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button

1587 - 2023

필리핀계 미국인의 역사



필리핀계 미국인의 역사는 필리핀 노예와 연한계약 하인이 화물과 죄수를 싣고 현대 멕시코 와 아시아를 오가는 노보히스패닉 선박을 타고 지금의 미국을 처음 방문했을 때 간접적으로 시작됩니다.[1] [2] 이 노예들을 실은 첫 번째 배는 뉴 스페인 부왕령의 멕시코 시티 통제하에 있는 알타 캘리포니아 영토의 모로 베이 주변에 정박한 후 마드리드에 정박했습니다.19세기까지 필리핀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었지만 마닐라 갤리온선을 통해 태평양을 가로질러 정기적인 통신을 유지했습니다.1700년대에 소수의 필리핀 선원과 연한계약 하인이 스페인 갤리온선에서 탈출하여 해안이나 또 다른 영토인 루이지애나에 정착했습니다.미국에 살고 있는 한 명의 필리핀인은 뉴올리언스 전투 에서 싸웠습니다.[3] 19세기 말 미국은스페인 과 전쟁을 벌였고 결국 스페인으로부터 필리핀 제도를 합병했습니다.이로 인해 필리핀의 역사는 이제 제1필리핀 공화국의 패배로 이어진 3년간의 필리핀-미국 전쟁(1899-1902)과 미국화 시도를 시작으로 미국의 지배를 포함합니다. 필리핀의.20세기에 많은 필리핀인들이 미국 해군의 선원, 연금, 노동자로 입대했습니다.대공황 기간 동안 필리핀계 미국인은 왓슨빌에서 일어난 것과 같은 인종 폭동을 포함하여 인종 기반 폭력의 표적이 되었습니다.필리핀 독립법은 1934년에 통과되어 필리핀인을 이민을 위한 외국인으로 재정의했습니다.이것은 필리핀 사람들이 필리핀으로 돌아가도록 장려하고 필리핀 연방을 설립했습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필리핀은 저항으로 이어지고 분리된 필리핀 연대가 형성되었으며 섬이 해방되었습니다.제2차 세계 대전 후 필리핀은 1946년에 독립했습니다. 대부분의 필리핀 참전 용사에 대한 혜택은 1946년 폐지법으로 폐지되었습니다.추가 이민은 1946년의 Luce-Celler 법으로 인해 연간 100명으로 설정되었지만, 이것은 미국 해군에 입대할 수 있는 필리핀인의 수를 제한하지 않았습니다.1965년 Larry Itliong과 Philip Vera Cruz를 포함한 필리핀 농업 노동자들이 Delano 포도 파업을 시작했습니다.같은 해 필리핀 이민자의 연간 100명 할당량이 해제되어 현재의 이민 물결이 시작되었습니다.이 이민자들 중 많은 수가 간호사였습니다.필리핀계 미국인은 미국 사회에 더 잘 통합되기 시작하여 많은 최초를 달성했습니다.1992년 필리핀에 있는 필리핀인의 미국 입대가 종료되었습니다.21세기 초에는 필리핀계 미국인 역사의 달이 인정되었습니다.
HistoryMaps Shop

상점 방문

북미 최초의 필리핀인
마닐라 갈레온 무역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556 Jan 1 - 1813

북미 최초의 필리핀인

Morro Bay, CA, USA
미국 으로의 필리핀 이민의 이주 패턴은 네 가지 중요한 파동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첫 번째 물결은 필리핀이 뉴 스페인 의 멕시코 시티가 통치하는 영토 인 스페인 동인도의 관할하에 있던 기간 동안의 작은 물결이었습니다.마닐라 갤리온선을 통해 필리핀인들은 때때로 노예나 노동자로 북미에 머물곤 했습니다.대략 1556년에서 1813년 사이에 스페인은 마닐라와 아카풀코 사이의 갤리온 무역에 참여했습니다.갤리온 선은 필리핀 장인이 마닐라 외곽의 Cavite 조선소에서 건조했습니다.무역은 스페인 왕실이 자금을 지원했으며 대부분의 제품은 중국 상인이 제공했으며 배는 필리핀 선원과 노예가 유인하고 멕시코 시티 관리가 "감독"했습니다.이 기간 동안 스페인은 마닐라에서 군인으로 복무할 멕시코인을 모집했습니다.그들은 또한 멕시코에서 노예와 노동자로 필리핀인들을 데려갔습니다.미주에 파견된 필리핀 군인들은 자주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4]북미에 발을 디딘 최초의 필리핀인("Luzonians")은 캘리포니아주 Morro Bay(San Luis Obispo)에 도착합니다.이 사람들은 스페인 선장 Pedro de Unamuno의 지휘 아래 갤리온선 Nuestra Senora de Esperanza의 노예였습니다.이 필리핀인들은 유럽 식민지화 이후 캘리포니아 에 발을 디딘 최초의 아시아인이었습니다.
첫 번째 정착지
1883년 Harper's Weekly에 실린 정착지.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763 Jan 1

