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button

247 BCE - 224

파르티아 제국



아르사케드 제국(Arsacid Empire)으로도 알려진 파르티아 제국(Parthian Empire)은 기원전 247년부터 서기 224년까지 고대 이란의 주요 이란 정치, 문화 강국이었습니다.후자의 이름은 파르니 부족을 이끌고 이란 북동부의 파르티아 지역을 정복한 후 안드라고라스 휘하의 총독(속주)을 셀레우코스 제국 에 대항하여 정복한 창립자 아르사케스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미트리다테스 1세는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 메디아와 메소포타미아를 빼앗아 제국을 크게 확장했습니다.전성기의 파르티아 제국은 유프라테스 강 북부(지금의 터키 중동부)부터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서부 파키스탄 까지 영토를 넓혔습니다.지중해 분지의 로마 제국과 중국 한 왕조 사이의 실크로드 무역로에 위치한 제국은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페르시아, 헬레니즘 및 지역 문화를 포괄하는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제국의 예술, 건축, 종교적 신념 및 왕실 휘장을 크게 채택했습니다.아르사키드 왕조는 창립 초기 절반 동안 그리스 문화 요소를 채택했지만 결국에는 이란 전통이 점진적으로 부활했습니다.Arsacid 통치자는 Achaemenid 제국 의 상속자라는 주장으로 "왕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실제로 그들은 Achaemenids가 대체로 자율적이지만 satraps를 중앙에서 임명했을 곳에서 많은 지역 왕을 가신으로 받아 들였습니다.법원은 주로 이란 외부에 소수의 태수를 임명했지만 이러한 satrapy는 Achaemenid 유력자보다 작고 덜 강력했습니다.아르사신조의 세력이 확장되면서 중앙 정부의 소재지는 니사에서 티그리스 강(지금의 이라크 바그다드 남쪽)을 따라 크테시폰으로 옮겨졌지만, 다른 여러 곳도 수도 역할을 했습니다.파르티아의 초기 적들은 서쪽의 셀레우코스와 북쪽의 스키타이였습니다.그러나 파르티아가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아르메니아 왕국, 그리고 결국 후기 로마 공화국과 충돌하게 되었다.로마와 파르티아는 아르메니아 왕을 종속 고객으로 삼기 위해 서로 경쟁했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기원전 53년 카레 전투에서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Marcus Licinius Crassus)의 군대를 격파했고, 기원전 40~39년에 파르티아인들은 로마인들로부터 티레를 제외한 레반트 전체를 점령했다.그러나 Mark Antony는 Parthia에 대한 반격을 이끌었지만 그의 성공은 일반적으로 그의 부재 중에 Ventidius 중위의지도 아래 달성되었습니다.이후 몇 세기 동안 이어지는 로마-파르티아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로마 황제나 그들이 임명한 장군들이 메소포타미아를 침공했습니다.로마인들은 이 분쟁 중에 여러 차례 셀레우키아(Seleucia)와 크테시폰(Ctesiphon) 도시를 점령했지만 결코 그들을 붙잡을 수 없었습니다.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파르티아 경쟁자들 사이의 잦은 내전은 외세의 침략보다 제국의 안정에 더 위험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페르시스의 이스타크르의 통치자 아르다시르 1세가 서기 224년 아르사키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그들의 마지막 통치자 아르타바누스 4세를 살해하자 파르티아의 권력은 증발했습니다. .아르다시르(Ardashir)는 서기 7세기 무슬림이 정복할 때까지 이란과 근동 대부분을 통치한 사산 왕조 를 세웠지만, 아르사키드 왕조는 코카서스의 아르메니아 ,이베리아 , 알바니아를 통치한 가문의 분파를 통해 계속 살았습니다.
HistoryMaps Shop

상점 방문

247 BCE - 141 BCE
형성과 초기 확장ornament
파르니의 파르티아 정복
파르니의 파르티아 정복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247 BCE Jan 1 00:01

파르니의 파르티아 정복

Ashgabat, Turkmenistan
기원전 245년, 파르티아의 셀레우코스 총독(사트라프) 안드라고라스는 안티오코스 2세가 죽은 뒤 프톨레마이오스 3세가 셀레우코스 왕조의 수도인 안티오크를 장악하면서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잠시 동안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동안 "스키타이 또는 박트리아 출신의 아르사케스라는 사람이 파르니 부족의 지도자로 선출되었습니다."셀레우코스 제국에서 파르티아가 분리되고 그 결과 셀레우코스 군사 지원이 상실된 후 안라고라스는 국경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기원전 238년경 "아르사케스와 그의 형제 티리다테스"의 지휘 아래 파르니가 파르티아를 침공하여 지배권을 장악했습니다. 그 영토의 북부 지역인 아스타베네(아스타와)의 행정 수도는 카부찬(불가타에서는 쿠찬)이었다.잠시 후 Parni는 Andragoras에서 나머지 Parthia를 점령하고 그 과정에서 그를 죽였습니다.지방을 정복하면서 아르사코스는 그리스와 로마 자료에서 파르티아인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아르사케스 1세는 파르티아의 첫 번째 왕이자 파르티아 아르사케스 왕조의 창시자이자 시조가 되었습니다.
Antiochus III의 캠페인
셀레우코스 갈보리 대 로마 보병 ©Igor Dzis
209 BCE Jan 1

Antiochus III의 캠페인

Turkmenistan
안티오코스 3세는 동부 지방의 지배권을 되찾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고, 전투에서 파르티아군을 격파한 후 성공적으로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되찾았습니다.파르티아인들은 가신 지위를 받아들여야 했고 이제는 이전 셀레우코스 지방인 파르티아에 맞는 땅만을 통제했습니다.그러나 파르티아의 가신은 기껏해야 명목상에 불과했고 셀레우코스 군대가 문앞에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동부 지방을 탈환하고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치하에서와 마찬가지로 극동까지 셀레우코스 국경을 확립한 공로로 안티오코스는 귀족들로부터 위대한 칭호를 받았습니다.파르티아인들에게는 다행스럽게도 셀레우코스 제국에는 적들이 많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안티오쿠스는 그의 군대를 서쪽으로 이끌고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와 떠오르는 로마 공화국과 싸웠습니다.셀레우코스 왕조는 기원전 190년 마그네시아에서 셀레우코스 왕조가 패배한 이후 파르티아 문제에 더 이상 개입할 수 없었습니다.프리아파티우스(기원전 191~176년)는 아르사케스 2세의 뒤를 이었고, 프라아테스 1세(기원전 176~171년)는 결국 파르티아 왕좌에 올랐습니다.프라아테스 1세는 더 이상 셀레우코스의 간섭 없이 파르티아를 통치했습니다.
동양의 위협
사카 전사 ©JFoliveras
177 BCE Jan 1

