 지켜보는 군중과 군인들 ©Anonymous
1958 Jul 14

7월 14일 혁명

Iraq
1958년 이라크 군사 쿠데타라고도 알려진 7월 14일 혁명은 1958년 7월 14일 이라크에서 발생하여 파이살 2세 국왕과 하셰미트가 주도하는 이라크 왕국이 전복되었습니다.이 사건은 이라크 공화국의 설립을 의미하며 불과 6개월 전에 형성된 이라크와 요르단 사이의 짧은 하시미트 아랍 연맹(Hashemite Arab Federation)을 종식시켰습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라크 왕국은 아랍 민족주의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1955년 이라크의 바그다드 조약 참여와 수에즈 위기 당시 영국이 주도한이집트 침공에 대한 파이살 국왕의 지원으로 인해 더욱 악화된 경제적 어려움과 서구 영향력에 대한 강한 반대는 불안을 가중시켰습니다.특히 군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없는 누리 알 사이드 총리의 정책은 1952년 이집트 군주제를 전복시킨 이집트의 자유 장교 운동에 영감을 받아 은밀한 야당 조직을 촉발시켰습니다. 이라크의 범아랍 감정은 아랍 연합의 형성으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1958년 2월 가말 압델 나세르 휘하의 공화국.1958년 7월, 요르단의 후세인 국왕을 지원하기 위해 이라크군 부대가 파견되자, 압드 알 카림 카심 준장과 압둘 살람 아리프 대령이 이끄는 이라크 자유 장교들이 이 순간을 이용하여 바그다드로 진격했습니다.7월 14일, 이들 혁명세력은 수도를 장악하고 새로운 공화국을 선포하고 혁명평의회를 구성했습니다.쿠데타로 인해 파이살 국왕과 압드 알 일라 왕세자가 왕궁에서 처형당하고 이라크 하셰미트 왕조가 종말을 맞았습니다.탈출을 시도하던 알 사이드 총리는 다음날 체포되어 살해되었습니다.쿠데타 이후 카심은 총리 겸 국방장관이 되었고, 아리프는 부총리 겸 내무장관이 되었습니다.지난 7월 말 임시헌법이 제정됐다.1959년 3월, 새로운 이라크 정부는 바그다드 조약과 거리를 두고 소련과 동맹을 맺기 시작했습니다.
제1차 이라크-쿠르드 전쟁
이라크 북부 운동의 고위 장교, 경연대 'Jash' 창시자 Khaleel Jassim과 특공대 부대(오른쪽에서 첫 번째), 제2사단 사령관 Ibrahim Faisal Al-Ansari(오른쪽에서 세 번째), 이라크 북부에서 1966년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61 Sep 11 - 1970 Mar

제1차 이라크-쿠르드 전쟁

Kurdistān, Iraq
이라크 역사상 중대한 갈등인 제1차 이라크-쿠르드 전쟁은 1961년부터 1970년 사이에 일어났습니다. 이 전쟁은 무스타파 바르자니가 이끄는 쿠르드 민주당(KDP)이 1961년 9월 이라크 북부에서 반란을 일으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라크 정부에 맞서 자치권을 요구하는 쿠르드족의 투쟁.분쟁 초기 단계에서 압둘 카림 카심(Abdul Karim Qasim)과 이후 바트당(Ba'ath Party)이 이끄는 이라크 정부는 쿠르드족의 저항을 진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페쉬메르가(Peshmerga)로 알려진 쿠르드족 전사들은 이라크 북부의 산악 지형에 대한 익숙함을 활용하여 게릴라 전술을 사용했습니다.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는 1963년 바트당이 카심을 전복시킨 이라크 지도부의 교체였습니다.처음에는 쿠르드족에 대해 더 공격적이었던 바트 정권은 결국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했습니다.이 분쟁에서는 이란미국 과 같은 국가가 소련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이라크 정부를 약화시키기 위해 쿠르드족을 지원하는 등 외국의 개입이 있었습니다.전쟁은 간헐적인 휴전과 협상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1970년 알제리 대통령 후아리 부메디엔이 중재한 알제 협정은 적대 행위를 일시적으로 종식시킨 핵심 사건이었습니다.이 협정은 이 지역에서 쿠르드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고 쿠르드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정부에 대표권을 부여했습니다.그러나 합의가 완전히 이행되지 않아 향후 갈등이 발생했습니다.제1차 이라크-쿠르드 전쟁은 이라크 정부와 쿠르드족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위한 무대를 마련했으며, 자치권과 대표성의 문제는 후속 이라크 내 쿠르드족 투쟁의 핵심으로 남아 있습니다.
라마단 혁명
쿠데타 당시 철거된 카심의 이미지가 있는 표지판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63 Feb 8 - Feb 10

라마단 혁명

Iraq
1963년 2월 8일에 일어난 라마단 혁명은 바트당이 당시 집권하던 카심 정부를 전복시킨 이라크 역사의 중추적인 사건이었습니다.혁명은 라마단이라는 신성한 달에 일어났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었습니다.1958년 쿠데타 이후 총리직을 맡았던 압둘 카림 카심(Abdul Karim Qasim)은 바트당, 나세르파, 기타 범아랍 단체들의 연합에 의해 축출되었습니다.이 연합은 카심의 지도력, 특히 그의 비동맹 정책과이집트 와 시리아의 정치적 연합인 아랍 공화국에 가입하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었습니다.바트당은 동맹국들과 함께 쿠데타를 주도했습니다.주요 인물로는 Ahmed Hassan al-Bakr와 Abdul Salam Arif가 있습니다.쿠데타는 상당한 폭력으로 얼룩졌고, 카심 자신도 체포되어 곧 처형당하는 등 상당한 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쿠데타 이후 바트당은 이라크를 통치하기 위해 혁명지휘위원회(RCC)를 설립했다.압둘 살람 아리프(Abdul Salam Arif)가 대통령으로 임명되었고, 알 바크르(al-Bakr)가 총리가 되었습니다.그러나 곧 새 정부 내에서 내부 권력 투쟁이 나타나 1963년 11월 추가 쿠데타로 이어졌습니다. 이 쿠데타로 인해 바트당은 권력에서 축출되었으나 1968년에 다시 집권했습니다.라마단 혁명은 이라크의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이는 바트당이 이라크에서 처음으로 권력을 잡은 사건으로, 사담 후세인의 부상을 포함하여 미래의 지배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이는 또한 범아랍 정치에 대한 이라크의 참여를 강화했으며 수십 년 동안 이라크 정치를 특징짓는 일련의 쿠데타와 내부 갈등의 전조였습니다.
7월 17일 혁명
1968년 쿠데타의 주모자인 하산 알 바크르가 대통령에 취임한다. ©Anonymous
1968 Jul 17