첫 번째 정착지

Saint Malo, Louisiana, USA
미국 내 최초의 필리핀 정착촌은 루이지애나 주 세인트 말로의 독립 커뮤니티에 있습니다.[5] [6]
마닐라맨
뉴올리언스 전투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815 Jan 8

마닐라맨

Louisiana, USA
1812년 전쟁 동안 루이지애나에 거주하는 필리핀인(마닐라 마을을 포함하여 뉴올리언스 시 근처에 거주하는 "마닐라멘"이라고 함)은 "바라타리안", 장 라피트와 앤드류 잭슨과 함께 싸운 남성 그룹에 속했습니다. 1812년 전쟁 중 뉴올리언스 전투. 이 전투는 겐트 조약이 체결된 후 벌어졌습니다.[7]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한 필리핀인
남북 전쟁.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861 Jan 1 - 1863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한 필리핀인

United States
약 100명의 필리핀인과 중국인이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연합군과 해군에 입대하고, 적은 수로 미국 남부 연합군에서 복무합니다.[8]
연금법
1904년 세인트루이스 박람회의 첫 100명의 연금 수령자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03 Aug 26

연금법

United States
Pensionado 법은 1903년 8월 26일에 통과된 필리핀 위원회의 법 854호입니다.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이 법은 필리핀인들이 미국 에서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장학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이 프로그램은 필리핀 -미국 전쟁 이후의 진정 노력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필리핀의 자치를 준비하고 미국의 나머지 지역에 긍정적인 필리핀인의 이미지를 제시하기를 희망했습니다.이 장학금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Pensionados로 알려졌습니다.초기 100명의 학생들로부터 프로그램은 약 500명의 학생들에게 미국에서 교육을 제공했습니다.그들은 계속해서 필리핀 사회의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 될 것이며, 이 프로그램의 많은 졸업생들은 필리핀 제도의 정부를 위해 계속 일하게 될 것입니다.그들의 성공으로 인해 필리핀에서 온 다른 이민자들이 14,000명이 넘는 미국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연금을 받지 못하는 이 학생들 중 다수는 결국 미국에 영구적으로 거주하게 되었습니다.1943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습니다.1948년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이 설립되기 전까지 미국 최대의 장학 프로그램이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일본은 필리핀을 점령하는 동안 남포 특수 류가쿠세이(nampo tokubetsu ryugakusei)라는 유사한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전쟁과 필리핀 독립 이후 필리핀 학생들은 계속해서 정부 장학금을 이용하여 미국에 왔습니다.
Play button
1906 Jan 1 - 1946

필리핀 이민의 두 번째 물결

United States
두 번째 물결은 필리핀이 미국 영토였을 때였습니다.미국 국민으로서 필리핀인은 다른 아시아인을 제한한 1917년 이민법에 의해 미국으로 이민하는 데 제한을 받지 않았습니다.[41] 이러한 이민의 물결을 마농 세대라고 합니다.이 물결의 필리핀인들은 [다른] 이유로 왔지만 대다수는 노동자였으며 주로 Ilocano와 Visayans였습니다.[21] 이 이민의 물결은 미국의 영향과 필리핀에서의 교육으로 인해 다른 아시아계 미국인과 구별되었습니다.그러므로 그들은 미국으로 이민을 갔을 때 스스로를 외계인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1920] 년까지 미국 본토의 필리핀 인구는 거의 400명에서 5,600명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그 후 1930년에 필리핀계 미국인 인구는 캘리포니아에 30,000명 이상, 워싱턴에 3,400명 이상을 포함하여 45,000명을 넘어섰습니다.[40]
반필리핀 폭동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30 Jan 19 - Jan 23