동양의 위협

Bactra, Afghanistan
파르티아인들이 서쪽에서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는 동안 동쪽에서는 또 다른 위협이 일어났습니다.기원전 177~176년에 흉노 유목민 연맹은 현재중국 북서부의 간쑤성에 있는 유목민 월지족을 그들의 고향에서 몰아냈습니다.그 후 월지족은 서쪽의 박트리아로 이주하여 사카(스키타이) 부족을 쫓아냈습니다.사카족은 더 서쪽으로 이동하여 파르티아 제국의 북동쪽 국경을 침공했습니다.따라서 미트리다테스는 메소포타미아 를 정복한 후 히르카니아로 은퇴해야 했습니다.Saka 중 일부는 Antiochus에 대항하는 Phraates 군대에 입대했습니다.그러나 그들은 갈등에 참여하기에는 너무 늦게 도착했습니다.Phraates가 임금 지불을 거부하자 Saka는 반란을 일으켰고 그는 이전 Seleucid 군인의 도움을 받아 진압하려고 시도했지만 그들 역시 Phraates를 버리고 Saka의 편에 합류했습니다.프라아테스 2세는 이 연합군에 맞서 진군했으나 전투에서 전사했습니다.로마 역사가 저스틴은 그의 후계자인 아르타바누스 1세(기원전 128~124년)가 동부의 유목민과 싸우면서 비슷한 운명을 겪었다고 보고합니다.
동부 전쟁
©Angus McBride
163 BCE Jan 1 - 155 BCE

동부 전쟁

Balkh, Afghanistan
Phraates I은 Gates of Alexander를 지나서 Parthia의 통제권을 확장하고 Apamea Ragiana를 점령한 것으로 기록됩니다.이들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그러나 파르티아의 세력과 영토는 그의 형제이자 후계자인 미트리다테스 1세(기원전 171~132년)의 통치 기간에 가장 크게 확장되었는데, 카투지안은 그를 아케메네스 제국의 창설자인 키루스 대왕(기원전 530년)에 비유합니다.미트리다테스 1세는 이웃 소그드인, 드랑기안인, 인디언과의 전쟁으로 인해 상당히 약화된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에 시선을 돌렸습니다.새로운 그리스-박트리아 왕 유크라티데스 1세(기원전 171-145년)는 왕위를 찬탈했고 그 결과 아리우스파의 반란과 같은 반대에 부딪혔는데, 이는 아마도 미트리다테스 1세의 지지를 받았을 것입니다. 그의 장점.기원전 163~155년 사이에 미트리다테스 1세는 유크라티데스의 영토를 침공했고, 그곳에서 그는 아리아, 마르기아나, 서부 박트리아를 패배시키고 탈취했습니다.고전 역사가 저스틴(Justin)과 스트라보(Strabo)가 지적한 것처럼 유크라티데스는 파르티아의 가신이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Merv는 북동쪽에서 Parthian 지배의 거점이되었습니다.미트리다테스 1세의 청동 동전 중 일부는 뒷면에 "대왕 아르사케스"의 전설이 새겨진 코끼리를 묘사하고 있습니다.그리스-박트리아인들은 코끼리 이미지가 있는 동전을 주조했는데, 이는 미트리다테스 1세가 바로 그 동물로 만든 동전을 주조한 것이 그의 박트리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합니다.
141 BCE - 63 BCE
황금시대와 로마와의 갈등ornament
바빌로니아로의 확장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41 BCE Jan 1 00:01

바빌로니아로의 확장

Babylon, Iraq
셀레우코스 왕국으로 시선을 돌린 미트리다테스 1세는 기원전 148년 또는 147년에 메디아를 침공하여 엑바타나를 점령했습니다.이 지역은 최근 셀레우코스 왕조가 티마르쿠스가 이끄는 반란을 진압한 이후 불안정해졌습니다.미트리다테스 1세는 그 후 그의 형제인 바가시스(Bagasis)를 지역 총독으로 임명했습니다.이 승리에 이어 파르티아는 메디아 아트로파테네(Media Atropatene)를 정복했습니다.기원전 141년에 미트리다테스 1세는 메소포타미아 에서 바빌로니아를 점령했고, 그곳에서 그는 셀레우키아에서 동전을 주조하고 공식적인 즉위식을 거행했습니다.그곳에서 미트리다테스 1세는 바빌론의 신년 축제 퍼레이드를 소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고대 메소포타미아 신 마르둑의 동상이 여신 이슈타르의 손을 잡고 에사길라 사원에서 퍼레이드 길을 따라 끌려갔습니다.이제 메소포타미아가 파르티아의 손에 들어가게 되면서 제국의 행정 중심지는 이란 동부가 아닌 그곳으로 옮겨졌습니다.미트리다테스 1세는 얼마 지나지 않아 히르카니아로 물러났고, 그의 군대는 엘리마이스(Elymais) 왕국과 차라센(Characene) 왕국을 정복하고 수사(Susa)를 점령했습니다.이때까지 파르티아의 권위는 동쪽으로 인더스 강까지 확장되었습니다.
페르시스 정복
파르티아 백내장 ©Angus McBride
138 BCE Jan 1

페르시스 정복

Persia
셀레우코스 왕조의 데메트리우스 2세 니카토르(Demetrius II Nicator)는 처음에는 바빌로니아를 재정복하려는 노력에 성공했지만 결국 셀레우코스는 패배했고 데메트리우스 자신도 기원전 138년에 파르티아 군대에 의해 포로가 되었습니다.그 후 그는 메디아와 메소포타미아 의 그리스인들이 파르티아의 통치를 받아들이도록 만들려는 의도로 그들 앞에서 행진했습니다.그 후 미트리다테스 1세는 데메트리우스를 히르카니아에 있는 그의 궁전 중 한 곳으로 보내도록 했습니다.그곳에서 나는 그의 포로를 매우 친절하게 대했습니다.그는 심지어 그의 딸 Rhodogune과 Demetrius와 결혼했습니다.Justin에 따르면 Mithridates 나는 시리아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Demetrius를 새로운 Seleucid 통치자 Antiochus VII Sidetes (r. 138–129 BCE)에 대항하는 그의 도구로 사용할 계획이었습니다.로도구네와의 결혼은 실제로 미트리다테스 1세가 셀레우코스 땅을 확장 중인 파르티아 영역에 통합시키려는 시도였습니다.미트리다테스 1세는 셀레우코스를 도운 파르티아 가신 왕국인 엘리마이스(Elymais)를 처벌했습니다. 그는 다시 한 번 이 지역을 침공하여 그들의 주요 도시 두 곳을 점령했습니다.같은 시기에 미트리다테스 1세는 이란 남서부 페르 시스 지역을 정복하고 와드프라다드 2세를 그 지역의 프라타라카로 임명했습니다.그는 파르티아 제국이 사카(Saka), 셀레우코스(Seleucids), 메세니아(Mesenians)와 끊임없는 갈등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페르시스(Persis)와 건전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그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했습니다.그는 겉으로는 페르시스의 일에 영향을 미친 최초의 파르티아 군주였습니다.Wadfradad II의 주화는 Mithridates I에서 주조된 동전의 영향을 보여줍니다. Mithridates I는 c에서 사망했습니다.기원전 132년, 그의 아들 프라아테스 2세가 계승했습니다.
셀레우코스 제국의 쇠퇴
적에게 총을 쏘는 파르티아 병사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29 BCE Jan 1