7월 17일 혁명

Iraq
이라크 역사상 중추적인 사건인 7월 17일 혁명은 1968년 7월 17일에 일어났습니다. 이 무혈 쿠데타는 Ahmed Hassan al-Bakr, Abd ar-Razzaq an-Naif, Abd ar-Rahman al-Dawud가 주도했습니다.이로 인해 압둘 라만 아리프 대통령과 타히르 야히아 총리가 축출되었고, 아랍사회주의 바트당의 이라크 지역 지부가 집권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쿠데타와 그에 따른 정치적 숙청의 핵심 바트당 인사로는 하르단 알 티크리티, 살리 마흐디 암마쉬, 나중에 이라크 대통령이 된 사담 후세인 등이 있었습니다.쿠데타는 주로 1967년 6월 6일 전쟁 이후 정치적 위기를 이용했던 나세르주의자 야히아 총리를 표적으로 삼았습니다.Yahya는 이라크 석유를 이스라엘에 대한 지렛대로 사용하기 위해 서구 소유 이라크 석유 회사(IPC)의 국유화를 추진했습니다.그러나 IPC의 완전한 국유화는 바트당 정권 하에서 1972년에야 실현되었습니다.쿠데타의 여파로 이라크의 새로운 바트당 정부는 권력 강화에 집중했습니다.미국과 이스라엘의 간섭을 비난하고 거짓 간첩 혐의로 이라크 유대인 9명을 포함해 14명을 처형했으며 정치적 반대자들을 숙청했습니다.정권은 또한 소련과 이라크의 전통적인 관계를 강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바트당은 7월 17일 혁명부터 2003년 미국과 영국군의 침공으로 축출될 때까지 집권을 유지했다.7월 17일 혁명은 하시미트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라크 공화국을 수립한 1958년 7월 14일 혁명, 그리고 이라크 바트당이 처음으로 집권한 1963년 2월 8일 라마단 혁명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명 연립 정부의.
사담 후세인 치하의 이라크
군복을 입은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이라크에서 사담 후세인의 권력 장악은 영향력과 통제의 전략적 강화로 특징지어진다.1976년에 그는 이라크 군대의 장군이 되었고, 빠르게 정부의 핵심 인물로 떠올랐습니다.아흐메드 하산 알바크르 대통령의 건강이 악화되면서 사담은 국내외 문제에서 점점 더 이라크 정부의 얼굴이 되었습니다.그는 사실상 이라크의 외교 정책 설계자가 되어 외교적 교전에서 국가를 대표했으며 1979년 공식적으로 집권하기 몇 년 전부터 점차 사실상의 지도자가 되었습니다.이 기간 동안 사담은 바트당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그는 주요 당원들과 꼼꼼하게 관계를 구축하여 충성스럽고 영향력 있는 지지 기반을 형성했습니다.그의 책략은 동맹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당과 정부 내에서 자신의 지배력을 확보하는 것이기도 했습니다.1979년, 알바크르가 바트당 정권이 이끄는 시리아와 두 나라의 통합을 목표로 조약을 체결하면서 중요한 발전이 일어났습니다.이 계획에 따르면 시리아 대통령 하피즈 알 아사드는 후세인의 정치적 미래를 잠재적으로 위협할 수 있는 움직임인 연합의 부대표가 될 것입니다.소외될 위험을 감지한 사담은 자신의 권력을 확보하기 위해 단호하게 행동했습니다.그는 1979년 7월 16일 병든 알바크르를 사임하도록 강요했고, 이후 이라크 대통령직을 맡아 국가와 정치적 방향에 대한 통제력을 확고히 했습니다.1979년부터 2003년까지 사담 후세인 정권하의 이라크는 권위주의 통치와 지역 갈등으로 점철된 시기였다.1979년 이라크 대통령으로 집권한 사담은 신속하게 전체주의 정부를 수립하고 권력을 중앙집권하고 정치적 반대세력을 탄압했다.사담 통치의 초기 결정적 사건 중 하나는 1980년부터 1988년까지 벌어진 이란 -이라크 전쟁이었습니다. 석유가 풍부한 이란 영토를 장악하고 이란 이슬람 혁명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해 이라크가 시작한 이 전쟁은 상당한 사상자를 낳았고, 양국의 경제적 혼란.전쟁은 확실한 승자가 없는 교착상태로 끝났고, 이라크 경제와 사회에 큰 타격을 입혔다.1980년대 후반, 사담 정권은 이라크 북부의 쿠르드족을 상대로 한 알 안팔 캠페인으로 악명이 높았습니다.이 캠페인에는 1988년 할라브자(Halabja)와 같은 장소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하여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와 강제 이주를 초래하는 등 광범위한 인권 유린이 포함되었습니다.1990년 쿠웨이트 침공은 사담 통치의 또 다른 결정적인 지점이 되었다.이러한 공격 행위는 1991년 걸프전 으로 이어졌고, 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이 쿠웨이트에서 이라크군을 몰아내기 위해 개입했습니다.이 전쟁은 이라크에게 심각한 패배를 안겨주었고 유엔은 엄격한 경제 제재를 가했습니다.1990년대 내내 후세인 정권은 이러한 제재로 인해 국제적 고립에 직면했고, 이는 이라크 경제와 국민 복지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북한 정권은 대량살상무기(WMD)에 대한 사찰도 받았으나 최종적으로 발견된 바는 없었다.사담 통치의 마지막 장은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보유 주장을 제거하고 사담의 억압적인 정권을 종식시키겠다는 구실로 2003년 미국이 주도한 이라크 침공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이 침공으로 인해 사담 정부는 급속히 붕괴되었고 결국 2003년 12월에 체포되었습니다. 사담 후세인은 이후 이라크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고 2006년 반인류 범죄 혐의로 처형되었으며, 이로써 이라크 현대사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시기 중 하나가 끝났습니다. .
이란-이라크 전쟁
최전선에서 전략을 논의하는 이라크 사령관들, 1986년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80 Sep 22 - 1988 Aug 20