반필리핀 폭동

Watsonville, California, USA
가혹한 노동 조건에서 필리핀 노동자들의 탄력성은 농장 운영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병으로 만들었습니다.캘리포니아의 Santa Clara와 San Joaquin Valleys에서 필리핀인들은 종종 아스파라거스, 셀러리, 상추를 재배하고 수확하는 힘든 작업에 배정되었습니다.이민 정책 및 고용 관행에 대한 성 편견으로 인해 계절 농장 작업 주기를 따르는 30,000명의 필리핀 노동자 중 14명 중 1명만이 여성이었습니다.[15] 필리핀 여성을 만날 수 없었던 필리핀 농장 노동자들은 자신의 민족 공동체 외부에서 여성과 교제하기를 원했고, 이는 인종적 불화를 더욱 악화시켰습니다.[16]그 후 몇 년 동안 백인 남성은 일자리를 빼앗는 것을 비난했고 백인 여성은 필리핀인에 의해 "제3차 아시아 침략"에 대처하기 위해 자경단에 의지했습니다.Stockton, Dinuba, Exeter 및 Fresno의 당구장을 자주 방문하거나 거리 박람회에 참석하는 필리핀 노동자들은 팽창하는 노동 풀과 필리핀인의 추정되는 약탈적인 성적 본성에 위협을 받는 토착민들의 공격을 받을 위험이 있었습니다.[17]왓슨빌 폭동은 1930년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캘리포니아 주 왓슨빌에서 발생한 인종적 폭력의 기간이었습니다. 이민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이 필리핀계 미국인 농장 노동자를 폭력적으로 폭행하는 폭동은 캘리포니아의 인종적, 사회경제적 긴장을 부각시켰습니다. 농업 공동체.폭력은 [스톡턴] , 샌프란시스코, 산호세 및 기타 도시로 퍼졌습니다.5일간의 왓슨빌 폭동은 수입된 아시아 노동력에 대한 캘리포니아의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캘리포니아 주의회는 1933년 롤단 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판결에 따라 필리핀-백인 간 결혼을 명시적으로 금지했습니다.1934년까지 연방 Tydings–McDuffie Act는 필리핀 이민을 연간 50명으로 제한했습니다.그 결과 필리핀 이민이 급감했고, 그들이 현장 노동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동안 멕시코인으로 대체되기 시작했습니다.[18]
인종 간 결혼 금지
Caliva는 주요 사진에서 아내 Lucy와 함께 보입니다.필리핀 남성과 백인 여성의 모습만으로도 당시 백인 남성들의 분노와 분노를 정당화하기에 충분했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33 Jan 1

인종 간 결혼 금지

United States
캘리포니아 대법원이 Roldan v. Los Angeles 카운티 사건에서 백인과 "몽골족" 사이의 결혼을 금지하는 기존 법률이 필리핀 남성이 백인 여성과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고 판결한 후, [19] 캘리포니아의 남용 금지법, 민법 섹션 60은 백인과 "말레이 인종"(예: 필리핀인) 간의 결혼을 금지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20] 필리핀인과의 인종간 결혼을 금지하는 법은 캘리포니아 에서 1948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이것은 1967년 미국 대법원이 러빙 대 버지니아(Loving v.
필리핀 독립법
1924년 필리핀 독립 사절단 대표(왼쪽에서 오른쪽으로): Isauro Gabaldon, Sergio Osmena, Manuel L. Quezon, Claro M. Recto, Pedro Guevara, Dean Jorge Bocobo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34 Mar 24

필리핀 독립법

United States
Tydings–McDuffie Act, 공식적으로 필리핀 독립법(Pub. L. 73–127, 48 Stat. 456, 1934년 3월 24일 제정)은 필리핀, 당시 미국 영토, 10년의 과도기를 거쳐 독립국가가 된다.이 법에 따라 1935년 필리핀 헌법이 작성되었고 필리핀 최초의 직접 선출 대통령과 함께 필리핀 연방이 수립되었습니다.또한 필리핀인의 미국 이민을 제한했습니다.이 법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필리핀인을 미국 이민 목적으로 외국인으로 재분류했습니다.연간 50명의 이민자 할당량이 설정되었습니다.이 법안 이전에 필리핀인은 미국 시민이 아닌 미국 국민으로 분류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었지만 미국 본토에서 출생한 시민이 아닌 한 미국 내에서 귀화할 수 있는 권리는 거부당했습니다.[21]
필리핀인을 위한 토지 소유권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1 Jan 1

필리핀인을 위한 토지 소유권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
워싱턴 대법원은 필리핀계 미국인이 토지를 소유하는 것을 금지한 1937년의 반외국인 토지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습니다.[22 [23]]
필리핀 제1보병연대
연방 부통령 Osmeña 방문 중 연대 구성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2 Mar 4 - 1946 Apr 10

필리핀 제1보병연대

San Luis Obispo, CA, USA
제1 필리핀 보병 연대는 미국 대륙에서 온 필리핀계 미국인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투를 본 필리핀 전투의 몇몇 베테랑으로 구성된 분리된 미국 육군 보병 연대였습니다.캘리포니아 주 방위군(California National Guard)의 후원 아래 캘리포니아 캠프 산 루이스 오비스포(Camp San Luis Obispo)에서 형성되고 활성화되었습니다.원래 대대로 창설된 이 부대는 1942년 7월 13일에 연대로 선포되었습니다. 1944년에 처음으로 뉴기니에 배치되어 점령지에서 복무할 특수 부대 및 부대의 인력 공급원이 되었습니다.1945년에는 필리핀 에 배치되어 부대로서 처음으로 전투를 목격했습니다.주요 전투 작전 후 캘리포니아로 돌아올 때까지 필리핀에 남아 있었고 1946년 Camp Stoneman에서 비활성화되었습니다.
필리핀인의 재산 소유를 허용하는 대법원 판결
1940년대 할리우드 밤문화의 필리핀계 미국인.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5 Jan 1