셀레우코스 제국의 쇠퇴

Ecbatana, Hamadan Province, Ir
데메트리오스의 형제인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는 셀레우코스 왕조를 계승하고 셀레우코스의 아내 클레오파트라 테아와 결혼했습니다.디오도토스 트리폰(Diodotus Tryphon)을 격파한 후, 안티오코스는 기원전 130년에 현재 프라아테스 2세(rc 132-127 BCE)의 통치 하에 있는 메소포타미아를 탈환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파르티아 장군 인다테스는 대자브(Great Zab) 강에서 패배했고, 이어 지역 봉기가 일어나 바빌로니아의 파르티아 총독이 살해당했습니다.안티오코스는 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수사를 점령하여 그곳에서 동전을 주조했습니다.그의 군대를 메디아로 진격시킨 후, 파르티아인들은 평화를 추구했지만 안티오코스는 아르사코스가 파르티아를 제외한 모든 땅을 그에게 양도하고 무거운 공물을 바치고 데메트리우스를 포로에서 풀어주지 않는 한 이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습니다.Arsaces는 Demetrius를 석방하고 그를 시리아로 보냈지 만 다른 요구는 거부했습니다.기원전 129년 봄, 메디아인들은 안티오코스에 맞서 공개적으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안티오코스의 군대는 겨울 동안 시골의 자원을 고갈시켰습니다.반란을 진압하려던 파르티아 주력군은 기원전 129년 엑바타나 전투에서 이 지역을 휩쓸고 안티오코스를 죽였습니다.그의 시신은 은관에 담겨 시리아로 다시 보내졌습니다.그의 아들 Seleucus는 Parthian 인질이되었고 딸은 Phraates의 하렘에 합류했습니다.
미트라다테스 2세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24 BCE Jan 1 - 115 BCE

미트라다테스 2세

Sistan, Afghanistan
Justin에 따르면 Mithridates II는 그의 "부모 또는 조상"(ultor iniuriae parentum)의 죽음을 복수했으며 이는 그가 Artabanus I과 Phraates II를 죽인 Tocharians와 싸워 패배했음을 나타냅니다.미트리다테스 2세는 또한 스키타이인들로부터 서부 박트리아를 다시 정복했습니다.파르티아의 주화와 흩어져 있는 보고는 미트리다테스 2세가 박트라, 캄피르테파, 테르메스를 통치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는 자신의 이름을 딴 미트리다테스 1세(r. 171 – 132 BCE)가 정복했던 바로 그 땅을 그가 다시 정복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Amul을 포함한 중부 Amu Darya에 대한 통제는 Transoxiana, 특히 Sogdia의 유목민의 침입을 막기 위해 Parthians에게 필수적이었습니다.파르티아 동전은 고타르제스 2세(서기 40~51년) 통치 때까지 서부 박트리아와 중부 아무다리야에서 계속해서 주조되었습니다.유목민의 침략은 파르티아 동부의 드랑기아나(Drangiana) 지방에도 도달했는데, 그곳은 강력한 사카(Saka) 지배권을 확립하여 사카스탄("사카의 땅")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이 유목민들은 아마도 아르타바누스 1세와 미트리다테스 2세가 북쪽에서 그들에게 가했던 압력 때문에 그 지역으로 이주했을 것입니다.기원전 124년에서 115년 사이에 미트리다테스 2세는 이 지역을 탈환하기 위해 수렌 가문의 장군이 이끄는 군대를 보냈습니다.사카스탄이 다시 파르티아 왕국에 통합된 후, 미트리다테스 2세는 이 지역을 수레니드 장군에게 그의 영지로 보상했습니다.미트리다테스 2세 치하의 파르티아 제국의 동쪽 영토는 아라코시아까지 이르렀다.
한-파르티아 무역 관계
실크로드를 따라 사마르칸트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21 BCE Jan 1

한-파르티아 무역 관계

China
한무제(r. 141-87 BCE) 통치 기간에 장건( Zhang Qian) 이 중앙아시아로 외교적 모험을 떠난 후,중국한제국은 기원전 121년에 미트리다테스 2세의 궁정에 대표단을 보냈습니다.한대사관은 실크로드를 통해 파르티아와 공식적인 무역 관계를 맺었지만 흉노 연맹에 맞서 원하는 군사 동맹을 맺지 못했습니다.파르티아 제국은 로마인들이 수입한 가장 고가의 사치품인 비단을 유라시아 대상 무역에 부과함으로써 부유해졌습니다.진주도 중국에서 매우 가치 있는 수입품이었으며, 중국인은 파르티아의 향신료, 향수, 과일을 구입했습니다.이국적인 동물은 또한 Arsacid에서 Han 법원에 선물로 주어졌습니다.CE 87년에 파르티아의 파코루스 2세(Pacorus II of Parthia)는 사자와 페르시아 가젤을 한의 장 황제(r. 75-88 CE)에게 보냈습니다.비단 외에도 로마 상인이 구입한 파르티아 상품에는 인도산 철, 향신료, 고급 가죽 등이 포함되었습니다.파르티아 제국을 여행하는 캐러밴은 서아시아, 때로는 로마의 고급 유리 제품을 중국으로 가져왔습니다.동부 이란어를 사용하는 소그디아의 상인들은 파르티아와 한족 사이의 중요한 실크 무역의 주요 중개자 역할을 했습니다.
크테시폰 설립
크테시폰의 아치길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20 BCE Jan 1

크테시폰 설립

Salman Pak, Madain, Iraq
Ctesiphon은 기원전 120년대 후반에 설립되었습니다.그것은 파르티아의 미트리다테스 1세(Mithridates I)가 셀레우키아(Seleucia) 건너편에 세운 군사 캠프 부지에 지어졌습니다.고타르제스(Gotarzes)의 통치 기간 동안 나는 크테시폰(Ctesiphon)이 정치 및 상업 중심지로서 정점에 도달하는 것을 보았습니다.이 도시는 오로데스 2세의 통치 기간인 기원전 58년경에 제국의 수도가 되었습니다.점차적으로 이 도시는 옛 헬레니즘 수도인 셀레우키아 및 기타 인근 정착지와 합병되어 국제적인 대도시를 형성했습니다.
아르메니아가 파르티아의 속국이 됨
아르메니아 전사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20 BCE Jan 1