이란-이라크 전쟁

Iran
이웃 국가를 향한 이라크의 영토 야망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협상국 국가들의 계획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1919~1920년 오스만 제국이 분할되었을 때 시리아 동부, 터키 남동부, 쿠웨이트 전체 및 이란 국경 지역을 포함하는 더 큰 아랍 국가에 대한 제안이 있었습니다.이 비전은 1920년 영국 지도에 묘사되어 있습니다.Qādisiyyat-Saddām으로도 알려진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은 이러한 영토 분쟁의 직접적인 결과였습니다.전쟁은 비용이 많이 들고 결론이 나지 않았으며 이라크 경제를 파괴했습니다.1988년 이라크의 승리 선언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본질적으로 전쟁 전 경계로의 복귀였습니다.분쟁은 1980년 9월 22일 이라크의 이란 침공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움직임은 국경 분쟁의 역사와 이란 혁명에서 영감을 받은 이라크 다수 시아파 사이의 시아파 반란에 대한 우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이라크는 이란을 대체하여 페르시아만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미국 의 지원을 받았습니다.[58]그러나 이라크의 초기 공세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1982년 6월까지 이란은 잃어버린 영토를 거의 모두 되찾았으며 이후 6년 동안 이란은 대부분 공격 위치를 차지했습니다.유엔 안보리가 휴전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1988년 8월 20일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전쟁은 양측이 모두 수락한 결의안 598에 따라 유엔의 중재로 휴전으로 끝났습니다.이란군이 이라크 영토에서 철수하고 1975년 알제 협정에 명시된 전쟁 전 국제 국경을 존중하는 데 몇 주가 걸렸습니다.마지막 포로 교환은 2003년에 이루어졌다. [59]전쟁은 막대한 인적, 경제적 피해를 입혔으며 양측에서 약 50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사망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영토 변화나 배상을 가져오지 못했습니다.이 분쟁은 참호전, 이란 군대와 민간인, 그리고 이라크 쿠르드족을 상대로 이라크가 겨자 가스와 같은 화학 무기를 사용하는 등 제1차 세계 대전 전술을 반영했습니다.유엔은 화학무기 사용을 인정했지만 이라크를 유일한 사용자로 지정하지는 않았습니다.이로 인해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사용하는 동안 국제사회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나왔다.[60]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걸프전
바빌론의 사자(Lion of Babylon) 주력 전차는 걸프전에서 이라크군이 사용한 일반적인 이라크 전차입니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90 Aug 2 - 1991 Feb 28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걸프전

Kuwait
걸프전은 이라크와 미국 이 주도하는 42개국 연합군이 벌이는 전쟁으로, 크게 사막의 방패 작전(Operation Desert Shield)과 사막의 폭풍 작전(Operation Desert Storm)의 두 단계로 전개되었습니다.사막의 방패 작전은 군사력 증강으로 1990년 8월에 시작되어 1991년 1월 17일 공중 폭격을 통해 사막의 폭풍 작전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전쟁은 1991년 2월 28일 쿠웨이트 해방으로 정점에 달했습니다.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이틀 만에 쿠웨이트가 완전히 점령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이라크는 쿠웨이트를 합병하기 전에 처음에는 "쿠웨이트 공화국"이라는 꼭두각시 정부를 설립했습니다.합병은 쿠웨이트를 "사다미야트 알미틀라 지구"와 "쿠웨이트 주"의 두 부분으로 나누었습니다.침공은 주로 이라크의 경제적 어려움, 특히 이란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쿠웨이트에 140억 달러의 빚을 갚지 못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OPEC 할당량을 초과하는 쿠웨이트의 석유 생산량 증가는 국제 유가를 낮추어 이라크 경제를 더욱 압박했습니다.이라크는 쿠웨이트의 행동을 경제 전쟁으로 간주하여 침공을 촉발했습니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SC)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이라크의 행동을 규탄했다.UNSC 결의안 660호와 661호는 이라크에 대한 경제제재를 부과했습니다.조지 HW 부시 대통령 시대의 미국과 마가렛 대처 총리 시대의 영국은 사우디아라비아에 군대를 파견해 다른 나라들도 같은 일을 하도록 촉구했다.이로 인해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 영국 ,이집트 의 상당한 기여를 받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대규모 군사 연합이 형성되었습니다.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망명 정부는 연합 비용의 상당 부분을 자금으로 지원했습니다.1990년 11월 29일 통과된 UNSC 결의안 678은 이라크에게 1991년 1월 15일까지 쿠웨이트에서 철수할 수 있는 기한을 부여하고, 기한 이후 이라크를 강제로 몰아내기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승인했습니다.연합군은 1991년 1월 17일에 공중 및 해군 포격을 시작했으며, 이는 5주 동안 계속되었습니다.이 기간 동안 이라크는 이스라엘의 대응을 자극하여 연합군을 분열시키기를 희망하면서 이스라엘에 미사일 공격을 시작했습니다.그러나 이스라엘은 보복하지 않았고 연합군은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이라크는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연합군을 표적으로 삼았지만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1991년 2월 24일, 연합군은 쿠웨이트에 대한 대규모 지상 공격을 시작하여 신속하게 쿠웨이트를 해방시키고 이라크 영토로 진격했습니다.지상 공세가 시작된 지 100시간 만에 휴전이 선언됐다.걸프전은 특히 CNN을 통해 최전선에서 실시간 뉴스 방송으로 유명했으며, 미국 폭격기의 카메라에서 방송된 이미지로 인해 "비디오 게임 전쟁"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이 전쟁에는 미국 군사 역사상 가장 큰 탱크 전투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라크의 점령
2006년 8월 16일 라마디에서 도보 순찰 중 보안을 제공하는 미군 병사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2003 Jan 1 - 2011