필리핀인의 재산 소유를 허용하는 대법원 판결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
Celestino Alfafara는 필리핀 미국 역사 설화에서 "외국인에게 부동산을 소유할 권리를 허용하는 캘리포니아 대법원 판결"에서 승리한 사람으로 유명합니다.2012년 6월 뉴멕시코 주 앨버커키에서 열린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의 가장 최근 회의에서 "The Legacy of Celestino T. Alfafara"는 "Fighting Anti-Alien Property Laws"에 대한 전체 회의의 초점이었습니다.Alfafara 이전에 필리핀인이 캘리포니아에서 재산을 소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Caballeros de Dimasalang, Gran Oriente Filipino 및 Legionarios del Trabajadores와 같은 형제 단체의 이름으로 집단적으로 구입하는 것이었습니다.
필리핀 참전용사 혜택 폐지
호세 칼루가스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 육군의 필리핀 스카우트에서 복무했습니다.그는 치열한 바탄 전투에서 보여준 공로로 명예 훈장을 받았습니다.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6 Jan 1

필리핀 참전용사 혜택 폐지

Washington D.C., DC, USA
1946년 폐지법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의 군사 및 공공사업 지출이 감소함에 따라 특정 정부 프로그램에 이미 지정된 특정 자금의 양을 줄이는(취소하는) 미국의 법으로, 대부분은 미군을 위한 것입니다. .그 효과는 필리핀이 미국에 편입되지 않은 영토이고 필리핀인이 미국 국민인 동안 미국의 후원 하에 군 복무를 한 필리핀 군대에 대한 혜택을 소급하여 무효화하는 것이었습니다.
필리핀 이민의 세 번째 물결
필리핀 계 미국인의 "브리지 세대".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6 Jan 1 - 1965

필리핀 이민의 세 번째 물결

United States
이민의 세 번째 물결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일어났습니다.[37]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필리핀인들은 미국 시민이 될 수 있는 선택권을 얻었고 많은 사람들이 기회를 잡았으며 [38] Barkan에 따르면 10,000명이 넘습니다.[39] 필리핀 전쟁 신부는 전쟁 신부법과 약혼자 법으로 인해 미국 으로 이민이 허용되었으며, 전쟁 후 몇 년 동안 약 16,000명의 필리핀인이 미국에 입국했습니다.이 이민은 필리핀인과 어린이에게만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1946년에서 1950년 사이에 한 명의 필리핀 신랑이 전쟁신부법에 따라 이민을 허가받았습니다.1946년 루스-셀러법(Luce–Celler Act)으로 이민의 원천이 열렸으며, 이는 필리핀에 연간 100명의 쿼터를 부여했습니다.그러나 기록에 따르면 1953년에서 1965년 사이에 32,201명의 필리핀인이 이주했습니다. 이 물결은 1965년에 끝났습니다.
필리핀 귀화법
1946년 루스-셀러 법에 서명하는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 ©Image Attribution forthcoming. Image belongs to the respective owner(s).
1946 Jul 2

필리핀 귀화법

Washington D.C., DC, USA
1946년의 Luce-Celler 법은 미국 의회에서 매년 100명의 필리핀인 [24] 과 아시아인 100명의 인도인이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할당한 [25] 처음으로 이러한 사람들을 허용한 법안입니다. 미국 시민으로 귀화하기 위해.[26] [27] 시민이 된 이 새로운 미국인들은 자신의 이름으로 재산을 소유할 수 있었고 해외에서 직계 가족을 청원할 수도 있었습니다.[28]이 법은 1943년 공화당의 Clare Boothe Luce와 민주당의 Emanuel Celler에 의해 제안되었고 7월 4일 필리핀이 마닐라 조약에 서명하여 독립하기 이틀 전인 1946년 7월 2일 미국 대통령 Harry S. Truman에 의해 법률로 서명되었습니다. , 1946. 필리핀의 임박한 독립 때문에 필리핀인들은 이 법이 없었다면 이민이 금지되었을 것입니다.[29]
Play button
1965 May 3