아르메니아가 파르티아의 속국이 됨

Armenia
대략 기원전 120년에 파르티아 왕 미트리다테스 2세(기원전 124~91년)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그 왕 아르타바스데스 1세에게 파르티아의 종주권을 인정하게 했습니다.Artavasdes I는 그의 아들이나 조카였던 Parthians Tigranes를 인질로 넘겨야했습니다.티그라네스는 크테시폰(Ctesiphon)에 있는 파르티아 궁정에서 살았으며 그곳에서 파르티아 문화를 배웠습니다.Tigranes는 c까지 Parthian 법원에서 인질로 남아있었습니다.기원전 96/95년, 미트리다테스 2세가 그를 석방하고 그를 아르메니아의 왕으로 임명했습니다.티그라네스는 카스피해의 "70개 계곡"이라는 지역을 서약으로 또는 미트리다테스 2세가 요구했기 때문에 미트리다테스 2세에게 양도했습니다.Tigranes의 딸 Ariazate는 또한 Mithridates II의 아들과 결혼했는데, 이는 현대 역사가 Edward Dąbrowa가 그의 충성심을 보장하기 위해 아르메니아 왕좌에 오르기 직전에 일어난 일이라고 제안했습니다.티그라네스는 기원전 80년대 말까지 파르티아의 가신으로 남아있었습니다.
로마인들과의 접촉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96 BCE Jan 1

로마인들과의 접촉

Rome, Metropolitan City of Rom
이듬해 미트리다테스 2세는 아디아베네(Adiabene), 고르디에네(Gordyene), 오스로에네(Osrhoene)를 공격하고 이들 도시 국가를 정복하여 파르티아 왕국의 서쪽 국경을 유프라테스 강으로 옮겼습니다.그곳에서 파르티아인들은 처음으로 로마인들을 만났습니다.기원전 96년에 미트리다테스 2세는 그의 관리 중 한 명인 오로바조스를 술라에 특사로 보냈습니다.로마인의 세력과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파르티아인은 로마인과 우호적인 관계를 추구했으며 두 세력 간의 상호 존중을 보장하는 합의에 도달하기를 원했습니다.Sulla가 분명히 우위를 점하는 협상이 이어졌고, 이로 인해 Orobazus와 Parthians는 신청자처럼 보이게되었습니다.Orobazus는 나중에 처형될 것입니다.
파르티아 암흑기
파르티아 암흑기 ©Angus McBride
91 BCE Jan 1 - 57 BCE

파르티아 암흑기

Turkmenistan
소위 "파르티아 암흑시대"는 파르티아 제국 역사에서 기원전 91년 미트리다테스 2세가 사망(또는 말년)하고 기원전 57년 오로데스 2세가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30년 간의 기간을 가리킨다. 학자들이 다양한 날짜 범위를 언급하고 있습니다.일련의, 분명히 중복되는 통치를 제외하고는 제국에서 이 기간의 사건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암흑 시대"라고 불립니다.이 기간을 설명하는 서면 자료는 남아 있지 않으며, 학자들은 모호성으로 인해 기존 화폐 자료를 사용하여 통치자의 계승과 재위 연도를 명확하게 재구성할 수 없었습니다.이 기간의 법적 또는 행정 문서는 보존되지 않았습니다.이 화폐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여러 이론이 제안되었습니다.고전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의 통치자의 이름은 Sinatruces와 그의 아들 Phraates(III), Mithridates(III/IV), Orodes(II), Phraates III의 아들 및 특정 Darius(I)입니다. 미디어(또는 Media Atropatene?)의 통치자.다른 두 이름인 고타르제스(I)와 오로데스(I)는 날짜가 적혀 있는 바빌론의 설형 문자판에서 확인됩니다.
파르티아-로마 경계 세트
티그라노케르타 전투 ©Angus McBride
69 BCE Oct 6

파르티아-로마 경계 세트

Euphrates River, Iraq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이 발발하자, 아르메니아의 티그라네스 2세의 동맹자인 폰투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기원전 119~63년)는 로마에 맞서 파르티아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시나트루스는 도움을 거부했습니다.기원전 69년 로마 사령관 루쿨루스가 아르메니아 수도 티그라노케르타를 향해 진군했을 때 미트리다테스 6세와 티그라네스 2세는 프라아테스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rc 71–58).프라아테스는 어느 쪽에도 지원을 보내지 않았고, 티그라노케르타가 함락된 후 루쿨루스와 함께 유프라테스 강을 파르티아와 로마 사이의 경계로 재확인했습니다.
Play button
53 BCE Jan 1

카레

Harran, Şanlıurfa, Turkey
현재 시리아 총독이었던 삼두제 중 한 명인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뒤늦게 미트리다테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원전 53년에 파르티아를 침공했습니다.그의 군대가 카레(지금의 터키 남동부 하란)로 진군하자 오로데스 2세는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로마의 동맹인 아르메니아의 아르타바스데스 2세(기원전 53~34년)의 지원을 끊었습니다.Orodes는 Artavasdes를 설득하여 Parthia의 왕세자 Pacorus I (d. 38 BCE)과 Artavasdes의 여동생 사이의 결혼 동맹을 맺었습니다.수레나는 말을 타고 군대를 이끌고 크라수스를 만나러 갔습니다.수레나의 백내장병(창으로 무장) 1,000명과 기마 궁수 9,000명은 갈리아 기병과 경보병을 포함한 7개의 로마 군단과 보조 부대로 구성된 크라수스의 군대에 비해 대략 4대 1로 압도당했습니다.약 1,000마리의 낙타로 구성된 화물 열차를 이용하여 파르티아 군대는 기마 궁수들에게 지속적인 화살 공급을 제공했습니다.기마 궁수들은 "파르티아 사격" 전술을 사용했습니다. 즉, 후퇴하는 척하여 적을 유인한 다음, 노출되면 돌아서서 사격하는 것입니다.평야에서 ​​무거운 복합 활을 사용하여 실행된 이 전술은 크라수스의 보병을 황폐화시켰습니다.약 20,000명의 로마인이 죽고 약 10,000명이 포로로 잡혔으며 약 10,000명이 서쪽으로 탈출한 가운데 크라수스는 아르메니아 시골로 도망쳤습니다.그의 군대의 수장인 수레나는 ​​크라수스에게 접근하여 협상을 제안했고, 크라수스는 이를 받아들였습니다.그러나 그는 함정을 의심한 하급 장교 중 한 명이 그가 수레나의 캠프에 말을 타고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 했을 때 사망했습니다.Carrhae에서의 Crassus의 패배는 로마 역사상 최악의 군사적 패배 중 하나였습니다.파르티아의 승리는 로마와 동등하지는 않더라도 강력한 세력이라는 명성을 확고히 했습니다.수용소 추종자들, 전쟁 포로들, 귀중한 로마 전리품을 데리고 수레나는 ​​약 700km를 여행하여 그의 승리를 축하했던 셀레우키아로 돌아갔습니다.그러나 Arsacid 왕좌에 대한 야망을 두려워한 Orodes는 그 직후 Surena를 처형했습니다.
50 BCE - 224
불안정과 내분의 시대ornament
킬리키아 관문 전투
파르티아와 싸우는 로마인 ©Angus McBride
39 BCE Jan 1