이라크의 점령

Iraq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이어진 이라크 점령은 2003년 3월 미국이 주도한 침공으로 시작됐다. 이번 침공은 대량살상무기(WMD) 제거를 구실로 사담 후세인 정권을 붕괴시키려는 목적이었는데,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신속한 군사 작전은 바트당 정부의 급격한 붕괴를 가져왔습니다.사담 후세인이 몰락한 후, 미국이 이끄는 연합임시정부(CPA)가 이라크를 통치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CPA의 수장인 폴 브레머(Paul Bremer)는 점령 초기 단계에서 이라크 군대의 해체, 이라크 사회의 탈바트화(de-Ba'athification)와 같은 정책을 실행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이러한 결정은 이라크의 안정과 안보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점령 기간에는 반군 집단의 증가, 종파간 폭력, 이라크 인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장기간의 갈등이 있었습니다.반란에는 전직 바트주의자, 이슬람주의자, 외국 전사 등 다양한 단체가 참여하여 복잡하고 불안정한 안보 상황을 초래했습니다.2004년에는 공식적으로 이라크 임시정부에 주권이 반환됐다.그러나 주로 미군을 중심으로 한 외국군의 주둔은 계속됐다.이 기간에는 2005년 1월 임시국회 선거, 2005년 10월 개헌 국민투표, 2005년 12월 첫 국회의원 선거 등 여러 차례의 주요 선거가 있었으며, 이는 이라크의 민주적 체제 구축을 향한 첫 걸음을 내디뎠습니다.이라크의 상황은 종종 종파적 노선을 따르는 다양한 민병대의 존재와 행동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이 시대는 상당한 민간인 사상자와 난민이 발생하여 인도주의적 우려가 높아지는 시기였습니다.2007년 조지 W. 부시 대통령 집권 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대에 이어진 미군 병력 증원은 폭력을 줄이고 이라크 정부 통제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이 전략은 반란과 종파간 충돌의 수준을 줄이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습니다.2008년에 체결된 미국-이라크 주둔군 지위 협정은 이라크에서 미군 철수를 위한 기본 틀을 설정했습니다.2011년 12월까지 미국은 공식적으로 이라크 주둔을 종료하며 점령 기간이 끝났습니다.그러나 침략과 점령의 여파는 계속해서 이라크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에 영향을 미쳐 이 지역에서 미래의 도전과 갈등을 위한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2003년 이라크 침공
바그다드 전투 중 궁전에 입장하는 해병 7사단 1대대 병사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2003 Mar 20 - May 1

2003년 이라크 침공

Iraq
미국이 주도한 이라크 침공은 이라크 전쟁의 시작을 알리며 2003년 3월 19일 공중전을 시작으로 3월 20일 지상군을 투입했다.초기 침공 단계는 한 달 남짓 지속되었으며 [61] 2003년 5월 1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주요 전투 작전 종료 선언으로 끝났습니다. 이 단계에는 미국, 영국 , 호주 및 폴란드 군대가 참여했습니다. 6일간의 바그다드 전투 이후 2003년 4월 9일 연합군이 바그다드를 점령했다.연합 임시정부(CPA)는 2005년 1월 이라크의 첫 번째 의회 선거를 이끄는 과도정부로 설립되었습니다. 미군은 2011년까지 이라크에 주둔했습니다 [.62]연합군은 초기 침공 동안 160,000명의 병력을 배치했는데, 주로 미군과 영국, 호주, 폴란드 파견대가 상당했습니다.이 작전에 앞서 2월 18일까지 쿠웨이트에 10만 명의 미군이 집결했다.연합은 이라크 쿠르디스탄의 Peshmerga로부터 지원을 받았습니다.침공의 명시된 목표는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WMD)를 무장 해제하고, 사담 후세인의 테러 지원을 종식시키고, 이라크 국민을 해방시키는 것이었습니다.이는 한스 블릭스(Hans Blix)가 이끄는 유엔 조사단이 침공 직전 대량살상무기의 증거를 찾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습니다.[63] 미국과 영국 관리들에 따르면 이라크가 무장해제를 위한 "최종 기회"를 준수하지 못한 데 따른 침공이 이어졌다.[64]미국의 여론은 양분되었습니다. 2003년 1월 CBS 여론조사에서는 이라크에 대한 군사적 행동에 대한 다수의 지지가 나타났지만, 외교적 해결책에 대한 선호와 전쟁으로 인한 테러 위협 증가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습니다.침공은 대량살상무기의 존재와 전쟁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한 프랑스 , ​​독일 , 뉴질랜드를 포함한 몇몇 미국 동맹국들의 반대에 직면했습니다.1991년 걸프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후 화학무기 발견은 침공 근거를 뒷받침하지 않았습니다.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 [] 나중에 국제법에 따라 침략이 불법이라고 간주했습니다.[66]침공 이전에 세계적인 반전 시위가 일어났으며, 로마에서 기록적인 집회가 열렸고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참여했습니다.[67] 침공은 3월 20일 바그다드 대통령궁에 대한 공습으로 시작되었고, 이어서 바스라 주에 대한 지상 침공과 이라크 전역에 대한 공습이 이어졌다.연합군은 신속하게 이라크군을 격파하고 4월 9일 바그다드를 점령했으며, 후속 작전을 통해 다른 지역도 확보했습니다.사담 후세인과 그의 지도부는 숨어 있었고, 5월 1일 부시는 주요 전투 작전을 종료하고 군사 점령 기간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두 번째 이라크 반란
이라크 북부에서 온 무장한 이라크 반군 2명. ©Anonymous
2011 Dec 18 - 2013 Dec 30