델라노 그레이프 스트라이크

Delano, California, USA
델라노 포도 파업에 앞서 1965년 5월 3일 캘리포니아 코첼라 밸리에서 필리핀 농장 노동자들이 조직한 또 다른 포도 파업이 있었습니다. 법률, 그들은 더 높은 임금을 위해 싸울 수 있는 작은 위험을 기꺼이 감수했습니다.파업은 농장 노동자들에게 시간당 40센트 인상을 허용하는 데 성공했고, 그 결과 최근 불법화된 팔찌가 지급된 시간당 1.40달러에 해당하는 임금을 받았습니다. 코첼라 파업 이후 농장 노동자들은 포도- 코첼라에서 올라온 필리핀 농장 일꾼들은 AWOC 산하 래리 이틀리옹, 필립 베라 크루즈, 벤자민 기네스, 엘라스코가 이끌었다.Delano에 도착하자마자 농장 노동자들은 Coachella에서 받는 시간당 $1.40의 임금을 받는 대신 연방 최저 임금보다 낮은 $1.20의 임금을 받을 것이라고 재배자들로부터 들었습니다. 협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1965년 9월 7일에 Itliong과 필리핀 농장 노동자들이 Filipino Community Hall에 모였고 AWOC는 만장일치로 다음날 아침 파업에 돌입했습니다.Delano 포도 파업은 농장 노동자의 착취에 맞서 싸우기 위해 캘리포니아 Delano의 식용 포도 재배자를 상대로 주로 필리핀 인과 AFL-CIO가 후원하는 노동 조직인 농업 노동자 조직위원회 (AWOC)가 조직 한 노동 파업이었습니다. 1965년 9월 8일과 1주일 후, 대부분이 멕시코 국립농업노동자협회(NFWA)가 이 운동에 동참했습니다.1966년 8월에 AWOC와 NFWA가 합병하여 United Farm Workers(UFW) 조직위원회를 창설했습니다.파업은 5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소비자 불매운동, 행진, 지역사회 조직화, 비폭력 저항 등의 풀뿌리 노력으로 특징지어져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1970년 7월 파업은 주로 비노조 포도에 대한 소비자 보이콧으로 인해 농장 노동자들의 승리로 이어졌습니다. 이때 주요 식용 포도 재배자들과 단체 교섭 협정이 체결되어 10,000명 이상의 농장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델라노 포도 파업은 불매운동의 효과적인 이행과 적응, 농장 노동을 노조화하기 위한 필리핀과 멕시코 농장 노동자 사이의 전례 없는 파트너십, 그리고 그 결과 UFW 노동 조합의 창설로 가장 유명합니다. 미국 .
Play button
1965 Dec 1

필리핀 이민의 네 번째 물결

United States
네 번째이자 현재의 필리핀 이민 물결은 1965년 이민 및 국적법의 통과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국가 쿼터를 종료하고 가족 재결합을 위한 무제한 비자를 제공했습니다.1970년대와 1980년대에 군인 아내의 필리핀 이민은 연간 5천에서 8천에 달했습니다.[필리핀] 아시아에서 미국 으로의 합법적 이민의 가장 큰 원천이 되었습니다.이 새로운 이주 물결의 많은 필리핀인들은 자격을 갖춘 간호사의 부족으로 인해 전문가로서 이곳으로 이주했습니다.[1966] 년부터 1991년까지 최소 35,000명의 필리핀 간호사가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36] 2005년 현재 CGFNS(외국간호학교 졸업자 위원회)에서 실시하는 자격 시험에 응시하는 외국 수련 등록 간호사의 55%가 필리핀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35] 1970년 미국에 입국한 외국 의사 중 필리핀인이 24%를 차지했지만 필리핀 의사는 1970년대에 미국에서 진료를 하기 위해 ECFMG 시험에 합격해야 하는 요건으로 인해 광범위한 불완전 고용을 경험했습니다.
Play button
1992 Oct 1

필리핀계 미국인 역사의 달

United States
필리핀계 미국인 역사의 달(FAHM)은 10월에 미국에서 기념됩니다.1991년 FANHS(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이사회는 1992년 10월에 시작할 첫 번째 연간 필리핀계 미국인 역사의 달을 제안했습니다 [. 30]10월은 1587년 10월 18일 현재 캘리포니아 주 모로 베이에 노보히스패닉 선박을 타고 노예, 죄수, 승무원 [으로] 상륙한 최초의 필리핀인의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선택되었습니다. 리더 래리 이틀리옹.[32]많은 필리핀계 미국인이 거주하는 캘리포니아 와 하와이에서는 매년 필리핀계 미국인 역사의 달을 기념합니다.이 주에 있는 많은 필리핀계 미국인 조직은 종종 자체적인 축하 행사를 시작합니다.2009년 캘리포니아 주 상원의원 Leland Yee는 10월을 필리핀계 미국인 역사의 달로 인정하는 결의안을 제출했고 통과되었습니다.캘리포니아 주 의회를 통과하여 캘리포니아 주 국무장관에게 제출되었습니다.
Play button
2002 Jul 31

유서 깊은 필리핀 마을, 로스앤젤레스

Historic Filipinotown, Los Ang
2002년 7월 31일, 로스앤젤레스 시는 동쪽은 Glendale Boulevard, 북쪽은 101번 고속도로, 서쪽은 Hoover Street, 남쪽은 Beverly Boulevard 경계로 히스토릭 필리피노타운을 지정했습니다.의회 구역 13에 위치한 이 지역은 일반적으로 "Temple-Beverly Corridor"라고 불렸습니다.공공 사업부와 교통부 모두 "Historic Filipinotown"을 식별하기 위해 표지판을 설치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Temple Street와 Hoover Street, Beverly Boulevard와 Belmont Avenue 교차로에 동네 표지판이 설치되었습니다.2006년에 역사적인 Filipinotown 표지판이 Alvarado Street 출구의 101번 고속도로를 따라 설치되었습니다.
2016 Jan 1