킬리키아 관문 전투

Mersin, Akdeniz/Mersin, Turkey
파르티아 군대는 카레 전투에서 크라수스 휘하의 로마 군대가 패배한 후 로마 영토를 여러 차례 공격했습니다.Gaius Cassius Longinus 휘하의 로마인들은 이러한 파르티아의 침입에 맞서 국경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습니다.그러나 기원전 40년 퀸투스 라비에누스 휘하의 로마 반란군과 연합한 파르티아 침공군이 로마 동부 지방을 공격하여 라비에누스가 몇몇 도시를 제외한 소아시아 전체를 점령하는 동안 큰 성공을 거두었고, 어린 왕자 파코루스 1세는 파르티아의 시리아와 유대의 하스몬 왕조를 점령했습니다.이 사건 이후 마크 안토니우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에서 복무한 숙련된 장군인 푸블리우스 벤티디우스 바수스(Publius Ventidius Bassus) 중위에게 동부 로마군의 지휘권을 맡겼습니다.Ventidius는 예기치 않게 소아시아 해안에 상륙하여 Labienus는 Cilicia로 돌아가 Pacorus로부터 추가 Parthian 지원군을 받았습니다.Labienus가 Pacorus의 추가 병력과 함께 재집결한 후, 그와 Ventidius의 군대는 Taurus Mountains 어딘가에서 만났습니다.기원전 39년 킬리키아 관문 전투는 로마 장군 푸블리우스 벤티디우스 바수스가 소아시아에서 퀸투스 라비에누스 휘하에서 복무했던 파르티아 군대와 그 로마 동맹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Antony의 Parthian 캠페인 실패
©Angus McBride
36 BCE Jan 1

Antony의 Parthian 캠페인 실패

Lake Urmia, Iran
안토니우스 파르티아 전쟁(Antony's Parthian War)은 로마 공화국의 동부 삼두정인 마크 안토니우스가 프라아테스 4세 휘하의 파르티아 제국을 상대로 벌인 군사 작전이다.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파르티아 침공을 계획했으나 실행에 옮기기도 전에 암살당했습니다.기원전 40년에 파르티아인들은 폼페이 군대와 합류하여 로마 동부의 대부분을 잠시 점령했지만 안토니우스가 보낸 군대가 그들을 격파하고 그들의 이득을 뒤집었습니다.아르메니아를 포함한 여러 왕국과 동맹을 맺은 안토니우스는 기원전 36년에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파르티아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유프라테스 전선이 강하다고 판단되어 안토니우스는 아르메니아를 경유하는 경로를 선택했습니다.아트로파테네에 들어서자 다른 경로로 이동했던 로마의 수하물 열차와 공성 기관은 파르티아 기병대에 의해 파괴되었습니다.안토니우스는 여전히 아트로파테네 수도를 포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아르메니아와 시리아로의 험난한 후퇴 여정은 그의 군대에 더욱 큰 손실을 입혔습니다.로마 소식통은 대패에 대해 아르메니아 왕을 비난하지만 현대 소식통은 안토니우스의 열악한 관리 및 계획에 주목합니다.안토니우스는 나중에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약탈하고 왕을 처형했습니다.
인도 파르티아 왕국
곤도파레스가 세운 인도-파르티아 왕국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 Jan 1 - 226

인도 파르티아 왕국

Taxila, Pakistan
인도-파르티아 왕국은 곤도파레스가 창건한 파르티아 왕국으로, 서기 19년부터 c.서기 226년.정점에 이르렀을 때 그들은 이란 동부 일부, 아프가니스탄의 여러 지역,인도 아대륙 의 북서부 지역(현대 파키스탄 대부분과 인도 북서부 일부)을 포괄하는 지역을 통치했습니다.통치자는 수렌 가문의 구성원이었을 수 있으며, 일부 저자는 이 왕국을 "수렌 왕국"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 왕국은 드란기아나(사카스탄)의 총독 곤도파레스가 파르티아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19년에 설립되었습니다.그는 나중에 동쪽으로 원정을 떠나 인도-스키타이인과 인도-그리스인의 영토를 정복하여 그의 왕국을 제국으로 변모시켰습니다.인도-파르티아인의 영토는 1차 후반 쿠샨족의 침공으로 인해 크게 줄어들었다.세기.그들은 c에서 Sasanian 제국 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Sakastan의 통제권을 유지했습니다.224/5.발루치스탄에서는 현지 인도-파르티아 왕조인 파라타라자 왕조가 서기 262년경 사산 왕조의 궤도에 떨어졌습니다.
아르메니아 계승 ​​전쟁
©Angus McBride
58 Jan 1 - 63

아르메니아 계승 ​​전쟁

Armenia
58~63년의 로마-파르티아 전쟁 또는 아르메니아 왕위 계승 전쟁은 두 영역 사이의 중요한 완충 국가인 아르메니아의 지배권을 두고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입니다.아르메니아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부터 로마의 속국이었지만 52/53년에 파르티아인들은 자신들의 후보인 티리다테스를 아르메니아 왕좌에 앉히는 데 성공했습니다.이러한 사건은 네로가 로마 제국의 왕좌에 오르는 것과 동시에 일어났으며, 젊은 황제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결정했습니다.그의 통치 중 유일한 주요 해외 원정이었던 전쟁은 유능한 장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Gnaeus Domitius Corbulo)가 이끄는 로마군의 빠른 성공으로 시작되었습니다.그들은 티리다테스에게 충성하는 세력을 물리치고 자신들의 후보인 티그라네스 6세를 아르메니아 왕좌에 앉힌 뒤 나라를 떠났습니다.로마인들은 파르티아 왕 볼로가세스가 자신의 나라에서 일련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연루되었다는 사실로부터 도움을 받았습니다.그러나 이 문제가 해결되자마자 파르티아인들은 아르메니아로 관심을 돌렸고, 몇 년 동안의 결론이 나지 않은 캠페인 끝에 란데이아 전투에서 로마인들에게 큰 패배를 안겨주었습니다.분쟁은 효과적인 교착 상태와 공식적인 타협으로 곧 끝났습니다. 아르사코스 가문의 파르티아 왕자가 이후 아르메니아 왕좌에 앉게 되었지만 그의 지명은 로마 황제의 승인을 받아야 했습니다.이 갈등은 크라수스의 비참한 원정과 100년 전 마크 안토니우스의 원정 이후 파르티아와 로마인 사이의 최초의 직접적인 대결이었으며, 아르메니아를 두고 로마와 이란 세력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 중 첫 번째 전쟁이 될 것입니다.
앨런의 침공
©JFoliveras
72 Jan 1