두 번째 이라크 반란

Iraq
이라크 전쟁이 끝나고 미군이 철수한 이후 2011년 말에 다시 시작된 이라크 반란은 중앙 정부와 이라크 내 다양한 ​​종파 집단이 참여한 격렬한 갈등의 시기였습니다.이 반란은 2003년 미국이 주도한 침공 이후의 불안정이 직접적으로 이어진 것이었습니다.수니파 무장단체들은 특히 다수의 시아파를 표적으로 삼아 공격을 강화해 시아파가 주도하는 정부의 신뢰도와 연합 철수 후 안보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약화시켰습니다.2011년에 시작된 시리아 내전 [] 반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수많은 이라크 수니파와 시아파 무장세력이 시리아에서 반대편에 합류하여 이라크의 종파간 긴장을 악화시켰습니다.[69]2014년 이라크와 시리아 이슬람국가(ISIS)가 모술과 이라크 북부의 주요 영토를 점령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습니다.살라피 지하디스트 무장단체인 ISIS는 수니파 이슬람에 대한 근본주의적 해석을 고수하며 칼리프 국가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2014년 이라크 서부 공세와 그에 따른 모술 점령 과정에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ISIS가 자행한 신자르 학살은 이들의 잔혹성을 더욱 부각시켰습니다.[70] 따라서 이라크 분쟁은 시리아 내전과 합쳐져 더욱 광범위하고 치명적인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이라크 전쟁
서아시아 이라크 북부 모술 거리의 ISOF APC.2016년 11월 16일. ©Mstyslav Chernov
2013 Dec 30 - 2017 Dec 9

이라크 전쟁

Iraq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이라크 전쟁은 이라크 시리아 이슬람 국가(ISIS)의 흥망과 국제 연합의 개입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라크 최근 역사의 중요한 국면이었습니다.2013년 초, 수니파 인구 사이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불만이 커지면서 시아파가 주도하는 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시위가 벌어졌습니다.이러한 시위는 종종 무력에 부딪혀 종파적 분열을 심화시켰습니다.전환점은 2014년 6월 급진 이슬람 단체인 ISIS가 이라크 제2의 도시인 모술을 점령했을 때 찾아왔습니다.이 사건은 이라크와 시리아의 통제 지역에 칼리프를 선포한 ISIS의 상당한 확장을 의미합니다.모술이 함락된 후 티크리트와 팔루자를 포함한 다른 주요 도시도 함락되었습니다.ISIS의 급속한 영토 획득에 대응하여 하이데르 알 아바디 총리가 이끄는 이라크 정부는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국제 연합을 결성한 미국은 2014년 8월 ISIS 목표물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종종 이란 의 지원을 받는 이라크군, 쿠르드족 페슈메르가 전사, 시아파 민병대의 지상 작전으로 보완되었습니다.분쟁의 중추적인 사건은 ISIS로부터 도시를 탈환하기 위한 이라크 군대의 대규모 반격인 라마디 전투(2015~2016)였습니다.이 승리는 이라크에 대한 ISIS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2016년에는 초점이 모술로 옮겨졌습니다.2016년 10월에 시작되어 2017년 7월까지 지속된 모술 전투는 ISIS에 맞서는 가장 크고 중요한 군사 작전 중 하나였습니다.미국이 주도하는 연합군과 쿠르드족 전사들의 지원을 받는 이라크군은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지만 결국 도시를 해방시키는 데 성공했다.분쟁이 진행되는 동안 인도주의적 위기는 더욱 커졌습니다.수백만 명의 이라크인이 난민이 되었고, 야지디족과 기타 소수민족에 대한 대량 처형과 대량 학살을 포함하여 ISIS가 자행한 잔학 행위에 대한 보고가 널리 퍼졌습니다.전쟁은 2017년 12월 하이데르 알아바디 총리가 ISIS에 대한 승리를 선언하면서 공식적으로 끝났다.그러나 ISIS는 영토 통제권을 상실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란 전술과 테러 공격을 통해 계속해서 위협을 가했습니다.전쟁의 여파로 인해 이라크는 엄청난 재건 문제, 종파적 긴장, 정치적 불안정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2017년 이라크 ISIS 반란
2018년 10월 30일 이라크에서 Battelle Drone Defender와 함께하는 미 육군 제3기병연대 제1비행대 훈련. 미군은 ISIL 부대가 정찰이나 공격 중에 드론을 배치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2017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이라크의 이슬람 국가 반란은 2016년 말 이라크에서 이슬람 국가(ISIS)가 영토를 차지한 이후에 발생합니다. 이 단계는 ISIS가 넓은 영토를 통제하는 것에서 게릴라전 전략으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냅니다.2017년, 이라크군은 국제적인 지원을 받아 ISIS 거점이었던 모술과 같은 주요 도시를 탈환했습니다.2017년 7월 모술의 해방은 ISIS가 자칭 칼리프 국가라고 주장하는 국가의 붕괴를 상징하는 중요한 이정표였습니다.그러나 이번 승리로 이라크에서의 ISIS 활동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2017년 이후 ISIS는 뺑소니 공격, 매복, 자살폭탄 공격을 포함한 반란 전술로 되돌아갔습니다.이러한 공격은 주로 역사적으로 ISIS가 존재했던 지역인 이라크 북부와 서부의 이라크 보안군, 현지 부족 인사,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았습니다.반군은 정치적 불안정, 종파적 분열, 이라크 수니파 주민들의 불만을 이용했습니다.이러한 요인들은 이 지역의 험난한 지형과 결합되어 ISIS 세포의 지속성을 촉진했습니다.중요한 사건으로는 2017년 12월 당시 이라크 총리 하이데르 알 아바디가 ISIS에 대한 승리를 선언한 것과 이후 특히 이라크 농촌 지역에서 ISIS 공격이 다시 발생한 것이 있습니다.이번 공격은 영토 통제력 상실에도 불구하고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그룹의 지속적인 능력을 강조했습니다.이 반란 단계의 주목할만한 인물로는 2019년 사망할 때까지 ISIS의 지도자였던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와 반란 작전을 계속 지휘한 후속 지도자들이 있습니다.이라크 정부, 쿠르드족 군대, 다양한 준군사 단체는 종종 국제 연합의 지원을 받아 대반군 작전에 참여해 왔습니다.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의 복잡한 사회정치적 환경은 ISIS 영향력의 완전한 근절을 방해해 왔습니다.2023년 현재 이라크의 이슬람국가(IS) 반군은 여전히 ​​중요한 안보 과제로 남아 있으며, 산발적인 공격이 계속해서 국가의 안정과 안보를 방해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은 반군 전쟁의 지속적인 성격과 그러한 움직임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반영합니다.