발문

United States
미국 국토안보부에 따르면 2016년에 50,609명의 필리핀인이 합법적인 영주권을 취득했습니다.2016년에 합법적인 영주권을 받은 필리핀인 중 66%는 신규 이민자였으며 34%는 미국 내에서 신분을 조정한 이민자였습니다. 2016년 미국 국토안보부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이민자는 주로 직계 친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입학자의 57%입니다.이것은 단지 47.9%로 구성된 전체 평균 합법적 영주권 이민자보다 더 높은 필리핀인의 직계 친척의 입국을 만듭니다.직계 가족 입국에 이어 가족 후원 및 취업 기반 입국이 각각 28%와 14%로 필리핀 이민의 다음으로 높은 입국 수단을 구성합니다.직계 친척 입국과 마찬가지로 이 두 범주 모두 전체 미국의 합법적인 영주권 이민자보다 높습니다.다양성, 난민, 망명 및 기타 입국 범주는 2016년에 합법적인 영주권을 부여받은 필리핀 이민자의 1% 미만을 차지합니다.

Characters



Bobby Balcena

Bobby Balcena

First Asian American to play Major League baseball

Alfred Laureta

Alfred Laureta

First Filipino American Federal Judge

Larry Itliong

Larry Itliong

Filipino American labor organizer

Vicki Draves

Vicki Draves

Filipino American Olympic Gold winner

Gene Viernes

Gene Viernes

Filipino American labor activist

Silme Domingo

Silme Domingo

Filipino American labor activist

Ben Cayetano

Ben Cayetano

First Filipino American State Governor

Philip Vera Cruz

Philip Vera Cruz

Filipino American labor leader

Eduardo Malapit

Eduardo Malapit

First Filipino American mayor in the United States

Footnotes



  1. "The End of Chino Slavery".Asian Slaves in Colonial Mexico. Cambridge Latin Americ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pp.212-246.
  2. Bonus, Rick (2000).Locating Filipino Americans: Ethnicity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Space. Temple University Press. p.191.ISBN978-1-56639-779-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6, 2021. Retrieved May 19,2017.
  3. "The Unsung Story of Asian American Veterans in the U.S."November 12, 2021.
  4. Peterson, Andrew (Spring 2011)."What Really Made the World go Around?: Indio Contributions to the Acapulco-Manila Galleon Trade"(PDF).Explorations.11(1): 3-18.Archived(PDF) from the original on April 24, 2018.
  5. Welch, Michael Patrick (October 27, 2014)."NOLA Filipino History Stretches for Centuries". New Orleans Me. The Arts Council of New Orlea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9, 2018. Retrieved September 18,2018.
  6. Loni Ding (2001)."Part 1. COOLIES, SAILORS AND SETTLERS".NAATA. PB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6, 2012. Retrieved May 19,2011.Some of the Filipinos who left their ships in Mexico ultimately found their way to the bayous of Louisiana, where they settled in the 1760s. The film shows the remains of Filipino shrimping villages in Louisiana, where, eight to ten generations later, their descendants still reside, making them the oldest continuous settlement of Asians in America.Loni Ding (2001)."1763 FILIPINOS IN LOUISIANA".NAATA.PBS. These are the "Louisiana Manila men" with presence recorded as early as 1763.Mercene, Floro L. (2007).Manila Men in the New World: Filipino Migration to Mexico and the Americas from the Sixteenth Century. UP Press. p.106.ISBN978-971-542-529-2.
  7. Nancy Dingler (June 23, 2007)."Filipinos made immense contributions in Vallejo".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11. Retrieved December 27,2007.Railton, Ben (July 31, 2019).We the People: The 500-Year Battle Over Who Is American.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p.94.ISBN978-1-5381-2855-8.Mercene, Floro L. (2007).Manila Men in the New World: Filipino Migration to Mexico and the Americas from the Sixteenth Century. UP Press. p.116.ISBN978-971-542-529-2
  8. Floro L. Mercene (2007)."Filipinos in the US Civil War".Manila Men in the New World: Filipino Migration to Mexico and the Americas from the Sixteenth Century. Diliman, Quezon City: UP Press. pp.43-50. ISBN978-971-542-529-2.Foenander, Terry; Milligan, Edward (March 2015)."Asian and Pacific Islanders in the Civil War"(PDF).The Civil War. National Park Service.Archived(PDF)from the original on May 7, 2017. Retrieved April 23,2018.
  9. Joaquin Jay Gonzalez (February 1, 2009).Filipino American Faith in Action: Immigration, Religion, and Civic Engagement. NYU Press. p.21.ISBN978-0-8147-3297-7.
  10. Boyd, Monica (1971). "Oriental Immigration: The Experience of the Chinese, Japanese, and Filipino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Th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5(1): 48-61. doi: 10.2307/3002046.JSTOR 3002046.
  11. Orosa, Mario E."The Philippine Pensionado Story"(PDF).Orosa Family.Archived(PDF)from the original on July 13, 2018. Retrieved April 23,2018.Roces, Mina (December 9, 2014). "Filipina/o 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Remaking of Gender Narratives, 1906-2010".Gender History.27(1): 190-206. doi:10.1111/1468-0424.12097. S2CID146568599.2005Congressional Record,Vol.151, p.S13594(14 December 2005)
  12. Maria P. P. Root (May 20, 1997).Filipino Americans: Transformation and Identity. SAGE. pp.12-13. ISBN978-0-7619-0579-0.Fresco, Crystal (2004)."Cannery Workers' and Farm Laborers' Union 1933-39: Their Strength in Unity".Seattle Civil Rights Labor History Project. University of Washington.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6, 2018. Retrieved April 23,2018.Huping Ling; Allan W. Austin (March 17, 2015).Asia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An Encyclopedia. Routledge. p.259. ISBN978-1-317-47645-0.Sugar Y Azcar. Mona Palmer. 1920. p.166.