앨런의 침공

Ecbatana, Hamadan Province, Ir
알라니족은 서기 72년 파르티아 제국의 유목민 침략의 맥락에서도 언급됩니다.그들은 북동쪽에서 파르티아 영토를 휩쓸고 현재 이란 서부에 있는 메디아에 도달하여 아르사케스 왕조의 군주 볼로게스 1세(발라크쉬 1세)의 왕실 하렘을 점령했습니다.미디어에서 그들은 아르메니아를 공격하고 거의 포로가 된 티리다테스의 군대를 격파했습니다.파르티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은 유목민 침략자들이 초래한 황폐화에 너무 놀라서 로마에 긴급 지원을 요청했지만 로마인들은 도움을 거부했습니다(Frye: 240).파르티아인과 아르메니아인에게는 다행스럽게도 알라니인은 많은 양의 전리품을 수집한 후 유라시아의 광활한 대초원으로 돌아왔습니다(Colledge: 52).
로마 주재 중국 외교 사절단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97 Jan 1

로마 주재 중국 외교 사절단

Persian Gulf (also known as th
서기 97년, 서부 지역 수호대장인 한족 장군 반차오(Ban Chao)는 사절 간잉(Gan Ying)을 로마 제국에 도달하기 위해 외교 사절단으로 보냈습니다.Gan은 로마로 출발하기 전에 Hecatompylos에 있는 Pacorus II의 궁정을 방문했습니다.그는 멀리 서쪽으로 페르시아만까지 여행했는데, 그곳에서 파르티아 당국은 아라비아 반도를 도는 힘든 해상 항해가 로마에 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그에게 확신시켰습니다.이에 낙담한 간잉은 한나라 궁정으로 돌아와 한황제(재위 88~105 CE)에게 파르티아 군대의 구두 기록을 바탕으로 로마 제국에 대한 자세한 보고서를 제공했습니다.윌리엄 왓슨(William Watson)은 특히 중앙아시아 동부에서 흉노(Xiongnu)를 상대로 반 차오(Ban Chao)가 군사적 승리를 거둔 이후 로마와 외교 관계를 맺으려는 한 제국의 실패한 노력에 대해 파르티아인들이 안도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15 Jan 1 - 117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Levant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은 115년에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가 메소포타미아 에서 파르티아 제국을 상대로 벌인 전투였습니다.전쟁은 처음에는 로마인에게 성공했지만 동부 지중해와 북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반란과 117년 트라야누스의 죽음을 포함한 일련의 좌절로 인해 로마는 철수했습니다.113년에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의 결정적인 패배와 아르메니아 의 합병으로 "동부 문제"를 최종적으로 해결할 때가 무르익었다고 결정했습니다.그의 정복은 파르티아에 대한 로마 정책의 의도적인 변화와 제국의 "대전략"의 강조점 전환을 의미했습니다.114년에 트라야누스는 아르메니아를 침공했습니다.그는 이곳을 로마 속주로 합병하고 그의 친척인 파르티아 왕 오스로에스 1세에 의해 아르메니아 왕좌에 오른 파르타마시리스를 죽였습니다.115년에 로마 황제는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점령하고 그곳도 로마에 합병했습니다.그렇지 않으면 남쪽에서 파르티아인들이 아르메니아 돌출부를 차단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곳을 정복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여겨졌습니다.로마인들은 페르시아만으로 항해하기 전에 파르티아의 수도 크테시폰을 점령했습니다.그러나 그 해 동부 지중해, 북아프리카,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로마 영토에서 대규모 유대인 반란이 일어나 로마 군사 자원이 심각하게 부족했습니다.Trajan은 Hatra를 점령하지 못하여 Parthian의 완전한 패배를 피했습니다.파르티아 군대는 로마의 주요 거점을 공격했고, 셀레우키아, 니시비스, 에데사에 있던 로마 수비대는 현지 주민들에 의해 쫓겨났습니다.트라야누스는 메소포타미아의 반군을 진압했습니다.파르티아 왕자 파르타마스페이테스(Parthamaspates)를 종속 통치자로 임명하고 시리아로 철수했습니다.트라야누스는 전쟁을 재개하기 전인 117년에 사망했습니다.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전쟁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61 Jan 1 - 166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전쟁

Armenia
161~166년 로마-파르티아 전쟁(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전쟁이라고도 함)은 아르메니아와 상부 메소포타미아 를 두고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입니다.이 전쟁은 로마인들이 하메소포타미아와 메디아로 성공적인 원정을 감행하고 파르티아의 수도인 크테시폰을 약탈한 후인 166년에 끝났습니다.
세베루스의 로마-파르티아 전쟁
하트라 공성전 ©Angus McBride
195 Jan 1

세베루스의 로마-파르티아 전쟁

Baghdad, Iraq
197년 초 세베루스는 로마를 떠나 동쪽으로 항해했습니다.그는 브룬디시움(Brundisium)에서 배를 타고 아마도 길리기아(Cilicia)의 에게해(Aegeae) 항구에 상륙하여 육로로 시리아로 여행했을 것입니다.그는 즉시 군대를 모아 유프라테스 강을 건넜습니다.오스로에네의 명목상 왕이지만 그의 왕국이 로마 속주로 합병된 이후 본질적으로 에데사의 유일한 통치자였던 아브가르 9세는 그의 아이들을 인질로 넘겨주고 궁수를 제공하여 세베루스의 원정을 도왔습니다.아르메니아 국왕 코스로프 1세도 인질과 돈, 선물을 보냈다.세베루스는 그의 장군 율리우스 라이투스(Julius Laetus)가 파르티아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은 니시비스(Nisibis)로 여행했습니다.그 후 세베루스는 보다 야심찬 캠페인을 계획하기 위해 시리아로 돌아왔습니다.다음 해에 그는 파르티아 제국이 페센니우스 니제르에게 제공한 지원에 대한 보복으로 파르티아 제국을 상대로 더욱 성공적인 또 다른 캠페인을 이끌었습니다.그의 군단은 파르티아의 왕도인 크테시폰을 약탈했고 그는 메소포타미아 북부 절반을 제국에 합병했습니다.Severus는 Trajan의 예를 따라 Parthicus Maximus라는 칭호를 사용했습니다.그러나 그는 거의 100년 전에 시도했던 트라야누스처럼 두 번의 긴 포위 공격 후에도 하트라 요새를 함락시킬 수 없었습니다.하지만 동부에 있는 동안 세베루스는 라임스 아라비쿠스도 확장하여 베이시에서 두마타까지 아라비아 사막에 새로운 요새를 건설했습니다.이 전쟁으로 인해 로마는 니시비스(Nisibis)와 싱가라(Singara) 주변 지역까지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을 획득하게 되었습니다.
카라칼라 파르티아 전쟁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216 Jan 1 - 217