Appendices



APPENDIX 1

Iraq's Geography


Play button




APPENDIX 2

Ancient Mesopotamia 101


Play button




APPENDIX 3

Quick History of Bronze Age Languages of Ancient Mesopotamia


Play button




APPENDIX 4

The Middle East's cold war, explained


Play button




APPENDIX 5

Why Iraq is Dying


Play button

Characters



Ali Al-Wardi

Ali Al-Wardi

Iraqi Social Scientist

Saladin

Saladin

Founder of the Ayyubid dynasty

Shalmaneser III

Shalmaneser III

King of the Neo-Assyrian Empire

Faisal I of Iraq

Faisal I of Iraq

King of Iraq

Hammurabi

Hammurabi

Sixth Amorite king of the Old Babylonian Empire

Ibn al-Haytham

Ibn al-Haytham

Mathematician

Al-Ma'mun

Al-Ma'mun

Seventh Abbasid caliph

Saddam Hussein

Saddam Hussein

Fifth President of Iraq

Tiglath-Pileser III

Tiglath-Pileser III

King of the Neo-Assyrian Empire

Ur-Nammu

Ur-Nammu

Founded the Neo-Sumerian Empire

Al-Jahiz

Al-Jahiz

Arabic prose writer

Al-Kindi

Al-Kindi

Arab Polymath

Ashurbanipal

Ashurbanipal

King of the Neo-Assyrian Empire

Ashurnasirpal II

Ashurnasirpal II

King of the Neo-Assyrian Empire

Sargon of Akkad

Sargon of Akkad

First Ruler of the Akkadian Empire

Nebuchadnezzar II

Nebuchadnezzar II

Second Neo-Babylonian emperor

Al-Mutanabbi

Al-Mutanabbi

Arab Poet

Footnotes



  1. Mithen, Steven (2006). After the ice: a global human history, 20,000–5,000 BC (1st ed.).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p. 63. ISBN 978-0-674-01999-7.
  2. Moore, A.M.T.; Hillman, G.C.; Legge, A.J. (2000). Village on the Euphrates: From Foraging to Farming at Abu Hureyr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0807-8.
  3. Schmidt, Klaus (2003). "The 2003 Campaign at Göbekli Tepe (Southeastern Turkey)" (PDF). Neo-Lithics. 2/03: 3–8. ISSN 1434-6990. Retrieved 21 October 2011.
  4. Gates, Charles (2003). "Near Eastern, Egyptian, and Aegean Cities",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Routledge. p. 18. ISBN 978-0-415-01895-1.
  5. Mithen, Steven (2006). After the ice : a global human history, 20,000–5,000 BC (1st ed.).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p. 59. ISBN 978-0-674-01999-7.
  6. "Jericho", Encyclopædia Britannica
  7. Liran, Roy; Barkai, Ran (March 2011). "Casting a shadow on Neolithic Jericho". Antiquitey Journal, Volume 85, Issue 327.
  8. Kramer, Samuel Noah (1988). In the World of Sumer: An Autobiograph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p. 44. ISBN 978-0-8143-2121-8.
  9. Leick, Gwendolyn (2003),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10. Wolkstein, Diane; Kramer, Samuel Noah (1983).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Elizabeth Williams-Forte. New York: Harper & Row. p. 174. ISBN 978-0-06-014713-6.
  11. "The origin of the Sumerians is unknown; they described themselves as the 'black-headed people'" Haywood, John (2005).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Civilizations. Penguin. p. 28. ISBN 978-0-14-101448-7.
  12. Elizabeth F. Henrickson; Ingolf Thuesen; I. Thuesen (1989). Upon this Foundation: The N̜baid Reconsidered : Proceedings from the U̜baid Symposium, Elsinore, May 30th-June 1st 1988. Museum Tusculanum Press. p. 353. ISBN 978-87-7289-070-8.
  13. Algaze, Guillermo (2005). The Uruk World System: The Dynamics of Expansion of Early Mesopotamian Civilization, Second 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Lamb, Hubert H. (1995). Climate, History, and the Modern World. London: Routledge. ISBN 0-415-12735-1
  15. Jacobsen, Thorkild (1976), "The Harps that Once...; Sumerian Poetry in Translation" and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ry of Mesopotamian Religion".
  16. Roux, Georges (1993). Ancient Iraq. Harmondsworth: Penguin. ISBN 978-0-14-012523-8.
  17. Encyclopedia Iranica: Elam - Simashki dynasty, F. Vallat.
  18. Lafont, Bertrand. "The Army of the Kings of Ur: The Textual Evidence". Cuneiform Digital Library Journal.
  19. Eidem, Jesper (2001). The Shemshāra Archives 1: The Letters.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p. 24. ISBN 9788778762450.
  20. Thomas, Ariane; Potts, Timothy (2020).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Getty Publications. p. 14. ISBN 978-1-60606-649-2.
  21. Katz, Dina, "Ups and Downs in the Career of Enmerkar, King of Uruk", Fortune and Misfortune in the Ancient Near East: Proceedings of the 60th Rencontre Assyriologique Internationale Warsaw, 21–25 July 2014, edited by Olga Drewnowska and Malgorzata Sandowicz, University Park, USA: Penn State University Press, pp. 201-210, 2017.
  22. Lieberman, Stephen J., "An Ur III Text from Drēhem Recording ‘Booty from the Land of Mardu.’",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vol. 22, no. 3/4, pp. 53–62, 1968.
  23. Clemens Reichel, "Political Change and Cultural Continuity in Eshnunna from the Ur III to the Old Babylonian Period", Department of Near Easter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University of Chicago, 1996.
  24. Lawson Younger, K., "The Late Bronze Age / Iron Age Transition and the Origins of the Arameans", Ugarit at Seventy-Five, edited by K. Lawson Younger Jr., University Park, USA: Penn State University Press, pp. 131-174, 2007.
  25. Schneider, Thomas (2003). "Kassitisch und Hurro-Urartäisch. Ein Diskussionsbeitrag zu möglichen lexikalischen Isoglossen". Altorientalische Forschungen (in German) (30): 372–381.
  26. Sayce, Archibald Henry (1878). "Babylon–Babylonia" . In Baynes, T. S. (ed.).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3 (9th e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p. 182–194, p. 104.
  27. H. W. F. Saggs (2000). Babylonians. British Museum Press. p. 117.
  28. Arnold, Bill (2004). Who were the Babylonians?. Atlanta, G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pp. 61–73. ISBN 9781589831063.
  29. Merrill, Eugene; Rooker, Mark F.; Grisanti, Michael A (2011). The World and the Word: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Nashville, Tennessee: B&H Publishing Group. ISBN 978-0-8054-4031-7, p. 30.
  30. Aberbach, David (2003). Major Turning Points in Jewish Intellectual Histor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ISBN 978-1-4039-1766-9, p. 4.