  13. A. F. Hinriehs (1945).Labor Unionism in American Agriculture(Repor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p.129.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4, 2018. Retrieved September 13,2018- vi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14. De Witt, Howard A. (1979). "The Watsonville Anti-Filipino Riot of 1930: A Case Study of the Great Depression and Ethnic Conflict in California",Southern California Quarterly, 61(3),p. 290.
  15. San Juan, Jr., Epifanio (2000).After Postcolonialism: Remapping Philippines-United States Confrontations.New York: Rowman Littlefield,p. 125.
  16. Joel S. Franks (2000).Crossing Sidelines, Crossing Cultures: Sport and Asian Pacific American Cultural Citizenship.University Press of America. p.35. ISBN978-0-7618-1592-1."Depression Era: 1930s: Watsonville Riots".Picture This. Oakland Museum of California. Retrieved May 25,2019.
  17. Lee, Erika and Judy Yung (2010).Angel Island: Immigrant Gateway to America.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8. Melendy, H. Brett (November 1974). "Filipinos in the United States".Pacific Historical Review.43(4): 520-574. doi: 10.2307/3638431. JSTOR3638431.
  19. Min, Pyong-Gap (2006),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Pine Forge Press, p. 189,ISBN978-1-4129-0556-5
  20. Irving G. Tragen (September 1944)."Statutory Prohibitions against Interracial Marriage".California Law Review.32(3): 269-280. doi:10.2307/3476961. JSTOR3476961., citing Cal. Stats. 1933, p. 561.
  21. Yo, Jackson (2006).Encyclopedia of multicultural psychology. SAGE. p.216. ISBN978-1-4129-0948-8.Retrieved September 27,2009.
  22. "Filipino Americans". Commission on Asian Pacific American Affairs.
  23. Mark L. Lazarus III."An Historical Analysis of Alien Land Law: Washington Territory State 1853-1889".Seattle University School of Law.Seattle University.
  24. Bayor, Ronald (2011).Multicultur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the Newest Americans.ABC-CLIO. p.714.ISBN978-0-313-35786-2. Retrieved 7 February2011.
  25. Bayor, Ronald (2011).Multicultural America: An Encyclopedia of the Newest Americans.ABC-CLIO. p.969.ISBN978-0-313-35786-2. Retrieved 7 February2011.
  26. "The US has come a long way since its first, highly restrictive naturalization law".Public Radio International. July 4, 2016. Retrieved 2020-07-31.
  27. Okihiro, Gary Y. (2005).The Columbia Guide to Asian American History. New York:Columbia University Press. p.24. ISBN978-0-231-11511-7. Retrieved 7 February2011.
  28. Mabalon, Dawn B.; Rico Reyes (2008).Filipinos in Stockton. Arcadia Publishing.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Little Manila Foundation. p.8.ISBN978-0-7385-5624-6. Retrieved 7 February2012.
  29. Trinh V, Linda (2004).Mobilizing an Asian American community. Philadelphia:Temple University Press. pp.20-21.ISBN978-1-59213-262-1.
  30. "A Resolution: October is Filipino American History Month"(PDF). Filipino American Historical National Society. Retrieved 16 October2018.
  31. "Filipino American History, 425 Years and Counting".kcet.org. 18 October 2012. Retrieved 20 April2018.
  32. Federis, Marnette."California To Recognize Larry Itliong Day On Oct. 25".capradio.org. Retrieved 20 April2018.
  33. Min, Pyong Gap (2006).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Thousand Oaks, California: Pine Forge Press. p.14.ISBN978-1-4129-0556-5. Retrieved February 14,2011.
  34. Daniels, Roger (2002).Coming to America: a history of immigration and ethnicity in American life. HarperCollins. p.359.ISBN978-0-06-050577-6. Retrieved April 27,2011.Espiritu, Yen Le (2005). "Gender, Migration, and Work: Filipina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the United States".Revue Europenne des Migrations Internationales.21(1): 55-75. doi:10.4000/remi.2343.
  35. "Philippine Nurses in the U.S.Yesterday and Today".Minority Nurse. Springer. March 30, 2013.
  36. David K. Yoo; Eiichiro Azuma (January 4, 2016).The Oxford Handbook of Asian Americ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402.ISBN978-0-19-986047-0.
  37. Arnold, Fred; Cario, Benjamin V.; Fawcett, James T.; Park, Insook Han (1989). "Estimating the Immigration Multiplier: An Analysis of Recent Korean and Filipino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Th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23(4): 813-838. doi:10.2307/2546463. JSTOR2546463. PMID12282604.
  38. "California's Filipino Infantry". The California State Military Museum.
  39. Posadas, Barbara Mercedes (1999).The Filipino Americans.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ublishing Group. p.26.ISBN978-0-313-29742-7.
  40. Takaki, Ronald (1998).Strangers from a different shore: a history of Asian Americans.Little, Brown. p. 315. ISBN978-0-316-83130-7. Retrieved October 12,2021.
  41. Boyd, Monica (1971). "Oriental Immigration: The Experience of the Chinese, Japanese, and Filipino Populations in the United States".Th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5(1): 48-61. doi:10.2307/3002046. JSTOR3002046.
  42. "Filipino American History".Northern California Pilipino American Student Organization.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ico. January 29, 1998.
  43. Starr, Kevin (2009).Golden dreams: California in an age of abundance, 1950-196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US. p.450.ISBN978-0-19-515377-4.