카라칼라 파르티아 전쟁

Antakya, Küçükdalyan, Antakya/
카라칼라의 파르티아 전쟁(Parthian War of Caracalla)은 서기 216~17년에 카라칼라 휘하의 로마 제국이 파르티아 제국을 상대로 벌인 실패한 캠페인이다.이는 카라칼라가 중부, 동부 유럽과 근동 지역에서 장기간의 원정을 추구했던 213년부터 시작된 4년 기간의 정점이었습니다.파르티아에 인접한 속국의 통치자들을 전복시키기 위해 개입한 후, 그는 216년에 파르티아 왕 아르타바누스의 딸에게 카수스 벨리(casus belli)로 낙태된 결혼 제안을 사용하여 침공했습니다.그의 군대는 파르티아 제국 북부 지역에서 학살 캠페인을 벌인 후 소아시아로 철수했으며, 그곳에서 217년 4월에 암살당했습니다. 전쟁은 파르티아가 니시비스 전투에서 승리한 다음 해에 끝났으며 로마인들은 돈을 지불했습니다. 파르티아인들에게 막대한 양의 전쟁 배상금을 지급했습니다.
Play button
217 Jan 1

니시비스 전투

Nusaybin, Mardin, Turkey
니시비스 전투는 217년 여름, 새로 즉위한 마크리누스 황제가 이끄는 로마 제국의 군대와 아르타바누스 4세의 파르티아 군대 사이에 벌어진 전투입니다.3일 동안 지속된 전투는 파르티아의 피비린내 나는 승리로 끝났으며 양측 모두 큰 사상자를 냈습니다.전투의 결과로 마크리누스는 파르티아인들에게 막대한 액수를 지불하고 1년 전 카라칼라가 시작한 메소포타미아 침공을 포기하면서 평화를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218년 6월, 마크리누스는 안티오크 외곽에서 엘라 가발 루스를 지원하는 군대에 의해 패배했고, 아르타바누스는 아르다시르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 사산 왕조의 봉기에 직면했습니다. 따라서 니시비스는 로마와 파르티아 사이의 마지막 주요 전투였으며, 파르티아 왕조는 아르다시르 소수에 의해 전복되었습니다. 몇 년 후.그러나 Ardashir와 Macrinus의 후계자 Alexander Severus가 메소포타미아를 놓고 싸우면서 로마와 페르시아 간의 전쟁이 곧 재개되었으며, 무슬림이 정복 될 때까지 적대 행위가 간헐적으로 계속되었습니다.
224 - 226
사산 왕조의 쇠퇴와 몰락ornament
파르티아 제국의 종말
©Angus McBride
224 Jan 1 00:01

파르티아 제국의 종말

Fars Province, Iran
내전과 로마와의 전쟁으로 약화된 파르티아 제국은 곧 사산 왕조 로 이어졌습니다.실제로 얼마 지나지 않아 이스타크르 출신의 페르시스(현대 이란 파르스 주)의 현지 통치자인 아르다시르 1세는 아르사코스 통치에 저항하여 주변 영토를 정복하기 시작했습니다.그는 224년 4월 28일 호르모즈간 전투(아마 이스파한 근처에서 벌어졌던 전투)에서 아르타바누스 4세와 대결하여 그를 물리치고 사산 왕조를 세웠습니다.그러나 볼로가세스 6세가 CE 228년까지 셀레우키아에서 계속해서 동전을 주조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사산 왕조는 파르티아의 유산을 로마의 페르시아 적으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호스로 2세(왕권 1세) 통치 기간 동안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레반트, 아나톨리아,이집트를 잠시 정복함으로써 아케메네스 제국의 경계를 회복하려고 시도했습니다. 590-628 CE).그러나 그들은 아랍 정복 이전의 마지막 로마 황제인 헤라클리우스에게 이 영토를 잃게 되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4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로마의 주요 경쟁자로서 파르티아 왕국을 계승했습니다.