  31. Radner, Karen (2012). "The King's Road – the imperial communication network". Assyrian empire builders. University College London.
  32. Frahm, Eckart (2017). "The Neo-Assyrian Period (ca. 1000–609 BCE)". In E. Frahm (ed.). A Companion to Assyria. Hoboken: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32524-7, pp. 177–178.
  33. Bagg, Ariel (2016). "Where is the Public? A New Look at the Brutality Scenes in Neo-Assyrian Royal Inscriptions and Art". In Battini, Laura (ed.). Making Pictures of War: Realia et Imaginaria in the Icon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Archaeopress Ancient Near Eastern Archaeology. Oxford: Archaeopress. doi:10.2307/j.ctvxrq18w.12. ISBN 978-1-78491-403-5, pp. 58, 71.
  34. Veenhof, Klaas R.; Eidem, Jesper (2008). Mesopotamia: The Old Assyrian Period. Orbis Biblicus et Orientalis. Göttingen: Academic Press Fribourg. ISBN 978-3-7278-1623-9, p. 19.
  35. Liverani, Mario (2014). The Ancient Near East: History, Society and Economy. Translated by Tabatabai, Soraia. Oxford: Routledge. ISBN 978-0-415-67905-3, p. 208.
  36. Lewy, Hildegard (1971). "Assyria c. 2600–1816 BC". In Edwards, I. E. S.; Gadd, C. J.; Hammond, N. G. L. (eds.).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I Part 2: Early History of the Middle East (3r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7791-0, p. 731.
  37. Zara, Tom (2008). "A Brief Study of Some Aspects of Babylonian Mathematics". Liberty University: Senior Honors Theses. 23, p. 4.
  38. Dougherty, Raymond Philip (2008). Nabonidus and Belshazzar: A Study of the Closing Events of the Neo-Babylonian Empire. Wipf and Stock Publishers. ISBN 978-1-55635-956-9, p. 1.
  39. Hanish, Shak (2008). "The Chaldean Assyrian Syriac people of Iraq: an ethnic identity problem". Digest of Middle East Studies. 17 (1): 32–47. doi:10.1111/j.1949-3606.2008.tb00145.x, p. 32.
  40. "The Culture And Social Institutions Of Ancient Iran" by Muhammad A. Dandamaev, Vladimir G. Lukonin. Page 104.
  41. Cameron, George (1973). "The Persian satrapies and related matter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32: 47–56. doi:10.1086/372220. S2CID 161447675.
  42. Curtis, John (November 2003). "The Achaemenid Period in Northern Iraq" (PDF). L'Archéologie de l'Empire Achéménide. Paris, France: 3–4.
  43. Farrokh, Kaveh; Frye, Richard N. (2009). Shadows in the Desert: Ancient Persia at War. Bloomsbury USA. p. 176. ISBN 978-1-84603-473-2.
  44. Steven C. Hause, William S. Maltby (2004). Western civilization: a history of European society. Thomson Wadsworth. p. 76. ISBN 978-0-534-62164-3.
  45. Roux, Georges.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 ISBN 0-14-012523-X.
  46. Buck, Christopher (1999). Paradise and Paradigm: Key Symbols in Persian Christianity and the Baháí̕ Faith. SUNY Press. p. 69. ISBN 9780791497944.
  47. Rosenberg, Matt T. (2007). "Largest Cities Through History". New York: Abou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8-18. Retrieved 2012-05-01.
  48. "ĀSŌRISTĀN". Encyclopædia Iranica. Retrieved 15 July 2013. ĀSŌRISTĀN, name of the Sasanian province of Babylonia.
  49. Saliba, George (1994). A History of Arabic Astronomy: Planetary Theories During the Golden Age of Islam. New York University Press. pp. 245, 250, 256–257. ISBN 0-8147-8023-7.
  50. Gutas, Dimitri (1998). Greek Thought, Arabic Culture: The Graeco-Arabic Translation Movement in Baghdad and Early 'Abbāsid Society (2nd-4th/8th-10th Centuries). London: Routledge.
  51. Thomas T. Allsen 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p.84.
  52. Atwood, Christopher Pratt (2004).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New York, NY: Facts On File. ISBN 0-8160-4671-9.
  53. Bayne Fisher, William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p.3.
  54. "Mesopotamian Front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encyclopedia.1914-1918-online.net. Retrieved 2023-09-24.
  55. Christopher Catherwood (22 May 2014). The Battles of World War I. Allison & Busby. pp. 51–2. ISBN 978-0-7490-1502-2.
  56. Glubb Pasha and the Arab Legion: Britain, Jordan and the End of Empire in the Middle East, p7.
  57. Atiyyah, Ghassan R. Iraq: 1908–1921, A Socio-Political Study. The Arab Institute for Research and Publishing, 1973, 307.
  58. Tyler, Patrick E. "Officers Say U.S. Aided Iraq in War Despite Use of Gas" Archived 2017-06-30 at the Wayback Machine New York Times August 18, 2002.
  59. Molavi, Afshin (2005). "The Soul of Iran". Norton: 152.
  60. Abrahamian, Ervand, A History of Modern Iran, Cambridge, 2008, p.171.
  61. "U.S. Periods of War and Dates of Recent Conflicts" (PDF).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9 November 202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8 March 2015. Retrieved 4 April 2015.
  62. Gordon, Michael; Trainor, Bernard (1 March 1995). The Generals' War: The Inside Story of the Conflict in the Gulf. New York: Little Brown & Co.
  63. "President Discusses Beginning of Operation Iraqi Freed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11. Retrieved 29 October 2011.
  64. "President Bush Meets with Prime Minister Blair". Georgewbush-whitehouse.archives.gov. 31 January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March 2011. Retrieved 13 September 2009.
  65. Hoar, Jennifer (23 June 2006). "Weapons Found In Iraq Old, Unusable". CBS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pril 2019. Retrieved 14 March 2019.
  66. MacAskill, Ewen; Borger, Julian (15 September 2004). "Iraq war was illegal and breached UN charter, says Annan". The Guardian. Retrieved 3 November 2022.
  67. "Guinness World Records, Largest Anti-War Rally". Guinness World Record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04. Retrieved 11 January 2007.
  68. "Suicide bomber kills 32 at Baghdad funeral march". Fox News. Associated Press. 27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2. Retrieved 22 April 2012.
  69. Salem, Paul (29 November 2012). "INSIGHT: Iraq's Tensions Heightened by Syria Conflict". Middle East Voices (Voice of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13. Retrieved 3 November 2012.
  70. Fouad al-Ibrahim (22 August 2014). "Why ISIS is a threat to Saudi Arabia: Wahhabism's deferred promise". Al Akhbar Engl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August 2014.