References



  • Fred Cordova (1983). Filipinos, Forgotten Asian Americans: A Pictorial Essay, 1763-circa 1963.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ISBN 978-0-8403-2897-7.
  • Filipino Oral History Project (1984). Voices, a Filipino American oral history. Filipino Oral History Project.
  • Takaki, Ronald (1994). In the Heart of Filipino America: Immigrants from the Pacific Isles. Chelsea House. ISBN 978-0-7910-2187-3.
  • Takaki, Ronald (1998) [1989]. Strangers from a Different Shore: A History of Asian Americans (Updated and revised ed.). New York: Back Bay Books. ISBN 0-316-83130-1.
  • John Wenham (1994). Filipino Americans: Discovering Their Past for the Future (VHS).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 Joseph Galura; Emily P. Lawsin (2002). 1945-1955 : Filipino women in Detroit. OCSL Press, University of Michigan. ISBN 978-0-9638136-4-0.
  • Choy, Catherine Ceniza (2003). Empire of Care: Nursing and Migration in Filipino American History. Duke University Press. pp. 2003. ISBN 9780822330899. Filipinos Texas.
  • Bautista, Veltisezar B. (2008). The Filipino Americans: (1763–present) : their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s. Bookhaus. p. 254. ISBN 9780931613173.
  •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books published by Arcadia Publishing
  • Estrella Ravelo Alamar; Willi Red Buhay (2001). Filipinos in Chicago.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1880-0.
  • Mel Orpilla (2005). Filipinos in Vallejo.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2969-1.
  • Mae Respicio Koerner (2007). Filipinos in Los Angeles.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4729-9.
  • Carina Monica Montoya (2008). Filipinos in Hollywood.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5598-0.
  • Evelyn Luluguisen; Lillian Galedo (2008). Filipinos in the East Bay.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5832-5.
  • Dawn B. Mabalon, Ph.D.; Rico Reyes;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 (2008). Filipinos in Stockton.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5624-6.
  • Carina Monica Montoya (2009). Los Angeles's Historic Filipinotown.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6954-3.
  • Florante Peter Ibanez; Roselyn Estepa Ibanez (2009). Filipinos in Carson and the South Bay.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7036-5.
  • Rita M. Cacas; Juanita Tamayo Lott (2009). Filipinos in Washington.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6620-7.
  • Dorothy Laigo Cordova (2009). Filipinos in Puget Sound.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7134-8.
  • Judy Patacsil; Rudy Guevarra, Jr.; Felix Tuyay (2010). Filipinos in San Diego.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8001-2.
  • Tyrone Lim; Dolly Pangan-Specht;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2010). Filipinos in the Willamette Valley.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8110-1.
  • Theodore S. Gonzalves; Roderick N. Labrador (2011). Filipinos in Hawai'i.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7608-4.
  • Filipino 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Manilatown Heritage Foundation; Pin@y Educational Partnerships (February 14, 2011). Filipinos in San Francisco. Arcadia Publishing. ISBN 978-1-4396-2524-8.
  • Elnora Kelly Tayag (May 2, 2011). Filipinos in Ventura County. Arcadia Publishing. ISBN 978-1-4396-2429-6.
  • Eliseo Art Arambulo Silva (2012). Filipinos of Greater Philadelphia. Arcadia Publishing. ISBN 978-0-7385-9269-5.
  • Kevin L. Nadal; Filipino-American National Historical Society (March 30, 2015). Filipinos in New York City. Arcadia Publishing Incorporated. ISBN 978-1-4396-5056-1.