Characters



Artabanus IV of Parthia

Artabanus IV of Parthia

Last Ruler of the Parthian Empire

Ardashir I

Ardashir I

Founder of the Sasanian Empire

Arsaces I of Parthia

Arsaces I of Parthia

Founder of the Arsacid dynasty of Parthia

Orodes II

Orodes II

King of the Parthian Empire

Mithridates I of Parthia

Mithridates I of Parthia

King of the Parthian Empire

References



  • An, Jiayao (2002),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in Juliano, Annette L. and Judith A. Lerner (ed.), Silk Road Studies: Nomads, Traders, and Holy Men Along China's Silk Road, vol. 7, Turnhout: Brepols Publishers, pp. 79–94, ISBN 978-2-503-52178-7.
  • Asmussen, J.P. (1983). "Christians in Iran".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924–948. ISBN 0-521-24693-8.
  • Assar, Gholamreza F. (2006). A Revised Parthian Chronology of the Period 91-55 BC. Parthica. Incontri di Culture Nel Mondo Antico. Vol. 8: Papers Presented to David Sellwood. Istituti Editoriali e Poligrafici Internazionali. ISBN 978-8-881-47453-0. ISSN 1128-6342.
  • Ball, Warwick (2016),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2nd Edition, London &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72078-6.
  • Bausani, Alessandro (1971), The Persians, from the earliest days to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St. Martin's Press, pp. 41, ISBN 978-0-236-17760-8.
  • Bickerman, Elias J. (1983). "The Seleucid Period".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20. ISBN 0-521-20092-X..
  • Bivar, A.D.H. (1983).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Arsacids".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99. ISBN 0-521-20092-X..
  • Bivar, A.D.H. (2007), "Gondophares and the Indo-Parthians", in Curtis, Vesta Sarkhosh and Sarah Stewart (ed.), The Age of the Parthians: The Ideas of Iran, vol. 2, London & New York: I.B. Tauris & Co Ltd., in association with the London Middle East Institute at SOAS and the British Museum, pp. 26–36, ISBN 978-1-84511-406-0.
  • Boyce, Mary (1983). "Parthian Writings and Literature".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151–1165. ISBN 0-521-24693-8..
  • Bringmann, Klaus (2007) [2002]. A History of the Roman Republic. Translated by W. J. Smyth. Cambridge: Polity Press. ISBN 978-0-7456-3371-8.
  • Brosius, Maria (2006), The Persians: An Introduction, London &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32089-4.
  • Burstein, Stanley M. (2004), The Reign of Cleopatra, Westport, CT: Greenwood Press, ISBN 978-0-313-32527-4.
  • Canepa, Matthew (2018). The Iranian Expanse: Transforming Royal Identity Through Architecture, Landscape, and the Built Environment, 550 BCE–642 CE.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379206.
  • Colpe, Carsten (1983). "Development of Religious Thought".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19–865. ISBN 0-521-24693-8..
  • Curtis, Vesta Sarkhosh (2007), "The Iranian Revival in the Parthian Period", in Curtis, Vesta Sarkhosh and Sarah Stewart (ed.), The Age of the Parthians: The Ideas of Iran, vol. 2, London & New York: I.B. Tauris & Co Ltd., in association with the London Middle East Institute at SOAS and the British Museum, pp. 7–25, ISBN 978-1-84511-406-0.
  • de Crespigny, Rafe (2007),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Leiden: Koninklijke Brill, ISBN 978-90-04-15605-0.
  • De Jong, Albert (2008). "Regional Variation in Zoroastrianism: The Case of the Parthians".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22: 17–27. JSTOR 24049232..
  • Demiéville, Paul (1986), "Philosophy and religion from Han to Sui", in Twitchett and Loewe (ed.), Cambridge History of China: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vol. 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08–872, ISBN 978-0-521-24327-8.
  • Duchesne-Guillemin, J. (1983). "Zoroastrian religion".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66–908. ISBN 0-521-24693-8..
  • Ebrey, Patricia Buckley (1999),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6991-7 (paperback).
  • Emmerick, R.E. (1983). "Buddhism Among Iranian Peoples".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949–964. ISBN 0-521-24693-8..
  • Frye, R.N. (1983).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Sasanians".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16–180. ISBN 0-521-20092-X..
  • Garthwaite, Gene Ralph (2005), The Persians, Oxford & Carlton: Blackwell Publishing, Ltd., ISBN 978-1-55786-860-2.
  • Green, Tamara M. (1992), The City of the Moon God: Religious Traditions of Harran, BRILL, ISBN 978-90-04-09513-7.
  • Howard, Michael C. (2012),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 Border Trade and Travel, Jefferson: McFarland & Company.
  • Katouzian, Homa (2009), The Persians: Ancient, Medieval, and Modern Iran,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2118-6.
  • Kennedy, David (1996), "Parthia and Rome: eastern perspectives", in Kennedy, David L.; Braund, David (eds.), The Roman Army in the East, Ann Arbor: Cushing Malloy Inc.,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Supplementary Series Number Eighteen, pp. 67–90, ISBN 978-1-887829-18-2
  • Kurz, Otto (1983). "Cultural Relations Between Parthia and Rome".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59–567. ISBN 0-521-20092-X..
  • Lightfoot, C.S. (1990),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The Journal of Roman Studies, 80: 115–126, doi:10.2307/300283, JSTOR 300283, S2CID 162863957
  • Lukonin, V.G. (1983). "Political, Social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axes and Trade".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81–746. ISBN 0-521-24693-8..
  • Mawer, Granville Allen (2013), "The Riddle of Cattigara", in Nichols, Robert; Woods, Martin (eds.), Mapping Our World: Terra Incognita to Australia, Canberr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pp. 38–39, ISBN 978-0-642-27809-8.
  • Mommsen, Theodor (2004) [original publication 1909 by Ares Publishers, Inc.], Th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From Caesar to Diocletian, vol. 2, Piscataway (New Jersey): Gorgias Press, ISBN 978-1-59333-026-2.
  • Morton, William S.; Lewis, Charlton M. (2005),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New York: McGraw-Hill, ISBN 978-0-07-141279-7.
  • Neusner, J. (1983). "Jews in Iran".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909–923. ISBN 0-521-24693-8..
  • Olbrycht, Marek Jan (2016). "The Sacral Kingship of the early Arsacids. I. Fire Cult and Kingly Glory". Anabasis. 7: 91–106.
  • Posch, Walter (1998), "Chinesische Quellen zu den Parthern", in Weisehöfer, Josef (ed.), Das Partherreich und seine Zeugnisse,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vol. 122 (in German), Stuttgart: Franz Steiner, pp. 355–364.
  • Rezakhani, Khodadad (2013). "Arsacid, Elymaean, and Persid Coinage". In Potts, Daniel T. (ed.).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Ira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33309.
  • Roller, Duane W. (2010), Cleopatra: a biogra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6553-5.
  • Schlumberger, Daniel (1983). "Parthian Art".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027–1054. ISBN 0-521-24693-8..
  • Sellwood, David (1976). "The Drachms of the Parthian "Dark Age"".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1): 2–25. doi:10.1017/S0035869X00132988. JSTOR 25203669. S2CID 161619682. (registration required)
  • Sellwood, David (1983). "Parthian Coins".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79–298. ISBN 0-521-20092-X..
  • Shahbazi, Shahpur A. (1987), "Arsacids. I. Origin", Encyclopaedia Iranica, 2: 255
  • Shayegan, Rahim M. (2007), "On Demetrius II Nicator's Arsacid Captivity and Second Rule",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83–103
  • Shayegan, Rahim M. (2011), Arsacids and Sasanians: Political Ideology in Post-Hellenistic and Late Antique Persi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6641-8
  • Sheldon, Rose Mary (2010), Rome's Wars in Parthia: Blood in the Sand, London & Portland: Valentine Mitchell, ISBN 978-0-85303-981-5
  • Skjærvø, Prods Oktor (2004). "Iran vi. Iranian languages and scripts". In Yarshater, Ehsan (ed.). Encyclopædia Iranica, Volume XIII/4: Iran V. Peoples of Iran–Iran IX. Religions of Ir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pp. 348–366. ISBN 978-0-933273-90-0.
  • Strugnell, Emma (2006), "Ventidius' Parthian War: Rome's Forgotten Eastern Triumph", Acta Antiqua, 46 (3): 239–252, doi:10.1556/AAnt.46.2006.3.3
  • Syme, Ronald (2002) [1939], The Roman Revol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0320-7
  • Torday, Laszlo (1997), Mounted Archers: The Beginnings of Central Asian History, Durham: The Durham Academic Press, ISBN 978-1-900838-03-0
  • Wang, Tao (2007), "Parthia in China: a Re-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in Curtis, Vesta Sarkhosh and Sarah Stewart (ed.), The Age of the Parthians: The Ideas of Iran, vol. 2, London & New York: I.B. Tauris & Co Ltd., in association with the London Middle East Institute at SOAS and the British Museum, pp. 87–104, ISBN 978-1-84511-406-0.
  • Waters, Kenneth H. (1974), "The Reign of Trajan, part VII: Trajanic Wars and Frontiers. The Danube and the East", in Temporini, Hildegard (ed.),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Principat. II.2, Berlin: Walter de Gruyter, pp. 415–427.
  • Watson, William (1983). "Iran and China".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37–558. ISBN 0-521-20092-X..
  • Widengren, Geo (1983). "Sources of Parthian and Sasanian History".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2):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61–1283. ISBN 0-521-24693-8..
  • Wood, Frances (2002),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4340-8.
  • Yarshater, Ehsan (1983). "Iranian National History".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59–480. ISBN 0-521-20092-X..
  • Yü, Ying-shih (1986), "Han Foreign Relations", in Twitchett, Denis and Michael Loewe (ed.), Cambridge History of China: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vol. 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77–462, ISBN 978-0-521-24327-8.
  • Young, Gary K. (2001),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London & New York: Routledge, ISBN 978-0-415-24219-6.
  • Zhang, Guanuda (2002), "The Role of the Sogdians as Translators of Buddhist Texts", in Juliano, Annette L. and Judith A. Lerner (ed.), Silk Road Studies: Nomads, Traders, and Holy Men Along China's Silk Road, vol. 7, Turnhout: Brepols Publishers, pp. 75–78, ISBN 978-2-503-52178-7.
  • Daryaee, Touraj (2012). The Oxford Handbook of Iran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32. ISBN 978-0-19-98757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1-01. Retrieved 201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