References



  • Broich, John. Blood, Oil and the Axis: The Allied Resistance Against a Fascist State in Iraq and the Levant, 1941 (Abrams, 2019).
  • de Gaury, Gerald. Three Kings in Baghdad: The Tragedy of Iraq's Monarchy, (IB Taurus, 2008). ISBN 978-1-84511-535-7
  • Elliot, Matthew. Independent Iraq: British Influence from 1941 to 1958 (IB Tauris, 1996).
  • Fattah, Hala Mundhir, and Frank Caso. A brief history of Iraq (Infobase Publishing, 2009).
  • Franzén, Johan. "Development vs. Reform: Attempts at Modernisation during the Twilight of British Influence in Iraq, 1946–1958," Journal of Imperial and Commonwealth History 37#1 (2009), pp. 77–98
  • Kriwaczek, Paul. Babylon: Mesopotamia and the Birth of Civilization. Atlantic Books (2010). ISBN 978-1-84887-157-1
  • Murray, Williamson, and Kevin M. Woods.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P, 2014).
  • Roux, Georges.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 ISBN 0-14-012523-X
  • Silverfarb, Daniel. Britain's informal empire in the Middle East: a case study of Iraq, 1929-1941 (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 Silverfarb, Daniel. The twilight of British ascendancy in the Middle East: a case study of Iraq, 1941-1950 (1994)
  • Silverfarb, Daniel. "The revision of Iraq's oil concession, 1949–52." Middle Eastern Studies 32.1 (1996): 69-95.
  • Simons, Geoff. Iraq: From Sumer to Saddam (Springer, 2016).
  • Tarbush, Mohammad A. The role of the military in politics: A case study of Iraq to 1941 (Routledge, 2015).
  • Tripp, Charles R. H. (2007). A History of Iraq 3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